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朴趾源[박지원] 田家[전가] 시골집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743  

 

田家[전가] 농가

 

- 朴趾源[박지원] -

 

翁老守雀坐南陂[옹노수작좌남피] 참새 쫓는 노인네 밭둑에 앉아 있건만

粟拖狗尾黃雀垂[속타구미황작수] 개꼬리 조 이삭에 노란 참새 매달렸네

長男中男皆出田[장남중남개출전] 맏아들 둘째 아들 모두 들일 나가고

田家盡日晝掩扉[전가진일주엄비] 농가 사립문은 온종일 닫혀있네

鳶蹴鷄兒攫不得[연축계아확부득] 솔개가 병아리 채가려다 놓쳤는지

群鷄亂啼匏花籬[군계란제포화리] 박꽃 핀 울 밑에 소란스레 우는 뭇 닭

小婦戴棬疑渡溪[소부대권의도계] 함지 인 새댁은 조심조심 내 건너고

赤子黃犬相追隨[적자황견상추수] 벌거숭이 누렁이 앞다투어 따라가네

 


박지원[朴趾源]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학자·문인·서화가.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미중(美仲) 또는 중미(仲美), 호는 연암(燕巖) 또는 연상(煙湘열상외사(洌上外史). 할아버지는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박필균(朴弼均)이고, 아버지는 박사유(朴師愈)이며, 어머니는 함평이씨(咸平李氏) 이창원(李昌遠)의 딸이다. ()나라의 선진 문물을 수용해 조선의 현실을 개혁하자는 북학사상(北學思想)을 주창한 북학파(北學派) 정치개혁론자이자, 토지개혁정책·화폐정책·중상정책(重商政策) 등을 제창한 진일보한 경제학자였다. 또한 주자학의 사변적 세계를 비판하면서 유학의 본질을 추구하는 한편 서학(西學)에도 깊은 관심을 가졌던 진보 철학자였으며, 법고창신(法古刱新)으로 표현되는 새로운 문학론을 제창하는 한편 자유기발한 문체를 구사하여 허생전(許生傳)을 비롯한 많은 문학작품을 남겼다.

적자[赤子] 벌거숭이. 갓 태어난 핏덩이. 갓난아이. 순결·선량하며 사념이 없는 사람. 임금이 백성(百姓)을 갓난아이로 여기어 사랑한다는 뜻으로, 백성(百姓)을 일컫는 말이다. 서경(書經) 강고(康誥)마치 핏덩이를 돌보는 것과 같이 한다.[如保赤子]”라고 하였다.

소부[小婦] 어린 며느리. 나이가 젊은 성인 여자. 결혼한 여자가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번호 제     목 조회
314 金正喜[김정희] 悼亡[도망] 죽은 아내를 애도함 5009
313 金炳淵[김병연] 艱飮野店[간음야점] 외딴 주막에서 괴로이 마시다 3707
312 申佐模[신좌모] 入長安寺 三首[입장안사 3수] 금강산 장안사에 들어 2763
311 許愈[허유] 子規[자규] 소쩍새 우는 밤 4308
310 黃玹 [황현] 絶命詩 四首 [절명시 4수] 절명시 3880
309 李應禧[이응희] 백로[白鷺] 백로 3171
308 王維[왕유] 靑溪[청계] 청계에서 4546
307 金昌協[김창협] 宿大乘菴[숙대승암] 대승암에서 묵다 3438
306 朴趾源[박지원] 田家[전가] 시골집 4744
305 李奎報[이규보] 下寧寺[하령사] 하령사 4645
304 慧諶[혜심] 對影[대영] 그림자를 마주하고 4715
303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一]잡흥9수1 / 봄풀은 어느덧 저리 푸르러 4666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