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王維[왕유]山居秋暝[산거추명]산골집의 저녁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261  

 

山居秋暝[산거추명] 산골집의 저녁

 

- 王維[왕유] -

 

空山新雨後[공산신우후] 적막한 산에 내리던 비 개이니

天氣晩來秋[천기만래추] 더욱 더 쌀쌀해진 늦가을 날씨

明月松間照[명월송간조] 밝은 달빛 소나무 사이로 비취고

淸泉石上流[청천석상류] 맑은 샘물은 바위 위로 흐르네

竹喧歸浣女[죽훤귀완녀] 대숲 소란하더니 아낙들 씻고 가고

蓮動下漁舟[연동하어주] 연 잎 흔들리더니 고깃배 내려가네

隨意春芳歇[수의춘방헐] 봄꽃이야 시든지 오래되었지만

王孫自可留[왕손자가류] 그런대로 이 산골에 머물만하네

 


왕유[王維] 성당(盛唐)의 대표적 시인. 개원(開元), 천보(天寶) 연간의 최고 시인이었다. 산서성(山西省) 기현인(祁縣人)으로 자()는 마힐(摩詰)이다. 서화와 음악에 모두 조예가 깊었다. 중국 자연시인의 대표로 꼽히며 남종화의 창시자로 불린다. 만년에 장안의 남쪽 남전현(藍田縣)에 있는 망천(輞川) 별장에 은거하며 역관역은(亦官亦隱)의 거사적 삶을 살았다. 그의 시는 명정청신(明淨淸新)하고 정미아치(精美雅致)하며 초속탈진(超俗脫塵)하다. 객관적이고 고요한 서경(敍景)뿐만 아니라 송별시·궁정시 분야에서도 뛰어났다. 이백(李白두보(杜甫)와 함께 당나라의 대시인이었고, 유마힐거사(維摩詰居士)로 칭하며 불교에 심취한 불교신자였기 때문에 시불(詩佛)이라고 일컬어진다. 벼슬이 상서우승(尙書右丞)에 이르렀을 때 죽었기 때문에 왕우승(王右丞)이라고도 불린다. 소식(蘇軾)은 당대(唐代) 산수전원시파(山水田園詩派)를 대표하는 그에 대해 마힐의 시를 음미하다 보면 시 속에 그림이 있고, 마힐의 그림을 보다 보면 그림 속에 시가 있다[味摩詰之詩, 詩中有畫; 觀摩詰之畫, 畫中有詩.]”고 하였다. 산수시(山水詩)에서 큰 성취를 보여 맹호연(孟浩然)과 병칭하여 왕맹(王孟)이라 일컬어진다. 저서로 왕우승집(王右丞集) 10권이 있다. 구당서(舊唐書) 왕유전(王維傳)왕유는 형제가 모두 부처를 받들었고, 언제나 채식을 했으며 매운 것과 육식을 하지 않았다. 만년에는 오랫동안 부정한 것을 멀리하고 살았으며 무늬나 색깔 있는 옷을 입지 않았다[維兄弟俱奉佛, 居常蔬食, 不茹葷血, 晩年長齋, 不衣紋彩.]”고 기록되어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494 李奎報[이규보] 江上月夜 望客舟[강상월야 망객주] 달밤에 강가에서 여객선을 바라보며 4555
493 李德懋[이덕무] 中秋月二首[중추월2수] 한가위 달 4549
492 王維[왕유] 靑溪[청계] 청계에서 4549
491 李白[이백]自遣[자견]홀로 가는 길 4494
490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一]대주5수1 / 잘났네 못났네 4492
489 李白[이백]秋浦歌[추포가]추포가 4488
488 韋應物[위응물] 燕居卽事[연거즉사] 한가로이 살면서 4444
487 杜甫[두보]春望[춘망]봄날 멀리 바라보며 4414
486 金時習[김시습]乍晴乍雨[사청사우]개었다가 비 오고 4402
485 李白[이백]將進酒[장진주]장진주 4393
484 杜甫[두보] 秋興八首[其三]추흥8수3 / 산성마을 아침햇살 4365
483 杜甫[두보]石壕吏[석호리]석호촌의 관리 4365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