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胡令能[호영능]小兒垂釣[소아수조]낚시질 하는 아이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761  

 

小兒垂釣[소아수조] 낚시질 하는 아이

 

- 胡令能[호영능] -

 

蓬頭稚子學垂綸[봉두치자학수륜] 쑥대머리 어린아이 낚시질 익히느라

側坐莓苔草映身[측좌매태초영신] 이끼 바위 풀섶에 몸 비껴 숨어 앉아

路人借問遙招手[노인차문요초수] 나그네 저 멀리 손짓하며 길 물어도

怕得魚驚不應人[파득어경불응인] 고기 놀라 달아날까 들은 척도 않네

 


호영능[胡令能] () 나라 때의 시인이다. 보전(莆田: 하남성河南省 중모현中牟縣) 사람으로 정원(貞元, 德宗)과 원화(元和, 憲宗) 연간에 살았다. 출사(出仕)한 적은 없고, 일찍부터 그릇이나 솥 등 세간용기를 만드는 기술을 배워 수공업 노동자로 일했기 때문에 시로 이름을 떨친 뒤에도 당대 사람들이 그를 호정교(胡釘鉸)라고 불렀다. 열자(列子)를 좋아하고 선학(禪學)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후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했다. 꿈 속에 선인이 나타나 그의 배를 가르고 책 한 권을 넣어준 뒤부터 시를 읊는 능력이 생겼다고 전한다. 전당시(全唐詩)에 시 4수가 수록되어 있다. 그 가운데 영수장(詠繡障) 1수는 청신하고 생동감 있게 써졌는데, 고대 부녀자의 빼어난 자수 솜씨를 노래했다.

수조[垂釣] 물고기를 낚기 위()하여 물 속에 낚시를 드리움.

봉두[蓬頭] 머리털이 마구 흐트러져서 몹시 산란한 머리.

치자[稚子] 여남은 살 안팎의 어린아이.

수륜[垂綸] 낚싯줄을 드리워 고기를 낚음.

측좌[側坐] 몸을 기울여 앉다.

매태[莓苔] 초훼(草卉)의 하나로 이끼를 말함.

 

 



번호 제     목 조회
434 賈島[가도] 三月晦日贈劉評事[삼월회일증유평사] 삼월 그믐날 유평사에게 1413
433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九]잡흥9수9 / 얽매임을 풀어야 1411
432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八]잡흥9수8 / 양주의 봄버들 1324
431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七]잡흥9수7 / 한들구름 개인 날빛 희롱하고 1364
430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六]잡흥9수6 / 지사는 일을 사랑하나 1531
429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五]잡흥9수5 / 이룬 것 없이 늙어 1609
428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四]잡흥9수4 / 유인은 밤을 지새우고 1637
427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三]잡흥9수3 / 산속 푸른 계수나무 1582
426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二]잡흥9수2 / 인생은 바람 앞 촛불이라 1668
425 金時習[김시습] 放言[방언] 맞고 보냄이 싫어서 1584
424 金時習[김시습] 贈峻上人二十首[其九]증준상인20수9 / 준상인에게 주다 1567
423 金時習[김시습] 贈峻上人二十首[其二]증준상인20수2 / 송화 가루 산허리에 1615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