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蘇軾[소식] 琴詩[금시] 거문고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695  

 

琴詩[금시] 거문고

 

- 蘇軾[소식] -

 

若言琴上有琴聲[약언금상유금성] 만약 거문고 위에 거문고 소리 있다면

放在匣中何不鳴[방재갑중하불명] 거문고 갑 속에서는 어찌 울리지 않나

若言聲在指頭上[약언성재지두상] 만약에 그 소리가 손가락 끝에 있다면

何不君指上聽[하불우군지상청] 그대 손가락 끝에선 어찌 들리지 않나



소식[蘇軾] ()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인으로 미주(眉州) 미산(眉山: 지금의 사천성四川省 미산眉山) 사람이다. 자는 자첨(子瞻화중(和仲)이며, 호는 동파거사(東坡居士정상재(靜常齋설랑재(雪浪齋)이며,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벼슬은 항주통판(杭州通判항주지주(抗州知州) 등을 지냈는데 치적이 있었고, 단명전학사(端明殿學士예부상서(禮部尙書)에 이르렀다.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을 반대하여 좌천되었으나 뒤에 철종(哲宗)에게 중용(重用)되었다. 소순(蘇洵)의 아들이자 소철(蘇轍)의 형으로 이 삼부자를 삼소(三蘇)라 부르는데 각기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자리를 차지하였다. 시는 송대(宋代)의 제1인자로 꼽히고 글씨와 그림에도 능하였다. ()에서는 신기질(辛棄疾)과 함께 소신(蘇辛)으로, 시에서는 황정견(黃庭堅)과 함께 소황(蘇黃)으로 병칭되었으며, 그림에서도 황정견(黃庭堅), 미불(米芾), 채양(蔡襄) 등과 함께 송사가(宋四家)로 불렸다. 또한 경사(經史)에 통하여 그의 학파를 촉파(蜀派)라 한다. 그의 시 적벽부(赤壁賦)가 유명하고, 저서에 역서전(易書傳), 논어설(論語說), 구지필기(仇池筆記), 동파칠집(東坡七集), 동파악부(東坡樂府), 동파지림(東坡志林), 동파전집(東坡全集) 등이 있다.

방재[放在] ~에 두다. ~에 놓다.

 

 



번호 제     목 조회
254 蘇軾[소식] 琴詩[금시] 거문고 3696
253 崔致遠[최치원] 蜀葵花[촉규화] 접시꽃 5345
252 李德懋[이덕무] 中秋月二首[중추월2수] 한가위 달 4540
251 兪好仁[유호인] 花山十歌화산십가[7] 청량산 상수리 3266
250 丁若鏞[정약용] 古詩二十七首고시27수[08] 제비의 시름 5109
249 李台瑞[이태서] 磯上獨鷹[기상독응] 물가 바위 위 외로운 매 3430
248 白居易[백거이]不出門[불출문]문밖에 안 나가고 5243
247 白居易[백거이]逍遙詠[소요영]노닐며 노래하다 3473
246 白居易[백거이]松齋自題[송재자제]송재에서 3165
245 白居易[백거이]養拙[양졸]쓰임 없이 살리라 4243
244 蘇軾[소식]送淵師歸徑山[송연사귀경산]스승님을 전송하며 2883
243 溫庭筠[온정균]過分水嶺[과분수령]분수령에서 2807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