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장자莊子

하늘구경 

 

 

 

 

운명은 있으나 볼 수는 없는 것이다


- 장자(내편) 제7편 응제왕[5]-


정나라에 계함이라는 신통한 무당이 있었다. 그는 사람들의 생사존망이나 화와 복, 오래 살고 일찍 죽는 일들을 년· 월· 일· 시까지 귀신 같이 알아냈다. 정나라 사람들은 자기의 죽는 날을 알아맞힐까 두려워 그를 보기만 하면 모두 급히 달아났다. 열자가 그를 만나보고 반하여 돌아와 호자에게 말했다.

“처음에 저는 선생님의 도가 지극한 것으로 생각했었는데 알고 보니 더 지극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호자가 말했다.

“나는 너에게 형식에 대해서는 다 가르쳤지만 내용에 대해서는 다 가르치지 못 했다. 너는 본시부터 도를 터득하고 있었다고 생각했느냐?

암컷이 많다 하더라도 수컷이 없으면 어찌 새끼가 있겠느냐? 네가 도를 가지고 세상 사람들과 다투는 것은 너를 드러내려는 것이다. 그 때문에 남으로 하여금 네 관상을 볼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시험삼아 데리고 와서 내 관상을 보게 해라.”

다음날, 열자가 그를 데리고 와 호자를 만나보게 했다.

무당이 호자를 만나고 나와서 열자에게 말했다.

“당신 선생은 오래 살지 못하고 죽을 것입니다. 열흘을 못 넘길 것입니다. 나는 이상한 것을 보았습니다. 젖은 재의 상을 보았습니다.”

열자가 들어가 옷깃이 흠뻑 젖도록 울면서 그 얘기를 호자에게 했다.

호자가 말했다.

“조금 전에 나는 그에게 지문(地文)의 상을 보여 주었다. 그것은 멍하니 움직이지도 않고 멎어 있지도 않는 것이다. 그는 아마 덕의 발동을 막는 경지를 보았을 것이다. 다시 한번 데려와 보거라.”

다음날 다시 무당을 데리고 와 호자를 보게 했다.

무당이 호자를 보고 나와서 열자에게 말했다.

“당신의 선생이 나를 만난 것은 천만 다행입니다. 병이 다 나았습니다. 이제 완전히 살아났습니다. 그의 생명의 싹이 솟아나는 것을 보았습니다.”

열자가 들어가 그 얘기를 호자에게 하니, 호자가 말했다.

“조금 전 나는 그에게 천양(天壤)의 상을 보여 주었다. 이것은 이름도 형태도 없는 상태로 생기가 발뒤꿈치에서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그는 아마 천지 사이에 선한 생기가 점차 나타나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시험삼아 다시 데려와 보거라.”

다음날 다시 계함과 함께 열자가 호자를 만나 보았다.

계함이 호자를 만나고 나와서 열자에게 말했다.

“당신의 선생은 무슨 까닭인지 일정하지가 않기 때문에 나로서는 관상을 보아드릴 수가 없습니다. 다시 한번 마음을 일정하게 하도록 전해 주십시오. 그러면 다시 한번 관상을 보아드리겠습니다.”

열자가 들어가 그 얘기를 호자에게 전하니 호자가 말했다.

“나는 좀 전에 그에게 태충막승(太沖莫勝)의 상을 보여 주었다. 이것은 빈 마음 그대로 일체를 받아들여 우열의 차별을 두지 않는 경지이다. 그는 아마 생기를 고르게 하여 일체를 평등하게 하는 심경을 보았을 것이다. 소용돌이치는 물이 모여 못이 되고, 정지한 물이 못이 되며, 흐르는 물이 모여 못이 된다. 못에는 아홉 가지가 있지만 나는 그 중 세 가지만 들었다. 그를 다시 한번 데려와 보거라.”

다음날 다시 열자가 계함과 함께 호자를 만났다.

계함은 서 있을 새도 없이 넋이 빠져 달아났다.

호자가 말했다.

“그를 따라가 보아라.”

열자가 그를 따라갔으나 따라잡지 못하고 되돌아와 호자에게 말했다.

“이미 없어져 보이지 않았습니다. 따라잡을 수가 없었습니다.”

호자가 말했다.

“조금 전에 나는 그에게 미시출오종(未始出吾宗)의 상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자기의 근본에 있는 도에서 벗어나지 않는 경지이다. 이 경지에서는 자기를 공허하게 하고, 오직 사물의 움직임에 맡기어 자기가 무엇인지도 모르며 다만 흐름에 맡기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는 이와 같은 천변만화하는 모습을 보고 두려워 도망친 것이다.”

그 후 열자는 자기의 학문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깨닫고 집으로 돌아가 삼 년 동안 문밖을 나오지 않고, 그의 아내 대신 밥을 짓기도 하고, 돼지 먹이기를 사람 먹이듯 했다.

차별하는 마음을 버리고 특정한 것에 마음을 빼앗기지 않도록 했다. 이렇게 인위를 버리고 소박한 상태로 돌아가 마치 생각도 마음도 없는 흙과 같은 모습을 한 채 우뚝 서서 모든 것을 혼돈에 맡기고 그대로 평생을 마쳤다.


- 莊子(內篇) 第7篇 應帝王[5]-

鄭有神巫曰季咸, 知人之死生存亡, 禍福壽夭, 期以歲月旬日, 若神. 鄭人見之, 皆棄而走. 列子見之而心醉, 歸, 以告壺子, 曰:「始吾以夫子之道爲至矣, 則又有至焉者矣.」

壺子曰:「吾與汝旣其文, 未旣其實, 而固得道與? 衆雌而无雄, 而又奚卵焉! 而以道與世亢, 必信, 夫故使人得而相汝. 嘗試與來, 以予示之.」

明日, 列子與之見壺子. 出而謂列子曰:「噫! 子之先生死矣! 弗活矣! 不以旬數矣! 吾見怪焉, 見濕灰焉.

列子入, 泣涕沾襟以告壺子. 壺子曰:「鄕吾示之以地文, 萌乎不震不正. 是殆見吾杜德機也. 嘗又與來.」

明日, 又與之見壺子. 出而謂列子曰:「幸矣, 子之先生遇我也! 有瘳矣, 全然有生矣! 吾見其杜權矣.」

列子入, 以告壺子. 壺子曰:「鄕吾示之以天壤, 名實不入, 而機發於踵. 是殆見吾善者機也. 嘗又與來.」

明日, 又與之見壺子. 出而謂列子曰:「子之先生不齊, 吾无得而相焉. 試齊, 且復相之.」

列子入, 以告壺子. 壺子曰:「鄕吾示之以太沖莫勝. 是殆見吾衡氣機也. 鯢桓之審爲淵, 止水之審爲淵, 流水之審爲淵. 淵有九名, 此處三焉. 嘗又與來.」

明日, 又與之見壺子. 立未定, 自失而走. 壺子曰:「追之!」列子追之不及. 反, 以報壺子曰:「已滅矣, 已失矣, 吾弗及已.」

壺子曰:「鄕吾示之以未始出吾宗. 吾與之虛而委蛇, 不知其誰何, 因以爲弟靡, 因以爲波流, 故逃也.」

然後列子自以爲未始學而歸, 三年不出. 爲其妻爨, 食豕如食人. 於事无與親, 雕琢復朴, 塊然獨以其形立. 紛而封哉, 一以是終.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