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李白[이백] 獨坐敬亭山[독좌경정산] 홀로 경정산에 앉아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074  

 

獨坐敬亭山[독좌경정산] 홀로 경정산에 앉아

 

- 李白[이백] -

 

衆鳥高飛盡[중조고비진] 새들은 높이 날아 사라져가고

孤雲獨去[고운독거한] 외로운 구름 홀로 한가히 가네

相看兩不厭[상간양불염] 마주 보아 싫증나지 않는 것은

只有敬亭山[지유경정산] 오직 경정산이 있을 뿐이라네

 


이백[李白] ()나라 때의 시인. 자는 태백(太白).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 취선옹(醉仙翁).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는 중국의 대표 시인이며, 시선(詩仙)이라 불린다. 아버지는 서역(西域)의 호상이었다고 전한다. 출생지는 오늘날의 쓰촨성[四川省]인 촉()나라의 장밍현[彰明縣] 또는 더 서쪽의 서역으로서, 어린 시절을 촉나라에서 보냈다. 당 현종(唐玄宗) 때 한림학사(翰林學士)에까지 올랐으나 현종의 실정 이후 정치에 뜻을 잃고 방랑시인이 되었다. 그의 시는 서정성(抒情性)이 뛰어나 논리성(論理性), 체계성(體系性)보다는 감각(感覺), 직관(直觀)에서 독보적(獨步的)이다. , 달을 소재(素材)로 많이 썼으며, 낭만적(浪漫的)이고 귀족적(貴族的)인 시풍을 지녔다. 천하를 주유하며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그의 생활 태도를 반영한 대표작으로는 촉도난(蜀道難)이 있다.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 30권이 전한다.

경정산[敬亭山] 중국 안휘성(安徽省) 동남부 선성현(宣城縣) 북쪽에 있는 산이다. 소정산(昭亭山), 사산(査山)이라고도 한다. 산 위에 경정(敬亭)이라는 이름의 정자가 있다. 풍경이 빼어난 산으로 그리 높지는 않으나 천암만학(千巖萬壑)의 명승지로 이름이 높다. 남조(南朝) ()나라 때의 유명한 시인인 사조(謝眺)가 선성태수(宣城太守)로 부임하면서 유경정산(遊敬亭山)이라는 오언시(五言詩)를 지어 유명해졌고, 그 이후 이백(李白)이 그 풍류를 사모해 독좌경정산(獨坐敬亭山)이란 시를 지어 더욱 유명해졌다.

상간[相看] 서로 보다. 주시하다. 대하다. 대우하다. ~()로 보다. 직접 보다. 맞선 보다.

 

 



번호 제     목 조회
518 宋眞宗[송진종] 勸學文[권학문] 勸學詩권학시 1906
517 鄭誧[정포] 題梁州客舍壁[제양주객사벽] 새벽 이별 1550
516 鄭澈[정철] 山寺夜吟[산사야음] 산사의 밤 1701
515 丁若鏞[정약용] 打麥行[타맥행] 보리타작 1942
514 李白[이백] 對酒憶賀監二首[대주억하감2수] 술을 보니 친구가 그리워 2273
513 鄭道傳[정도전] 四月初一日[사월초일일] 사월 초하루 1534
512 繡香閣[수향각] 元氏[원씨] 春日[춘일] 꿈결처럼 봄이 가네 1698
511 繡香閣元氏[수향각원씨] 寄玉山[기옥산] 옥산께 부치다 1457
510 鄭道傳[정도전] 訪金居士野居[방김거사야거] 김거사의 시골집을 찾아 2087
509 靜觀一禪[정관일선] 行路難[행로난] 어려운 길 1843
508 杜甫[두보] 夏日李公見訪[하일이공견방] 여름날 이염공이 찾아와 1875
507 靜觀一禪[정관일선] 重上金剛臺[중상금강대] 금강대에 앉아 1712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