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李奎報[이규보] 下寧寺[하령사] 하령사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645  

 

下寧寺[하령사] 하령사

 

- 李奎報[이규보] -

 

偶到湖邊寺[우도호변사] 어쩌다 호숫가 절에 이르니

淸風散酒醺[청풍산주훈] 맑은 바람에 술기운 달아나네

野荒偏引燒[야황편인소] 들은 풀에 덮여 불붙기 일쑤고

江暗易生雲[강암이생운] 강은 어둑하니 쉬이 구름 일어

碧嶺侵沙斷[벽령침사단] 푸른 고개는 사태에 끊기었고

奔流夾岸分[분류협안분] 빠른 물살은 언덕 끼고 나뉘네

孤舟何處泊[고주하처박] 외로운 배를 어디에 댈까

漁笛晩來聞[어적만래문] 저물어 들려오는 어부의 피리소리

 

이 시의 제목이 동문선(東文選)에는 하령사(下寧寺)로 되어 있고,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는 취유하령사(醉遊下寧寺)로 되어 있다.


이규보[李奎報] 고려후기(高麗後期)의 대표적인 문신이자 문장가. 본관은 황려(黃驪: 여주). 자는 춘경(春卿), 초명은 인저(仁低), 호는 백운거사(白雲居士지헌(止軒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이다. 9세 때부터 신동이라는 말을 들어 14살에는 문헌공도(文憲公徒)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소년시절 술을 좋아하며 자유분방하게 지냈는데, 과거지문(科擧之文)을 하찮게 여기고 이인로(李仁老), 오세재(吳世才), 임춘(林春), 조통(趙通), 황보항(皇甫抗), 함순(咸淳), 이담지(李潭之) 등 강좌칠현(姜左七賢)과 교유하였다. 23세 때 겨우 진사에 급제했으나 출세의 기회를 얻지 못했다. 26세에 개성으로 돌아와 궁핍한 생활을 하면서, 당시의 문란한 정치와 혼란한 사회를 보고 크게 각성하여 동명왕편(東明王篇)을 지었다. 그 후 최충헌(崔忠憲)정권에 시문으로 접근하여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고 32세 때부터 벼슬길에 오르게 되었다. 이후 좌천과 부임, 면직과 유배 그리고 복직 등을 거듭하면서 다사다난한 생을 보냈다. 저서로는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백운소설(白雲小說), 국선생전(麴先生傳) 등의 저서와 많은 시문(詩文)을 남겼다.

주훈[酒醺] 술을 마시고 취기(醉氣)가 돎. 또는 취하여 기분이 좋아짐.

분류[奔流] 급류(急流). 내달리듯 빠르고 힘차게 흐르는 물줄기. 내달리듯 빠르고 힘차게 흐름. 물살이 세차게 흐르다. 콸콸 흐르다.

어적[漁笛] 어부(漁夫)가 부는 피리. 어촌에서 들리는 피리 소리.

 

 



번호 제     목 조회
542 杜甫[두보] 秋興八首[其二]추흥8수2 / 백제성 피리소리 1269
541 白居易[백거이] 途中感秋[도중감추] 길에서 가을을 느끼다 2585
540 韋應物[위응물] 淮上遇洛陽李主簿[회상우낙양이주부] 회상에서 낙양의 이주부를 만나다 1987
539 陸遊[육유] 病思[병사] 앓는 심사 2197
538 劉禹錫[유우석] 望洞庭[망동정] 동정호를 바라보며 2411
537 杜甫[두보] 醉時歌[취시가] 취하여 부르는 노래 2571
536 杜牧[두목] 贈別二首[其二]증별2수2 / 이별하며 주다 2291
535 杜牧[두목] 贈別二首[其一]증별2수1 / 헤어지며 주다 2145
534 杜甫[두보] 憶弟二首[其二]억제2수2 / 아우 생각 2111
533 杜甫[두보] 憶弟二首[其一]억제2수1 / 동생 생각 1983
532 杜甫[두보] 解悶十二首[其三]해민12수3 / 번민풀이 2182
531 杜甫[두보] 解悶十二首[其二]해민12수2 / 번민풀이 2349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