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白居易[백거이]勉閒遊[면한유]한가로이 노닐리라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373  

 

勉閒遊[면한유] 한가히 놀라

 

- 白居易[백거이] -

 

天時人事常多[천시인사상다고] 세상살이 언제나 변고가 많아

一歲春能幾處遊[일세춘능기처유] 일 년 한번 봄철인들 얼마나 놀랴

不是塵埃便風雨[불시진애편풍우] 먼지 티끌 아니면 비바람 막아서고

若非疾病卽[약비질병즉비우] 질병 아니면 슬픔 근심 시달리네

貧窮心苦多無興[빈궁심고다무흥] 가난하면 마음고생 흥이 안 나고

富貴身忙不自由[부귀신망부자유] 부귀하면 몸이 바빠 여유가 없네

唯有分司官恰好[유유분사관흡호] 작은 벼슬이지만 나에게는 알맞으니

閒遊雖老未能休[한유수로미능휴] 늙었으나 그지없이 한유를 누리리라

 


백거이[白居易] ()나라 때 시인으로 자는 낙천(樂天), 호는 향산거사(香山居士) 또는 취음선생(醉吟先生)이다. 조적(祖籍)은 산서(山西) 태원(太原)이고, 이백(李白)이 죽은 지 10, 두보(杜甫)가 죽은 지 2년 후에 하남(河南) 신정(新鄭)에서 태어났다. 정원(貞元) 16(800)에 진사가 되어, 벼슬은 소주(蘇州항주(杭州)의 자사를 거쳐 만년에 태자소부(太子少傅)에 지냈고, 형부상서(刑部尙書)로 치사(致仕)하였다. 향산(香山)에서 지내다가 세상을 뜬 뒤 낙양(洛陽) 남쪽 향산의 비파봉(琵琶峰)에 묻혔다. 시호는 문()이다. 세상 사람들이 백부(白傅) 또는 백문공(白文公)으로 불렀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5세 때부터 시 짓는 법을 배웠으며 15세가 지나자 주위 사람을 놀라게 하는 시재를 보였다 한다. 이백(李白), 두보(杜甫)와 더불어 당대3대시인(唐代三大詩人)으로, 같은 시대의 한유(韓愈)와 더불어 이두한백(李杜韓白)으로 병칭된다. 원진(元稹)과는 함께 신악부운동(新樂府運動)을 이끌어 원백(元白)으로, 유우석(劉禹錫)과는 유백(劉白)으로 병칭되며 당시 으뜸으로 쳤다. 백거이는 시의 제재가 광범위하고 형식이 다양하며 언어가 평이하고 통속적이어서 시마(詩魔) 또는 시왕(詩王) 등의 칭호를 얻었다. 그는 시론을 통해 자신의 시작의 첫째 목적은 겸제(兼濟)의 뜻을 살린 풍유(諷諭)에 있다고 현실주의적인 견해를 밝히고 있고, 스스로 자신의 시집을 편집하면서 시를 풍유시(諷諭詩), 한적시(閑寂詩), 감상시(感傷詩), 잡률(雜律詩)의 네 종류로 분류하였다. 만년에는 세상일에 대하여 고민하고 방황한 끝에 한적을 좋아하는 태도로 발전한다. 저서에 백씨장경집(白氏長慶集백씨육첩사류(白氏六帖事類) 등이 전한다. 장한가(長恨歌), 매탄옹(賣炭翁), 비파행(琵琶行) 등을 대표적인 시로 꼽는다.

한유[閑遊] 한가(閑暇)하게 놀고 지냄. 한가로이 노닒. 한가롭고 여유가 있음.

천시[天時] 하늘의 도움이 있는 시기. 때를 따라서 돌아가는 자연 현상. 곧 계절, 밤과 낮, 더위와 추위 따위를 이른다.

인사[人事] 세상의 일.

변고[變故]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 갑작스럽게 일어난 좋지 않은 일.

기처[幾處] 처리할 몇 가지 일이 있는 것을 말함. 이곳 저곳.

불시[不是] 이 아니다. (적당한 시기나 형편이) 아니다. 적합[적당]하지 않다.

약비[若非] 만일 하지 않다면. 만약 이 아니라면.

분사[分司] 당송(唐宋) 시대에는 중앙 관원으로 낙양(洛陽)에 나가 재직하는 사람을 가리키고, 또 명청(明淸) 시대에는 염운사(鹽運司) 밑에 설치한 분사에서 염무(鹽務)를 관장하는 관원을 가리키기도 하였다. 백락천은 동도(東都) 분사의 직책을 맡았었다.

흡호[恰好] 바로. 적당하다. 마침. 알맞다. 마침 잘.

미능[未能] 하지 못하다. 할 수 없다.

 

 



번호 제     목 조회
266 白居易[백거이] 丘中有一士二首[其一]구중유일사2수1 / 난학은 아득히 나니 3510
265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四]대주5수4 / 백 년을 산들 4582
264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二]대주5수2 / 달팽이 뿔 위에서 5728
263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一]대주5수1 / 잘났네 못났네 4489
262 白居易[백거이]勉閒遊[면한유]한가로이 노닐리라 3374
261 白居易[백거이] 放言五首[其五]방언5수5 / 하루라도 누리라 4030
260 白居易[백거이]不如來飮酒[불여래음주]술이나 마시며 3239
259 李商隱[이상은] 蟬[선] 매미 4314
258 金炳淵[김병연] 詠笠[영립] 나의 삿갓은 3751
257 金炳淵[김병연] 老牛[노우] 늙은 소 3380
256 王績[왕적] 春桂問答[춘계문답] 봄날 계수나무에게 3605
255 鄭燮[정섭] 盆蘭[분난] 화분의 난초 3342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