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陳子昻[진자앙]登幽州臺歌[등유주대가]유주의 누대에 올라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059  

 

登幽州臺歌[등유주대가] 유주의 누대에 올라

 

- 陳子昻[진자앙] -

 

前不見古人[전불견고인] 앞으로는 옛사람 보지 못하고

後不見來者[후불견래자] 뒤로는 오는 사람 보지 못하네

念天地之悠悠[염천지지유유] 천지의 유유함을 생각하다

獨愴然而涕下[독창연이체하] 홀로이 슬퍼져 눈물 흐르네

 


진자앙[陳子昻] 초당(初唐)의 시인으로 자()는 백옥(伯玉), 재주(梓州) 사홍(梓州: 지금의 사천성四川省 사홍현射洪縣) 사람이다. 우습유(右拾遺)를 지낸 그를 사람들이 진습유(陳拾遺)라고 불렀다. 명문 출신으로 가세가 풍요했고, 건장하고 준수하였으나, 어려서부터 협객들과 어울려 방탕한 생활에 빠져 17세가 되도록 글을 읽지 못하였다. 18세 후에야 뒤늦게 자각하여 공부를 시작해서 24살 때 진사에 합격했고, 측천무후(則天武后)에게 벼슬하여 우습유(右拾遺)가 되었다. 직언과 간언에 거침이 없었고, 두 차례 종군을 통해 변경의 형편과 백성들의 삶에 대해 소상히 알 수 있었다. 부친이 나이가 들자 벼슬을 내놓고 고향으로 내려갔는데 부친의 상을 당한 기간에 권신(權臣) 무삼사(武三思)가 사홍현 태수를 시켜 없는 죄로 모함하여 42세라는 아까운 나이에 옥사하였다. 시와 문장에 모두 능했는데, 그의 시풍은 풍골이 우뚝하고 우의寓意가 깊었으며 고풍스러우면서도 힘을 갖췄다는 평가를 들었다. 당시 유행하던 궁체시(宮體詩)에 반대하며 형식에 치우친 제양(·)의 귀족적 시풍(詩風)을 일소하고, 한위(·)의 고아(高雅)한 시풍으로의 회고를 제창하여 초당시(初唐詩)의 유약한 폐단을 고쳐 초당의 시가개혁에서 큰 성취를 이뤄냈다. 진습유집(陳拾遺集)과 진백옥집(陳伯玉集)이 전한다.

유유[悠悠] 아득하게 먼 모양. 때가 오랜 모양. 침착(沈着)하고 여유(餘裕)가 있는 모양. 한가(閑暇)한 모양. 많은 모양.

 

 



번호 제     목 조회
446 李白[이백]客中行[객중행]여행중 난릉에서 3977
445 朴趾源[박지원]燕巖憶先兄[연암억선형]돌아가신 형님을 생각하며 3977
444 王勃[왕발]山中[산중]산속에서 3969
443 杜甫[두보]客夜[객야]객지의 밤 3955
442 王維[왕유]田園樂 06[전원락 06]전원의 즐거움 3950
441 張籍[장적] 寄西峰僧[기서봉승] 서쪽 봉우리의 스님에게 3944
440 杜甫[두보]佳人[가인]산속의 미인 3937
439 柳宗元[유종원]漁翁[어옹]늙은 어부 3933
438 王維[왕유]輞川閑居贈裴秀才迪[망천한거증배수재적]망천에서 한거하는 배적에게 3924
437 李白[이백]待酒不至[대주부지]기다리는 술은 오지 않고 3895
436 樂府詩[악부시]木蘭辭[목란사]뮬란 3888
435 金瑬[김류] 苔磯釣魚[태기조어] 낚시 3885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