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二]대주5수2 / 달팽이 뿔 위에서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696  

 

對酒五首[其二]대주52 / 달팽이 뿔 위에서

 

- 白居易[백거이] -

 

蝸牛角上爭何事[와우각상쟁하사] 달팽이 뿔 위에서 싸워 무얼 하나

石火光中寄此身[석화광중기차신] 부싯불 번쩍 튀는 찰나를 사는 몸

隨富隨貧且歡樂[수부수빈차환락] 부귀든 빈천이든 그 또한 즐길 일

不開口笑是癡人[불개구소시치인] 크게 웃지 않는 자가 어리석은 자

 


백거이[白居易] ()나라 때 시인으로 자는 낙천(樂天), 호는 향산거사(香山居士) 또는 취음선생(醉吟先生)이다. 조적(祖籍)은 산서(山西) 태원(太原)이고, 이백(李白)이 죽은 지 10, 두보(杜甫)가 죽은 지 2년 후에 하남(河南) 신정(新鄭)에서 태어났다. 정원(貞元) 16(800)에 진사가 되어, 벼슬은 소주(蘇州항주(杭州)의 자사를 거쳐 만년에 태자소부(太子少傅)에 지냈고, 형부상서(刑部尙書)로 치사(致仕)하였다. 향산(香山)에서 지내다가 세상을 뜬 뒤 낙양(洛陽) 남쪽 향산의 비파봉(琵琶峰)에 묻혔다. 시호는 문()이다. 세상 사람들이 백부(白傅) 또는 백문공(白文公)으로 불렀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5세 때부터 시 짓는 법을 배웠으며 15세가 지나자 주위 사람을 놀라게 하는 시재를 보였다 한다. 이백(李白), 두보(杜甫)와 더불어 당대3대시인(唐代三大詩人)으로, 같은 시대의 한유(韓愈)와 더불어 이두한백(李杜韓白)으로 병칭된다. 원진(元稹)과는 함께 신악부운동(新樂府運動)을 이끌어 원백(元白)으로, 유우석(劉禹錫)과는 유백(劉白)으로 병칭되며 당시 으뜸으로 쳤다. 백거이는 시의 제재가 광범위하고 형식이 다양하며 언어가 평이하고 통속적이어서 시마(詩魔) 또는 시왕(詩王) 등의 칭호를 얻었다. 그는 시론을 통해 자신의 시작의 첫째 목적은 겸제(兼濟)의 뜻을 살린 풍유(諷諭)에 있다고 현실주의적인 견해를 밝히고 있고, 스스로 자신의 시집을 편집하면서 시를 풍유시(諷諭詩), 한적시(閑寂詩), 감상시(感傷詩), 잡률(雜律詩)의 네 종류로 분류하였다. 만년에는 세상일에 대하여 고민하고 방황한 끝에 한적을 좋아하는 태도로 발전한다. 저서에 백씨장경집(白氏長慶集백씨육첩사류(白氏六帖事類) 등이 전한다. 장한가(長恨歌), 매탄옹(賣炭翁), 비파행(琵琶行) 등을 대표적인 시로 꼽는다.

와우각상쟁[蝸牛角上爭] 달팽이 뿔 위에서 싸움. 장자(莊子) 칙양편(則陽篇)에 달팽이 왼쪽 뿔에 사는 촉씨(觸氏)와 오른쪽 뿔에 사는 만씨(蠻氏) 두 부족이 영토 다툼을 벌이다가 큰 희생을 치렀다는 우화가 나오는데, 이로부터 좁은 세상에서 하찮은 다툼을 벌이는 것을 비유하는 와각지쟁(蝸角之爭)이라는 고사성어가 유래되었다.

석화광중[石火光中] 부싯돌의 불이 번쩍이는 것처럼 지극히 짧은 시간을 이르는 말.

 

 



번호 제     목 조회
278 陶淵明[도연명] 讀山海經十三首[其一]독산해경13수1 / 산해경을 읽다 4598
277 陶淵明[도연명] 形影神三首[형영신3수3] 神釋[신석] 정신이 몸과 그림자에게 5303
276 陶淵明[도연명] 形影神三首[형영신3수2] 影答形[영답형] 그림자가 몸에게 답하다 3695
275 陶淵明[도연명] 形影神三首[형영신3수1] 形贈影[형증영] 몸이 그림자에게 4123
274 杜甫[두보] 題張氏隱居二首[其一]제장씨은거2수1 / 숨어사는 장씨를 찾아 3676
273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五]음주20수5 / 초막 짓고 마을에 살아도 4088
272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三]음주20수3 / 큰 도가 사라진 후 3354
271 陶淵明[도연명] 雜詩十二首[其一]잡시12수1 / 세월은 기다리지 않는다 5130
270 陶淵明[도연명] 和郭主簿二首[其一]화곽주부2수1 / 차조를 찧어 술을 빚고 3604
269 佚名[일명] 古詩十九首[其十五]고시19수15 / 백년도 못 살면서 4579
268 白居易[백거이] 感興二首[其一]감흥2수1 / 길흉화복에는 이유 있으니 5382
267 白居易[백거이] 丘中有一士二首[其二]구중유일사2수2 / 배움은 마음에 있는 것 3448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