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李白[이백]自遣[자견]홀로 가는 길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485  


自遣[자견] 스스로 마음을 달래다

 

- 李白[이백] -

 

對酒不覺暝[대주불각명] 술을 마주하다 저무는 줄 몰랐더니

落花盈我衣[낙화영아의] 꽃잎 떨어져 내 옷자락에 수북하네

醉起步溪月[취기보계월] 취하여 일어나 계곡 달빛을 걸으니

鳥還人亦稀[조환인역희] 새는 둥지로 들고 사람도 드물어라



이백[李白]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는 태백(太白)이고. ()는 취선옹(醉仙翁해상조오객(海上釣鰲客청련거사(靑蓮居士)이다. 태어날 때 어머니가 꿈에 태백성(太白星)을 보았다고 한다. 아버지는 서역(西域)의 호상이었다고 전한다. 출생지는 오늘날의 사천성(四川省)인 촉()의 창명현(彰明縣) 또는 더 서쪽의 서역으로서, 어린 시절을 촉나라에서 보냈다. 천보(天寶) 원년(元年: 742) 가을에 처음 장안(長安)에 나와 하지장(賀知章)을 만나 적선인(謫仙人)으로 찬양되면서, 그 명성이 온 세상에 퍼졌다. 그 뒤 현종(玄宗)을 알현하여 시문의 재능을 인정받아 한림공봉(翰林供奉)으로 임명되고 궁정 시인이 되기도 했으나, 현종의 실정 이후 정치에 뜻을 잃고 방랑시인이 되었다. 성품이 호방하여 세속에 매이지 않아 천하를 유람하며 시주(詩酒)로 생활하였다. 시풍이 웅기하고 호방하며 상상력이 풍부하고 언어의 흐름이 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음률의 조화와 변화가 다양하다. 그의 시는 서정성(抒情性)이 뛰어나 논리성(論理性), 체계성(體系性)보다는 감각(感覺), 직관(直觀)에서 독보적(獨步的)이다. , 달을 소재(素材)로 많이 썼으며, 낭만적(浪漫的)이고 귀족적(貴族的)인 시풍을 지녔다. 천하를 주유하며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그의 생활 태도를 반영한 대표작으로는 촉도난(蜀道難)이 있다.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며 한시(漢詩)의 양대 산맥으로 일컬어져 이백(李白)은 시선(詩仙), 두보(杜甫)는 시성(詩聖)으로 불린다. 성당(盛唐) 시기 시가(詩歌) 예술의 최고봉에 올랐다. 지금까지 전하는 시가 1천여 편에 달하고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 30권이 있다.

자견[自遣] 나쁜 감정 따위를 스스로 풀다. 우울한 기분을 스스로 풀다. 자기 스스로의 마음을 위로함. 자위(自慰). 소견(消遣)하다. 기분 전환을 위해 희비(喜悲)와 관련된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 스스로를 위로하고 달래는 것을 가리킨다. 자책하다. 스스로를 꾸짖다.

 

 



번호 제     목 조회
26 王建[왕건]雨過山村[우과산촌]비 지나는 산마을 3016
25 王錫[왕석]春江花月夜[춘강화월야]봄 강의 꽃 핀 달밤 3656
24 王維[왕유]送別[송별]송별 6545
23 王維[왕유]送沈子福歸江南[송심자복귀강남]강남으로 친구를 보내며 3396
22 王維[왕유]送元二使安西[송원이사안서]원이를 보내며 3401
21 王維[왕유]辛夷塢[신이오]목련이 심겨진 둑 3726
20 王維[왕유]雜詩[잡시]봄의 우수 4989
19 王維[왕유]田園樂 06[전원락 06]전원의 즐거움 3950
18 韋莊[위장]稻田[도전]벼논 2576
17 張若虛[장약허]春江花月夜[춘강화월야]봄 강의 꽃 핀 달밤 5402
16 劉禹錫[유우석]飮酒看牧丹[음주간모란]모란을 보며 마시다 3562
15 李白[이백]金陵酒肆留別[금릉주사유별]이별의 잔을 나누며 3417



   41  42  43  44  45  46  47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