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王維[왕유]酬張少府[수장소부]장소부에게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059  

 

酬張少府[수장소부] 장소부에게

 

- 王維[왕유] -

 

晩年惟好靜[만년유호정] 나이드니 조용히 쉬고만 싶고

萬事不關心[만사불관심] 세상만사에는 관심이 없네

自顧無長策[자고무장책] 생각해도 마땅한 대책은 없고

空知返舊林[공지반구림] 고향에 돌아가야 함만 깨닫네

松風吹解帶[송풍취해대] 솔바람 불어오면 옷고름 풀고

山月照彈琴[산월조탄금] 산달이 비춰오면 거문고 타네

君問窮通理[군문궁통리] 그대여 궁통의 이치 묻는가

漁歌入浦深[어가입포심] 포구 깊이 멀어가는 어부의 노래

 


왕유[王維] 성당(盛唐)의 대표적 시인. 개원(開元), 천보(天寶) 연간의 최고 시인이었다. 산서성(山西省) 기현인(祁縣人)으로 자()는 마힐(摩詰)이다. 서화와 음악에 모두 조예가 깊었다. 중국 자연시인의 대표로 꼽히며 남종화의 창시자로 불린다. 만년에 장안의 남쪽 남전현(藍田縣)에 있는 망천(輞川) 별장에 은거하며 역관역은(亦官亦隱)의 거사적 삶을 살았다. 그의 시는 명정청신(明淨淸新)하고 정미아치(精美雅致)하며 초속탈진(超俗脫塵)하다. 객관적이고 고요한 서경(敍景)뿐만 아니라 송별시·궁정시 분야에서도 뛰어났다. 이백(李白두보(杜甫)와 함께 당나라의 대시인이었고, 유마힐거사(維摩詰居士)로 칭하며 불교에 심취한 불교신자였기 때문에 시불(詩佛)이라고 일컬어진다. 벼슬이 상서우승(尙書右丞)에 이르렀을 때 죽었기 때문에 왕우승(王右丞)이라고도 불린다. 소식(蘇軾)은 당대(唐代) 산수전원시파(山水田園詩派)를 대표하는 그에 대해 마힐의 시를 음미하다 보면 시 속에 그림이 있고, 마힐의 그림을 보다 보면 그림 속에 시가 있다[味摩詰之詩, 詩中有畫; 觀摩詰之畫, 畫中有詩.]”고 하였다. 산수시(山水詩)에서 큰 성취를 보여 맹호연(孟浩然)과 병칭하여 왕맹(王孟)이라 일컬어진다. 저서로 왕우승집(王右丞集) 10권이 있다. 구당서(舊唐書) 왕유전(王維傳)왕유는 형제가 모두 부처를 받들었고, 언제나 채식을 했으며 매운 것과 육식을 하지 않았다. 만년에는 오랫동안 부정한 것을 멀리하고 살았으며 무늬나 색깔 있는 옷을 입지 않았다[維兄弟俱奉佛, 居常蔬食, 不茹葷血, 晩年長齋, 不衣紋彩.]”고 기록되어 있다.

만년[晩年] 사람의 일생에서 나이 많은 노인의 시절. 사람의 평생에서의 마지막 부분에 해당하는 시기.

장책[長策] 원대하고 좋은 계책(計策)이나 대책. 승산(勝算)

자고[自顧] 스스로 자신의 과거나 행동 따위를 돌아봄.

해대[解帶] 옷고름을 풀다. 허리띠를 풀어 편하게 하다. 벼슬에서 물러남.

궁통[窮通] 가난함과 부귀함을 아울러 이르는 말. 빈궁(貧窮)과 영달(榮達). 깊이 궁리(窮理)하여 통달(通達)

어가[漁歌] 굴원(屈原)이 조정에서 쫓겨나 초췌한 안색으로 강변을 거니는 것을 보고 어부가 그 이유를 물어, 굴원이 더러운 세상에 대해서 푸념을 늘어놓으니, 어부가 빙그레 웃으면서 창랑의 물 맑으면 내 갓끈 씻고, 창랑의 물 흐리면 내 발 씻으면 되지[滄浪之水淸兮 可以濯吾纓 滄浪之水濁兮 可以濯吾足]”라고 노래를 부르면서 노를 저어 떠나갔다는 어부사(漁父辭)의 이야기가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254 蘇軾[소식] 琴詩[금시] 거문고 3696
253 崔致遠[최치원] 蜀葵花[촉규화] 접시꽃 5346
252 李德懋[이덕무] 中秋月二首[중추월2수] 한가위 달 4540
251 兪好仁[유호인] 花山十歌화산십가[7] 청량산 상수리 3266
250 丁若鏞[정약용] 古詩二十七首고시27수[08] 제비의 시름 5109
249 李台瑞[이태서] 磯上獨鷹[기상독응] 물가 바위 위 외로운 매 3430
248 白居易[백거이]不出門[불출문]문밖에 안 나가고 5244
247 白居易[백거이]逍遙詠[소요영]노닐며 노래하다 3475
246 白居易[백거이]松齋自題[송재자제]송재에서 3165
245 白居易[백거이]養拙[양졸]쓰임 없이 살리라 4243
244 蘇軾[소식]送淵師歸徑山[송연사귀경산]스승님을 전송하며 2884
243 溫庭筠[온정균]過分水嶺[과분수령]분수령에서 2808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