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慧勤[혜근] 山居[산거] 산에 살다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745  

 

山居[산거] 산에 살다

 

- 慧勤[혜근] -

 

白雲堆裏屋三間[백운퇴리옥삼간] 흰 구름 쌓인 곳에 세 칸 집 짓고 사니

坐臥經行得自閑[좌와경행득자한] 앉고 눕고 거닐기에 한가롭기 그지없네

磵水泠泠談般若[간수령령담반야] 똘똘똘 흐르는 시냇물 지혜를 얘기하고

淸風和月遍身寒[청풍화월편신한] 맑은 바람 환한 달에 온 몸에 서늘하네

 


혜근[慧勤]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 속성은 아(), 법호는 나옹(懶翁강월헌(江月軒), 초명은 원혜(元惠), 시호는 선각왕사(禪覺王師). 20세 때 출가하여 공덕산(功德山) 묘적암(妙寂庵)에서 요연(了然)에게 삭발 받은 후 원나라에 들어가 지공(指空)에게 배우고 공민왕의 왕사가 되었다. 지공, 무학(無學)과 함께 당대의 3대 화상(三大和尙)이라 불리웠다. 보우(普愚)와 함께 고려 말 선종(禪宗)의 고승(高僧)으로서 조선 불교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 서예(書藝)와 그림에 뛰어났다. 1376년 여주의 신륵사(新勒寺)에서 죽었다. 정골사리(頂骨舍利)는 신륵사에 있고 이색(李穡)이 글을 지어 세운비와 부도(浮屠)가 회암사에 남아 있다.

경행[經行] 경명행수(經明行修)의 준말. 불도(佛道)를 닦음. 산책. 이리저리 한가로이 거닒. 좌선하다가 졸음을 쫓거나 굳어진 몸을 풀기 위해 천천히 거니는 수행. 법회 때, 걸으면서 불경을 독송하는 의식.

간수[磵水] 산골짜기를 흐르는 물.

반야[般若] 모든 사물의 본래의 양상을 이해하고 불법(佛法)의 진실된 모습을 파악하는 지성(知性)의 작용. 또는 최고의 진리를 인식하는 지혜. 분별(分別)이나 망상(妄想)을 떠나 깨달음과 참모습을 환히 아는 지혜(智慧·知慧). 이 지혜를 얻어야 성불(成佛). 산스크리트어 ‘Prajñā’의 음역어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18 宋眞宗[송진종] 勸學文[권학문] 勸學詩권학시 1906
517 鄭誧[정포] 題梁州客舍壁[제양주객사벽] 새벽 이별 1552
516 鄭澈[정철] 山寺夜吟[산사야음] 산사의 밤 1703
515 丁若鏞[정약용] 打麥行[타맥행] 보리타작 1944
514 李白[이백] 對酒憶賀監二首[대주억하감2수] 술을 보니 친구가 그리워 2276
513 鄭道傳[정도전] 四月初一日[사월초일일] 사월 초하루 1535
512 繡香閣[수향각] 元氏[원씨] 春日[춘일] 꿈결처럼 봄이 가네 1699
511 繡香閣元氏[수향각원씨] 寄玉山[기옥산] 옥산께 부치다 1464
510 鄭道傳[정도전] 訪金居士野居[방김거사야거] 김거사의 시골집을 찾아 2088
509 靜觀一禪[정관일선] 行路難[행로난] 어려운 길 1846
508 杜甫[두보] 夏日李公見訪[하일이공견방] 여름날 이염공이 찾아와 1877
507 靜觀一禪[정관일선] 重上金剛臺[중상금강대] 금강대에 앉아 1714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