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나부【懦夫】고풍은 드높은 풍도(風度)이고 나부는 연약하여 아무것도 못하는 사람임. 맹자(孟子) 萬章下에 “백이의 풍도를 듣게 되면 무식한 탐부(貪夫)는 청렴할 줄 알고 나약한 자는 의로운 뜻을 세울 줄 알게 된다.[聞伯夷之風者 頑夫廉 懦夫有立志]" 하였음.

나부【羅浮】진(晉) 나라 갈홍(葛洪)이 신선의 도를 닦았다는 곳으로, 도교(道敎)에서 ‘제칠동천(第七洞天)’으로 부르는 산 이름이다.

나부【羅敷】곡명(曲名). 옛적 나부(羅敷)라는 여인이 들에서 뽕을 따는데 군수(郡守)가 지나다가 그의 아름다운 자태를 보고 말을 멈추고 가지 않았다. 나부는 말하기를, “사또님은 아내가 있고 나부는 남편이 있으니 그만 가시오.” 하였다는 고사가 있다. 고금주(古今注) 음악 조(音樂條)에, “陌上桑 出秦氏女子 秦氏邯鄲人 有女名羅敷 爲邑人千乘王人妻 王仁後爲趙王令 羅敷出採桑於陌上 趙王登臺 見而悅之 因飮酒欲奪焉 羅敷力彈笙 乃作陌上歌以自明焉”이라고 보임.

나부구장【羅浮舊障】수(隋) 나라 조사웅(趙師雄)이 나부산(羅浮山)에 갔다가 매화 선녀와 만나 흥겹게 어울려 술을 마시고 취했는데, 잠을 깨고 나니 큰 매화나무 아래에 누워 있더라는 전설이 당(唐) 나라 유종원(柳宗元)의 용성록(龍城錄)에 실려 있다.

나부립완부렴【懦夫立頑夫廉】맹자(孟子)는, “맑고 개결(介潔)한 백이(伯夷)의 풍(風)을 들으면 나약한 사람도 일어설 뜻이 있고 완(頑)한 사람도 청렴하여진다.” 하였다.

나부매【羅浮梅】수(隋) 나라 조사웅(趙師雄)이 나부산(羅浮山) 아래를 지나다가 날이 저물었는데, 숲 사이의 주막에서 소복을 입은 미인이 그를 맞아 함께 정겹게 술을 마시다 취해 자고 일어나 보니 미인도 주막도 없고 자신은 큰 매화나무 아래에 누워 있었다 한다. 《尙友錄 卷十六》

나부몽【羅浮夢】수(隋)의 조사웅(趙師雄)이 나부의 매화촌(梅花村)에 있는 주점(酒店) 가에서 소복(素服)으로 단장한 미인(美人)을 만나 함께 술을 마시고 취하여 잠이 들었다가 깨어 보니, 자신만 큰 매화나무 밑에 누워있었다. 그리고 달은 지고 삼성(參星)은 기울었으며 위에서는 비취(翡翠)가 지저귈 뿐이었다는 고사이다. 《龍城錄》

나부산【羅浮山】중국 광동성(廣東省) 증성현(增城縣)에 있는데, 이 산에는 매화가 많아서 ‘나부매(羅浮梅)’가 유명하다. 그리하여 소식(蘇軾)의 매화에 대한 시에 “나부산 아래 매화촌, 흰 눈으로 뼈를 이루고 얼음으로 넋을 이루었네.[羅浮山下梅花村 玉雪爲骨氷爲魂]" 하였다. 《蘇東坡集 後集 卷四 松風亭下梅花盛開 再用前韻》

나부산【羅浮山】중국 광동성(廣東省)에 있는 산으로, 백여 리를 길게 뻗어 있고 4백여 개의 봉우리가 있는데 경치가 수려하여 월(粵)지방의 명산으로 불린다. 진(晉)나라 갈홍(葛洪)이 그곳에서 선술(仙術)을 얻었다 하여 흔히 선산(仙山)으로 이해된다.

나부산【羅浮山】광동성(廣東省)의 동강(東江) 북안(北岸)에 있는 산 이름으로, 수(隋)나라 때 조사웅(趙師雄)이 꿈속에서 매화 선녀(梅花仙女)를 만났다고 전하므로, 후대에는 매화에 대해 시를 읊을 때 흔히 인용한다.

나부자유부【羅敷自有夫】진(秦)나라 여자 나부(羅敷)가 들에서 뽕을 따는데 관원이 지나다가 황금 선물 주겠다고 유혹하였으나 거절하기를, “사또님은 아내가 있고 나부는 남편이 있습니다[使君自有婦羅敷自有夫].” 하였다.

나부접【羅浮蝶】중국 광동(廣東) 나부산(羅浮山)에서 나는 나비. 크기는 한 자 정도임. 봄이 되면 번데기가 고치를 뚫고 나오는데 문채가 각각 달라 비록 수백 마리가 떼지어 있어도 한 마리도 같은 모양이 없으므로 산동 사람들이 소봉황(小鳳凰)이라 이른다고 한다. 《廣東新語》

나부춘【羅浮春】소식(蘇軾)이 혜주(惠州)에 있을 적에 만든 술 이름인데, 즉 혜주에 있는 나부산(羅浮山)에서 취한 이름이다.

나부춘몽【羅浮春夢】수(隋) 나라 조사웅(趙師雄)이 나부산(羅浮山)에 갔는데 해가 저물 때에 숲 사이 어느 집에 한 미인이 소복담장(素服淡粧)으로 나와 영접하는데 향기가 정신을 황홀케 하였다. 사웅이 미인과 함께 술집에 가서 즐겨 놀았는데 옆에 푸른 옷 입은 동자(童子)가 노래를 불렀다. 사웅이 취하여 자다가 새벽에 깨어 보니 매화나무에 푸른 새가 지저귀고 있었다. 미인은 화신(花神)이었던 것이다.

 

05/10/15/20/25/30/35/40/45/50/55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