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李商隱[이상은] 蟬[선] 매미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306  

 

[] 매미

 

- 李商隱[이상은] -

 

本以高難飽[본이고난포] 본시 청고해선 배부르기 어렵거늘

徒勞恨費聲[도로한비성] 헛되이 한탄하여 소리만 허비하네

五更疏欲斷[오경소욕단] 동틀 녘 끊어질 듯 소리 뜸해져도

一樹碧無情[일수벽무정] 나무는 무정하니 푸르기만 한 것을

薄宦梗猶泛[박환경유범] 미천한 벼슬로 정처 없이 떠돌다가

故園蕪已平[고원무이평] 고향 동산 이미 황폐해져 버렸으니

煩君最相警[번군최상경] 번거로이 그대 나를 일깨우려 하나

我亦擧家淸[아역거가청] 나 또한 온 집안이 청빈한 신세라네

 


이상은[李商隱] 만당(晩唐)의 시인으로, ()는 의산(義山), ()는 옥계생(玉谿生) 또는 번남생(樊南生)이다. 원적은 회주(懷州) 하내(河內: 지금의 허난성河南省 심양沁陽)지만 조부 때 형양(滎陽: 지금의 허난성河南省 정주鄭州)으로 옮겨왔다. 개성(開成) 2년 진사시험에 합격하여 동천절도사판관(東川節度使判官)과 검교공부원외랑(檢校理部員外郞)을 지냈다. 당시 우승유(牛僧孺)와 이덕유(李德裕)가 정치적으로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었는데, 처음에 우당(牛黨)의 영호초(令狐楚)에게서 병려문(騈儷文)을 배우고 그의 막료가 되었다가, 나중에 반대당인 이당(李黨)의 왕무원(王茂元)의 서기가 되어 그의 딸을 아내로 맞았다. 두 파 간의 새력다툼으로 관직에 오르기도 하고 귀양 가기도 하는 기구한 생애를 보냈다. 형양(滎陽)에서 객사하였다. 굴절이 많은 화려한 서정시를 썼는데, 시적 성취가 상당하여 두목(杜牧)과 함께 소이두(小李杜), 온정균(溫庭筠)과 함께 온이(溫李)로 불렸으며, 같은 시기의 단성식(段成式), 온정균(溫庭筠)과 시의 풍격이 가까웠는데 이들 세 사람의 가족 내 배항이 16번째라 이들을 합해 삼십육체(三十六體)라고 불렀다.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22편의 작품이 실려 수량으로는 네 번째로 많다. 그의 시는 한((육조시(六朝詩)의 정수를 계승하였고, 두보(杜甫)를 배웠으며, 이하(李賀)의 상징적 기법을 사랑하였다. 또한 전고(典故)를 자주 인용, 풍려(豊麗)한 자구를 구사하여 수사문학(修辭文學)의 극치를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저서로 이의산시집(李義山詩集)과 번남문집(樊南文集)이 있으며, 이의산잡찬(李義山雜纂)도 그의 저작으로 전한다.

청고[淸高] 사람됨이 맑고 고결(高潔). 또는, 맑고 높은 자리란 뜻으로, 높기는 하지만 일이 없어 한가로운 직책을 말한다.

도로[徒勞] 아무 보람이 없는 수고. 보람 없이 애씀. 헛되이 수고함.

오경[五更] 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눈 시각을 통틀어 일컬음. , 초경(初更), 이경(二更), 삼경(三更), 사경(四更), 오경(五更)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고대에 황혼에서 새벽까지 사이를 다섯 단계로 시각을 나누었는데, 이름은 각각 일경(一更)부터 오경(五更)까지, 일고(一鼓)부터 오고(五鼓)까지, 또는 갑야(甲夜), 을야(乙夜), 병야(丙夜), 정야(丁夜), 무야(戊夜)로 부르기도 했다.

오경[五更] 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눴을 때의 다섯 째 부분. 새벽 3시에서 5시 사이를 지칭한다. 즉 동이 틀 무렵인 새벽을 가리킨다. 무야(戊夜). 오고(五鼓). 오야(五夜).

박환[薄宦] 봉급이 적거나 지위가 낮은 관리. 하급 관리(官吏).

경범[梗泛] 물 위에 떠내려가는 장승이라는 말로, 정처없이 떠도는 생활을 가리킨다. 전국책(戰國策) 제책(齊策), 나무 인형[桃梗]이 흙 인형[土偶人]에게 너는 서안의 흙이다. 그 흙으로 빚어서 인형을 만든 것일 뿐이므로 팔월이 되어서 지수의 물이 넘치면 너 같은 것은 허물어져버리고 말 것이다.[, 西岸之土也, 挺子以爲人, 至歲八月, 降雨下, 淄水至, 則汝殘矣.]”라고 말하자, 흙 인형이 그렇지 않다. 나는 서안의 흙이기 때문에 서안으로 돌아갈 뿐이지만 그대는 동국산 복숭아나무 인형이다. 나무를 깎고 새겨 만든 인형이므로 비가 와서 지수가 넘치고 그대를 휩쓸어 가면 표류하는 수밖에 없는 그대는 도대체 어떻게 되는 것인가.[不然, 吾西岸之土也, 土則復西岸耳. 今子東國之桃梗也, 刻削子以爲人, 降雨下, 淄水至, 流子而去, 則子漂漂者將何如耳.]”하고 말하였다는 우화가 나온다.

 

 



번호 제     목 조회
278 陶淵明[도연명] 讀山海經十三首[其一]독산해경13수1 / 산해경을 읽다 4643
277 陶淵明[도연명] 形影神三首[형영신3수3] 神釋[신석] 정신이 몸과 그림자에게 5320
276 陶淵明[도연명] 形影神三首[형영신3수2] 影答形[영답형] 그림자가 몸에게 답하다 3704
275 陶淵明[도연명] 形影神三首[형영신3수1] 形贈影[형증영] 몸이 그림자에게 4158
274 杜甫[두보] 題張氏隱居二首[其一]제장씨은거2수1 / 숨어사는 장씨를 찾아 3691
273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五]음주20수5 / 초막 짓고 마을에 살아도 4102
272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三]음주20수3 / 큰 도가 사라진 후 3357
271 陶淵明[도연명] 雜詩十二首[其一]잡시12수1 / 세월은 기다리지 않는다 5138
270 陶淵明[도연명] 和郭主簿二首[其一]화곽주부2수1 / 차조를 찧어 술을 빚고 3609
269 佚名[일명] 古詩十九首[其十五]고시19수15 / 백년도 못 살면서 4586
268 白居易[백거이] 感興二首[其一]감흥2수1 / 길흉화복에는 이유 있으니 5388
267 白居易[백거이] 丘中有一士二首[其二]구중유일사2수2 / 배움은 마음에 있는 것 3453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