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王維[왕유]山居秋暝[산거추명]산골집의 저녁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253  

 

山居秋暝[산거추명] 산골집의 저녁

 

- 王維[왕유] -

 

空山新雨後[공산신우후] 적막한 산에 내리던 비 개이니

天氣晩來秋[천기만래추] 더욱 더 쌀쌀해진 늦가을 날씨

明月松間照[명월송간조] 밝은 달빛 소나무 사이로 비취고

淸泉石上流[청천석상류] 맑은 샘물은 바위 위로 흐르네

竹喧歸浣女[죽훤귀완녀] 대숲 소란하더니 아낙들 씻고 가고

蓮動下漁舟[연동하어주] 연 잎 흔들리더니 고깃배 내려가네

隨意春芳歇[수의춘방헐] 봄꽃이야 시든지 오래되었지만

王孫自可留[왕손자가류] 그런대로 이 산골에 머물만하네

 


왕유[王維] 성당(盛唐)의 대표적 시인. 개원(開元), 천보(天寶) 연간의 최고 시인이었다. 산서성(山西省) 기현인(祁縣人)으로 자()는 마힐(摩詰)이다. 서화와 음악에 모두 조예가 깊었다. 중국 자연시인의 대표로 꼽히며 남종화의 창시자로 불린다. 만년에 장안의 남쪽 남전현(藍田縣)에 있는 망천(輞川) 별장에 은거하며 역관역은(亦官亦隱)의 거사적 삶을 살았다. 그의 시는 명정청신(明淨淸新)하고 정미아치(精美雅致)하며 초속탈진(超俗脫塵)하다. 객관적이고 고요한 서경(敍景)뿐만 아니라 송별시·궁정시 분야에서도 뛰어났다. 이백(李白두보(杜甫)와 함께 당나라의 대시인이었고, 유마힐거사(維摩詰居士)로 칭하며 불교에 심취한 불교신자였기 때문에 시불(詩佛)이라고 일컬어진다. 벼슬이 상서우승(尙書右丞)에 이르렀을 때 죽었기 때문에 왕우승(王右丞)이라고도 불린다. 소식(蘇軾)은 당대(唐代) 산수전원시파(山水田園詩派)를 대표하는 그에 대해 마힐의 시를 음미하다 보면 시 속에 그림이 있고, 마힐의 그림을 보다 보면 그림 속에 시가 있다[味摩詰之詩, 詩中有畫; 觀摩詰之畫, 畫中有詩.]”고 하였다. 산수시(山水詩)에서 큰 성취를 보여 맹호연(孟浩然)과 병칭하여 왕맹(王孟)이라 일컬어진다. 저서로 왕우승집(王右丞集) 10권이 있다. 구당서(舊唐書) 왕유전(王維傳)왕유는 형제가 모두 부처를 받들었고, 언제나 채식을 했으며 매운 것과 육식을 하지 않았다. 만년에는 오랫동안 부정한 것을 멀리하고 살았으며 무늬나 색깔 있는 옷을 입지 않았다[維兄弟俱奉佛, 居常蔬食, 不茹葷血, 晩年長齋, 不衣紋彩.]”고 기록되어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314 金正喜[김정희] 悼亡[도망] 죽은 아내를 애도함 4996
313 金炳淵[김병연] 艱飮野店[간음야점] 외딴 주막에서 괴로이 마시다 3704
312 申佐模[신좌모] 入長安寺 三首[입장안사 3수] 금강산 장안사에 들어 2759
311 許愈[허유] 子規[자규] 소쩍새 우는 밤 4300
310 黃玹 [황현] 絶命詩 四首 [절명시 4수] 절명시 3876
309 李應禧[이응희] 백로[白鷺] 백로 3166
308 王維[왕유] 靑溪[청계] 청계에서 4542
307 金昌協[김창협] 宿大乘菴[숙대승암] 대승암에서 묵다 3432
306 朴趾源[박지원] 田家[전가] 시골집 4736
305 李奎報[이규보] 下寧寺[하령사] 하령사 4636
304 慧諶[혜심] 對影[대영] 그림자를 마주하고 4709
303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一]잡흥9수1 / 봄풀은 어느덧 저리 푸르러 4659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