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五]음주20수5 / 초막 짓고 마을에 살아도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107  

 

飮酒二十首[其五]음주205 / 초막 짓고 마을에 살아도

 

- 陶淵明[도연명] -

 

結廬在人境[결려재인경] 오막살이 짓고 마을에 살아도

而無車馬喧[이무거마훤] 거마의 시끄러움 없이 산다네

問君何能爾[문군하능이] 묻노니, 어찌 그리 살 수 있나

心遠地自偏[심원지자편] 마음 멀리 두면 절로 벽지라네

采菊東籬下[채국동리하] 동쪽 울타리 아래 국화를 따다

悠然見南山[유연견남산] 유연히 남산을 바라보노라니

山氣日夕佳[산기일석가] 산 빛은 저물녘에 더욱이 좋고

飛鳥相與還[비조상여환] 날던 새 무리지어 돌아오누나

有眞意[차간유진의] 이 가운데 참다운 의미 있으니

已忘言[욕변이망언] 이러저러 말하려다 말을 잊었네

 

幷序병서 : 나는 한가롭게 살아 기뻐할 일이 적은데다 근래에는 밤마저 길어지는 차에, 우연찮게 좋은 술을 얻게 되어 저녁마다 술을 마시지 않은 적이 없다. 그림자를 돌아보며 홀로 잔을 비우고 홀연히 취하곤 하는데, 취한 후에는 언제나 시 몇 구를 적어 스스로 즐겼다. 붓으로 종이에 적은 것이 꽤 되어, 말에 조리도 두서도 없지만 애오라지 친구에게 쓰게 하여 이로써 즐거운 웃음거리로 삼고자 한다[余閒居寡歡, 兼比夜已長, 偶有名酒, 無夕不飮. 顧影獨盡, 忽焉復醉. 旣醉之後, 輒題數句自娛. 紙墨遂多, 辭無詮次, 聊命故人書之, 以爲歡笑爾.] <飮酒二十首 幷序>


 ※ 고문진보(古文眞寶)에는 이 시의 제목이 잡시(雜詩)’로 되어 있으나도연명집(陶淵明集)에는 음주(飮酒)’로 되어 있다.


도연명[陶淵明] 도잠(陶潛). 동진(東晉) 말기부터 남조(南朝) (:유송劉宋) 초기 사람이다. 시인이자 문학가로 청신하고 자연스러운 시문으로 시명을 얻었다. 강주(江州) 심양(尋陽) 시상(柴桑)에서 태어났다. 자는 원량(元亮)이다. ()나라에 와서 이름을 잠()으로 바꾸었다. 일설에는 연명(淵明)이 그의 자()라고도 한다. 증조부 도간(陶侃)은 동진(東晉)의 개국공신으로 관직이 대사마에 이르렀으며, 조부 도무(陶茂)와 부친 도일(陶逸)도 태수를 지냈다. 29세 때에 벼슬길에 올라 주()의 좨주(祭酒)가 되었지만, 얼마 안 가서 사임하였다. 그 후 생활을 위하여 진군참군(鎭軍參軍건위참군(建衛參軍)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항상 전원생활을 동경한 그는 팽택현령(彭澤縣令)이 되었으나 80여 일 만에 벼슬을 버리고, 41세에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읊으며 전원으로 돌아와 문 앞에 다섯 그루의 버드나무를 심고 스스로 오류선생(五柳先生)이라 칭하였다. 고향에 은거한 뒤에 다시는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농사를 지으며 살다가 63세에 세상을 떴다. 그의 사후에 평소 그와 가깝게 지냈던 이들이 그에게 정절선생(靖節先生}이란 시호를 주어 불렀다. ()나라 종영(鍾嶸)의 시품(詩品)고금의 은일시인 가운데 첫머리[古今隱逸詩人之宗]”라 평가했을 만큼 그의 시풍이 중국문학사에 남긴 영향이 매우 크다. 주요 작품으로 음주(飮酒귀원전거(歸園田居도화원기(桃花源記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귀거래사(歸去來辭) 등이 있다. 도연명이 직접 지은 만사는 고금사문유취(古今事文類聚)에 의만가사(擬挽歌辭)라는 제목으로 3수가 실려 있다.

[] 농막. 오두막집.

인경[人境] 사람이 살고 있는 고장. 사람들이 사는 곳. 사람의 발자취가 있는 곳.

거마[車馬] 수레와 말을 아울러 이르는 말.

심원[心遠] 세속의 명리에 연연하지 않음. 소원하다. 뜻이 원대하다. 쌀쌀하다.

편벽[偏僻] 도회지(都會地)에서 멀리 떨어짐. 중심에서 떨어져 구석으로 치우침. 마음이 한쪽으로 치우침. 외지다. 궁벽하다. 구석지다.

벽지[僻地] 외따로 뚝 떨어져 있는 궁벽한 땅. 도시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교통이 불편하고 문화의 혜택이 적은 곳을 이른다. 벽경(僻境).

유연[悠然] 여유롭고 편안한 모양. 유유(悠悠)하여 태연(泰然). 침착하고 여유가 있음. 유연하다. 유유하다.

산기[山氣] 씩씩하고 깨끗한 산의 기운(氣運). 산속 특유의 찬 공기나 산에 끼는 아지랑이. 산속 특유의 맑고 서늘한 기운.

일석[日夕] 해지는 저녁. 해가 지고 밤이 되기까지의 사이.

의미[意味] 말이나 글의 뜻. 행위나 현상이 지닌 뜻. 사물이나 현상의 가치. 정조. 정취. 흥취. 흥미. 기분. 재미. .

의취[意趣] 의지(意志)와 취향(趣向)을 아울러 이르는 말. 지취(志趣).

분별[分別] 느끼고 헤아려서 현상을 식별함. 대상을 사유하고 식별하는 마음의 작용. (), 심소(心所)가 대경(對境)에 대하여 작용을 일으켜 그 상()을 취해서 생각하는 것. 구별하여 판단함. 서로 구별을 지어 가르는 것. 사물을 종류에 따라 나누는 것. 세상물정(世上物情)에 대한 바른 생각이나 판단.

 

 



번호 제     목 조회
386 李荇[이행]花徑[화경]꽃 길 3577
385 王維[왕유]木蘭柴[목란시]목란 울타리 3576
384 李白[이백]長干行[장간행]장간행 3575
383 杜甫[두보]新婚別[신혼별]신혼의 이별 3572
382 杜甫[두보]茅屋爲秋風所破歌[모옥위추풍소파가]가을 바람에 띠지붕 날아가 3568
381 金炳淵[김병연]自嘆[자탄]스스로 탄식하다 3565
380 劉禹錫[유우석]飮酒看牧丹[음주간모란]모란을 보며 마시다 3562
379 王維[왕유]積雨輞川莊作[적우망천장작]장마철 망천 별장에서 3557
378 白居易[백거이]村夜[촌야]시골의 밤 3555
377 白居易[백거이]大林寺桃花[대림사도화]대림사의 복숭아꽃 3552
376 杜甫[두보]江村[강촌]강마을 3539
375 陳師道[진사도]絶句[절구]세상만사 3535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