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李穡[이색]驪江迷懷[여강미회]여강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641  


驪江[여강여주의 강에서

 

李穡[이색] -

 

驪興江上雪消初[려흥강상설소초여흥 강 위에 눈이 녹기 시작하니

欲坐扁舟向草廬[욕좌편주향초려조각배 올라타고 집으로 가고 싶네

病骨酸辛春又半[병골산신춘우반병든 몸 고통 속에 봄은 또 지나는데

奈何猶未賦歸歟[내하유미부귀여어이 아직 사직하고 돌아가지 못하나

 

春風澹蕩曉陰垂[춘풍담탕효음수봄바람 고요히 불고 구름 드리운 새벽

白髮衰翁坐詠詩[백발쇠옹좌영시백발의 쇠한 늙은이 앉아서 시를 읊네

江上綠波連竹嶺[강상녹파연죽령강 위의 푸른 물결 죽령과 연하였거니

泝流何日望南陲[소류하일망남수언제 거슬러 올라 남쪽 변경 바라볼까

 

天地無涯生有涯[천지무애생유애천지는 끝이 없고 인생은 끝이 있으니

浩然歸志欲何之[호연귀지욕하지호연히 돌아갈 뜻 어디에 두어야 하나

驪江一曲山如畵[여강일곡산여화여강의 한 굽이에 산이 그림과 같으니

半似丹靑半似詩[반사단청반사시절반은 단청과 같고 절반은 시와 같네

 

說食飢夫口帶涎[설식기부구대연음식 얘기 주린 사내 입에 침을 흘리고

腹中無物只心煎[복중무물지심전뱃속에 든 것 없으니 마음만 탈 뿐이네

牧翁歸興難兄弟[목옹귀흥난형제나의 돌아갈 흥취 그와 다를 바 없거니

謾與詩家作好聯[만여시가작호련공연히 시인과 더불어 연구나 짓고 있네

 

<驪江여강 여강(남한강)에서 李穡이색 牧隱詩藁목은시고>

 

 이 시의 세 번 째 수는 여러 곳에서 여강미회(驪江迷懷)’라는 제목으로 소개되고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518 宋眞宗[송진종] 勸學文[권학문] 勸學詩권학시 1905
517 鄭誧[정포] 題梁州客舍壁[제양주객사벽] 새벽 이별 1548
516 鄭澈[정철] 山寺夜吟[산사야음] 산사의 밤 1701
515 丁若鏞[정약용] 打麥行[타맥행] 보리타작 1941
514 李白[이백] 對酒憶賀監二首[대주억하감2수] 술을 보니 친구가 그리워 2273
513 鄭道傳[정도전] 四月初一日[사월초일일] 사월 초하루 1533
512 繡香閣[수향각] 元氏[원씨] 春日[춘일] 꿈결처럼 봄이 가네 1696
511 繡香閣元氏[수향각원씨] 寄玉山[기옥산] 옥산께 부치다 1454
510 鄭道傳[정도전] 訪金居士野居[방김거사야거] 김거사의 시골집을 찾아 2087
509 靜觀一禪[정관일선] 行路難[행로난] 어려운 길 1843
508 杜甫[두보] 夏日李公見訪[하일이공견방] 여름날 이염공이 찾아와 1874
507 靜觀一禪[정관일선] 重上金剛臺[중상금강대] 금강대에 앉아 1712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