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李白[이백]下終南山過斛斯山人宿置酒[하종남산과곡사산인숙치주]종남산을 내려와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564  

 

終南山過斛斯山人宿置酒[하종남산과곡사산인숙치주] 종남산을 내려와

 

- 李白[이백] -

 

暮從碧山下[모종벽산하] 저물어 푸른 산을 내려왔더니

山月隨人歸[산월수인귀] 산달이 돌아오는 나를 따라 왔네

却顧所來徑[각고소내경] 잠시 멈춰 내려 온 길 돌아다보니

蒼蒼橫翠微[창창횡취미] 푸른 기운 아득히 산허리를 둘렀네

相攜及田家[상휴급전가] 이끌려 농삿집 초가에 이르니

童稚開荊扉[동치개형비] 어린아이가 사립문을 열어주네

綠竹入幽徑[녹죽입유경] 푸른 대나무는 길에까지 나 있고

靑蘿拂行衣[청나불행의] 덩굴이 나풀대는 옷자락에 걸리네

歡言得所憩[환언득소게] 쉬어 갈 곳을 찾아 기쁘다 말하며

美酒聊共揮[미주료공휘] 맛 좋은 술기운에 함께 들떴네

長歌吟松風[장가음송풍] 길게 노래하여 솔바람을 읊으니

曲盡河星稀[곡진하성희] 노래 끝날 무렵 은하수도 희미하네

我醉君復樂[아취군복낙] 내 취하니 그대 다시 즐거워하고

陶然共忘機[도연공망기] 얼큰하니 느긋이 세상일을 잊었네

 

下終南山過斛斯山人宿置酒하종남산과곡사산인숙치주 / 종남산 아래 곡사산인을 방문하여 술을 마시다.


이백[李白] ()나라 때의 시인. 자는 태백(太白).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 취선옹(醉仙翁).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는 중국의 대표 시인이며, 시선(詩仙)이라 불린다. 아버지는 서역(西域)의 호상이었다고 전한다. 출생지는 오늘날의 쓰촨성[四川省]인 촉()나라의 장밍현[彰明縣] 또는 더 서쪽의 서역으로서, 어린 시절을 촉나라에서 보냈다. 당 현종(唐玄宗) 때 한림학사(翰林學士)에까지 올랐으나 현종의 실정 이후 정치에 뜻을 잃고 방랑시인이 되었다. 그의 시는 서정성(抒情性)이 뛰어나 논리성(論理性), 체계성(體系性)보다는 감각(感覺), 직관(直觀)에서 독보적(獨步的)이다. , 달을 소재(素材)로 많이 썼으며, 낭만적(浪漫的)이고 귀족적(貴族的)인 시풍을 지녔다. 천하를 주유하며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그의 생활 태도를 반영한 대표작으로는 촉도난(蜀道難)이 있다.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 30권이 전한다.

취미[翠微] 산의 중허리. 먼 산에 엷게 낀 푸른 빛깔의 기운. 산기운이 푸르러서 아롱아롱하게 보이는 빛.

청나[靑蘿] 푸른 담쟁이덩굴.

행의[行衣] 유생(儒生)의 웃옷. 소매가 넓은 두루마기에 검은 천으로 가장자리를 꾸몄음.

도연[陶然] 흐뭇하다. 편안하고 즐겁다. 느긋하다.

망기[忘機] 자기 이해타산을 따지거나 남을 해치려는 마음을 품지 않다. 담박하고 수수하다.

 

 



번호 제     목 조회
242 翁照[옹조]梅花塢坐月[매화오좌월]매화 둑 달빛에 3960
241 王陽明[왕양명]山中諸示生[산중제시생]산중에서 제자들에게 2929
240 王維[왕유]藍田山石門精舍[남전산석문정사]남전산의 석문정사 2930
239 王維[왕유]鹿柴[녹시]사슴 울타리 4023
238 王維[왕유]輞川閑居贈裴秀才迪[망천한거증배수재적]망천에서 한거하는 배적에게 3903
237 王維[왕유]送別[송별]송별 4079
236 王維[왕유]酬張少府[수장소부]장소부에게 4040
235 王維[왕유]渭川田家[위천전가]위수가의 농가 3522
234 王維[왕유]酌酒與裵迪[작주여배적]배적에게 술을 권하며 3998
233 王維[왕유]積雨輞川莊作[적우망천장작]장마철 망천 별장에서 3552
232 王維[왕유]田園樂 03[전원락 03]전원의 즐거움 3716
231 王維[왕유]終南別業[종남별업]종남산별장 383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