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賈島[가도] 尋隱者不遇[심은자불우] 은자를 찾았느나 만나지 못하고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303  

 

尋隱者不遇[심은자불우] 은자를 찾아가 못 만나다

 

- 賈島[가도] -

 

松下問童子[송하문동자] 소나무 아래 동자에게 물으니

言師採藥去[언사채약거] 스승은 약초 캐러 가셨다 하네

只在此山中[지재차산중] 이 산 속 어딘가에 계시겠지만

雲深不知處[운심부지처] 구름 짙어 계신 곳 모른다 하네

 

이 시가 가도(賈島)의 작품이 아니고, 손혁(孫革)의 방양존사(訪羊尊師)라는 설도 있다.


가도[賈島] 가도는 당() 나라 때의 시인으로 범양(范陽: 지금의 北京市북경시 부근) 사람이다. 자는 낭선(浪仙)이다. 어려서 출가하여 승려가 되어 법명(法名)을 무본(無本)이라 했으나, 시로 한유(韓愈)에게 인정받았고, 한유의 권면으로 환속하여 그에게 시문을 배웠다. 문종(文宗) 때에 장강(長江: 지금의 四川省사천성 蓬溪縣봉계현) 주부(主簿)가 되었으며, 이로 인해 가장강(賈長江)이라고 불린다. 시를 지을 때에 매우 고심하여 글자 한 자도 빈틈없이 사용하는 시인으로 유명했다. 그의 시는 격조가 맹교(孟郊)와 비슷하여 교한도수(郊寒島瘦)’라고 칭해진다. 당재자전(唐才子傳)에 소전(小傳)이 있으며, 시집으로 장강집(長江集)이 전한다. 그의 시 제이응유거(題李凝幽居)새는 못가의 나무에 깃들이고 중은 달 아래 대문을 두드린다[鳥宿池邊樹 僧敲月下門]”라는 구절에서, ‘퇴고(推敲)’라는 말이 유래하였다.

퇴고[推敲] 시문(詩文)을 지을 때 자구(字句)를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치는 일을 이른다. ()나라의 시인 가도(賈島)가 나귀를 타고 가다 시 한 수가 떠올랐다. 그것은 새는 연못 가 나무에 자고 중은 달 아래 문을 민다[鳥宿池邊樹 僧推月下門]”라는 것이었는데, 달 아래 문을 민다보다는 두드린다[]고 하는 것이 어떨까 하고 골똘히 생각하다 그만 경조윤(京兆尹) 한유(韓愈)의 행차 길을 침범하였다. 한유 앞으로 끌려간 그가 사실대로 이야기하자 한유는 노여운 기색도 없이 한참 생각하더니 역시 민다는 퇴()보다는 두드린다는 고()가 좋겠군.”이라 하며 가도와 행차를 나란히 하였다는 고사(故事)에서 생겨난 말로, 이때부터 퇴고는 시를 지을 때 제자리에 꼭 알맞은 글자를 놓으려고 고심하는 것을 의미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唐詩紀事>

 

 



번호 제     목 조회
518 宋眞宗[송진종] 勸學文[권학문] 勸學詩권학시 1907
517 鄭誧[정포] 題梁州客舍壁[제양주객사벽] 새벽 이별 1556
516 鄭澈[정철] 山寺夜吟[산사야음] 산사의 밤 1705
515 丁若鏞[정약용] 打麥行[타맥행] 보리타작 1946
514 李白[이백] 對酒憶賀監二首[대주억하감2수] 술을 보니 친구가 그리워 2278
513 鄭道傳[정도전] 四月初一日[사월초일일] 사월 초하루 1535
512 繡香閣[수향각] 元氏[원씨] 春日[춘일] 꿈결처럼 봄이 가네 1700
511 繡香閣元氏[수향각원씨] 寄玉山[기옥산] 옥산께 부치다 1468
510 鄭道傳[정도전] 訪金居士野居[방김거사야거] 김거사의 시골집을 찾아 2089
509 靜觀一禪[정관일선] 行路難[행로난] 어려운 길 1849
508 杜甫[두보] 夏日李公見訪[하일이공견방] 여름날 이염공이 찾아와 1879
507 靜觀一禪[정관일선] 重上金剛臺[중상금강대] 금강대에 앉아 1717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