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王維[왕유]木蘭柴[목란시]목란 울타리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583  

 

木蘭柴[목란시] 목란 울타리

 

- 王維[왕유] -

 

秋山斂餘照[추산렴여조] 가을 산에 노을이 걷히어가니

飛鳥逐前侶[비조축전려] 나는 새도 짝을 쫓아 날아가네

彩翠時分明[채취시분명] 푸른빛이 한 순간 분명하더니

夕嵐無處所[석람무처소] 언뜻 저녁 산기운 흔적이 없네

 


왕유[王維] 성당(盛唐)의 대표적 시인. 개원(開元), 천보(天寶) 연간의 최고 시인이었다. 산서성(山西省) 기현인(祁縣人)으로 자()는 마힐(摩詰)이다. 서화와 음악에 모두 조예가 깊었다. 중국 자연시인의 대표로 꼽히며 남종화의 창시자로 불린다. 만년에 장안의 남쪽 남전현(藍田縣)에 있는 망천(輞川) 별장에 은거하며 역관역은(亦官亦隱)의 거사적 삶을 살았다. 그의 시는 명정청신(明淨淸新)하고 정미아치(精美雅致)하며 초속탈진(超俗脫塵)하다. 객관적이고 고요한 서경(敍景)뿐만 아니라 송별시·궁정시 분야에서도 뛰어났다. 이백(李白두보(杜甫)와 함께 당나라의 대시인이었고, 유마힐거사(維摩詰居士)로 칭하며 불교에 심취한 불교신자였기 때문에 시불(詩佛)이라고 일컬어진다. 벼슬이 상서우승(尙書右丞)에 이르렀을 때 죽었기 때문에 왕우승(王右丞)이라고도 불린다. 소식(蘇軾)은 당대(唐代) 산수전원시파(山水田園詩派)를 대표하는 그에 대해 마힐의 시를 음미하다 보면 시 속에 그림이 있고, 마힐의 그림을 보다 보면 그림 속에 시가 있다[味摩詰之詩, 詩中有畫; 觀摩詰之畫, 畫中有詩.]”고 하였다. 산수시(山水詩)에서 큰 성취를 보여 맹호연(孟浩然)과 병칭하여 왕맹(王孟)이라 일컬어진다. 저서로 왕우승집(王右丞集) 10권이 있다. 구당서(舊唐書) 왕유전(王維傳)왕유는 형제가 모두 부처를 받들었고, 언제나 채식을 했으며 매운 것과 육식을 하지 않았다. 만년에는 오랫동안 부정한 것을 멀리하고 살았으며 무늬나 색깔 있는 옷을 입지 않았다[維兄弟俱奉佛, 居常蔬食, 不茹葷血, 晩年長齋, 不衣紋彩.]”고 기록되어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398 李白[이백]友人會宿[우인회숙]벗들과 모여 놀다 자다 3669
397 王錫[왕석]春江花月夜[춘강화월야]봄 강의 꽃 핀 달밤 3661
396 李穡[이색]驪江迷懷[여강미회]여강 3647
395 陶淵明[도연명] 和郭主簿二首[其一]화곽주부2수1 / 차조를 찧어 술을 빚고 3624
394 陶淵明[도연명] 歸園田居五首[其五]귀원전거5수5 / 전원에 돌아와서 3623
393 戴益[대익]探春[탐춘]봄을 찾아서 3613
392 王績[왕적] 春桂問答[춘계문답] 봄날 계수나무에게 3610
391 李商隱[이상은] 花下醉[화하취] 꽃 아래 취하여 3605
390 金壽恒[김수항]雪夜獨坐[설야독좌]눈오는 밤 홀로 앉아 3605
389 陶淵明[도연명] 歸園田居五首[其四]귀원전거5수4 / 전원에 돌아와서 3605
388 李白[이백]下終南山過斛斯山人宿置酒[하종남산과곡사산인숙치주]종남산을 내려와 3603
387 丁若鏞[정약용]有兒[유아]가엾은 오누이 3594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