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고사성어事成語

하늘구경 

 

 

 

 

송양지인[宋襄之仁]쓸데없는 관용

  

춘추시대 송(宋)의 양공(襄公)은 참으로 양보심이 많았던 제후였다.

아버지 환공(桓公)이 죽자 서형(庶兄)인 목이(目夷)가 자신보다 현명하다는 이유로 왕위조차 양보하였다.

목이 역시 양보심이 대단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왕위를 사양했다.

“자고로 나라를 양보할 줄 아는 사람이야말로 최대의 인자입니다.”

양공은 그를 재상으로 삼아 송을 다스리게 된다. 재위 7년 째 되던 어느 날, 운석(隕石)이 5개나 떨어지자 양공은 패업(覇業)의 상징이라고 제멋대로 해석하고는 이웃 나라들을 마구 치기 시작했다.

목이의 반대에도 막무가내였다.

그의 행동을 가장 못마땅하게 여긴 것은 당시 최강국 초(楚)나라였다. 본때를 보여주기 위해 벼르고 있다가 양공을 사로잡은 다음 풀어주었다.

그러자 목이가 말했다.

“나라의 화는 이제부터다. 임금은 아직도 정신을 차리지 못했다.”

이듬해 봄, 정(鄭)이 초와 연합하자 화가 치민 양공은 정나라를 공격했다. 그러자 초가 정을 도우러 왔다. 초의 군대가 홍수(泓水)를 건널 때 목이가 간언했다.

“적은 많고 우리는 적습니다. 지금이야말로 절호의 기회입니다. 빨리 치도록 합시다.”

그러나 양공의 대답은 의외였다.

“군자는 상대방의 약점을 노리는 것이 아니오.”

이윽고 초의 군사가 도강을 완료했다. 목이가 재차 재촉했지만 양공은 군자연하며 이번에도 듣지 않았다.

“천만의 말씀, 적은 아직 충분한 준비를 갖추지 않았소. 군자가 어찌 상대방의 약점을 이용할 수 있단 말이오.”

결국 양공은 일부러 지체하면서 상대방이 진용을 다 갖춘 다음에야 비로소 공격명령을 내렸다. 물론 결과는 뻔했다. 송군은 대패하였으며 양공 자신도 상처를 입고 악화되어 결국 죽고 말았다.

후세 사람들은 그의 어리석음을 빗대어 「宋襄之仁」이라고 불렀다. 「송의 양공이 보였던 인자함」이라는 뜻으로 쓸데없는 관용을 뜻한다.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