*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문와위공【聞蛙爲公】진(晉) 나라 혜제(惠帝)는 어리석은 임금이므로, 신하들과 동산에 놀다가 개구리의 우는 소리를 듣고는 묻기를, “저 개구리의 우는 것이 관(官 公)을 위한 것인가, 사(私)를 위한 것인가.” 하였다.

문왕연이공린경【文王演易孔麟經】난세(亂世)에 처해서도 의연히 대작(大作)을 완성했던 것을 말한다. 주 문왕(周文王)이 유리(羑里)에 갇혀 있으면서도 주역(周易)을 연역(演繹)하였다는 말이 사기(史記) 태사공 자서(太史公自序)에 나온다. 공자가 춘추(春秋)를 지으면서 “애공(哀公) 14년 봄, 서쪽 교외 사냥에서 기린이 잡혔다.[西狩獲麟]”는 구절로 끝냈으므로, 춘추(春秋)를 인경(麟經)이라고도 한다.

문왕일반【文王一飯】소학(小學) 계고(稽古) 편에, “文王有疾 武王不說冠帶而養 文王一飯 亦一飯 文王再飯 亦再飯”이라 하였음.

문왕조【文王操】금조 이름으로, 은(殷) 나라 주(紂)가 무도하여 제후들이 모두 문왕(文王)에게로 돌아오므로, 문왕이 이 노래를 지었다 한다

문왕조【文王操】악부(樂府)의 금곡(琴曲) 이름으로, 주 나라 문왕(文王)이 주(紂)를 물리친 뒤 봉황이 글을 물고 오는 상서가 있자 이 노래를 지었다고 한다.

문왕지유【文王之囿】유(囿)는 새짐승을 기르는 곳. 담[墻] 없는 동산. 주(周)문왕의 동산은 70리였다.

문왕청묘십【文王淸廟什】시경의 대아와 송(頌)의 편명.

문왕피우릉【文王避雨陵】좌전(左傳) 희공(僖公) 32년에 “효함(殽函)에 두 언덕이 있는데 남쪽 언덕은 하걸(夏桀)의 조상인 하후 고(夏侯皐)의 무덤이 있고, 북쪽 언덕은 주문왕(周文王)이 풍우(風雨)를 피하던 곳이다.” 하였다.

문왕후천【文王後天】은(殷)의 주(紂)가 유리(羑里)에 있는 감옥에다가 주 문왕(周文王)을 가두었다. 이때 문왕은 감옥에서 복희(伏羲)의 8괘(卦)를 근본으로 하여 64괘(卦)를 만들어내니 이것을 ‘문왕후천(文王後天)’이라 하며, 이 때문에 주 나라의 역(易)이란 뜻으로 ‘주역(周易)’이라 이름하였다 한다.

문외가설작라【門外可設雀羅】문전성시(門前成市)와는 반대로, 문 밖에 새 그물을 쳐놓을 만큼 손님들의 발길이 끊어짐을 말한다. ☞ 문설작라(門設雀羅)

문외작라【門外雀羅】벼슬에서 물러나와 한가하게 삶을 표현한 말. 사기(史記) 급정전(汲鄭傳)에 “책공(翟公)이 정위(廷尉)로 있을 때엔 손님들이 문에 가득하더니 퇴직한 후에는 문 밖에 새 잡는 그물을 치게 되었다.” 하였다.

문외한【門外漢】문 밖의 사람. 그 일에 대하여 전문적인 지식이 없거나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사람. 비전문가

문외한장군【門外韓將軍】수(隋) 나라 장군 한금호(韓擒虎). 당시 진 후주(陳後主)가 향락만 하다가 한 장군(韓將軍)이 바로 성문에 들어오는 것도 몰랐다.

문요【文饒】이덕유(李德裕)의 자임.

문웅【文雄】문호(文豪)와 같은 말로, 문장으로 이름난 대작가를 말함.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