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朴趾源[박지원] 田家[전가] 시골집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728  

 

田家[전가] 농가

 

- 朴趾源[박지원] -

 

翁老守雀坐南陂[옹노수작좌남피] 참새 쫓는 노인네 밭둑에 앉아 있건만

粟拖狗尾黃雀垂[속타구미황작수] 개꼬리 조 이삭에 노란 참새 매달렸네

長男中男皆出田[장남중남개출전] 맏아들 둘째 아들 모두 들일 나가고

田家盡日晝掩扉[전가진일주엄비] 농가 사립문은 온종일 닫혀있네

鳶蹴鷄兒攫不得[연축계아확부득] 솔개가 병아리 채가려다 놓쳤는지

群鷄亂啼匏花籬[군계란제포화리] 박꽃 핀 울 밑에 소란스레 우는 뭇 닭

小婦戴棬疑渡溪[소부대권의도계] 함지 인 새댁은 조심조심 내 건너고

赤子黃犬相追隨[적자황견상추수] 벌거숭이 누렁이 앞다투어 따라가네

 


박지원[朴趾源]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학자·문인·서화가.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미중(美仲) 또는 중미(仲美), 호는 연암(燕巖) 또는 연상(煙湘열상외사(洌上外史). 할아버지는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박필균(朴弼均)이고, 아버지는 박사유(朴師愈)이며, 어머니는 함평이씨(咸平李氏) 이창원(李昌遠)의 딸이다. ()나라의 선진 문물을 수용해 조선의 현실을 개혁하자는 북학사상(北學思想)을 주창한 북학파(北學派) 정치개혁론자이자, 토지개혁정책·화폐정책·중상정책(重商政策) 등을 제창한 진일보한 경제학자였다. 또한 주자학의 사변적 세계를 비판하면서 유학의 본질을 추구하는 한편 서학(西學)에도 깊은 관심을 가졌던 진보 철학자였으며, 법고창신(法古刱新)으로 표현되는 새로운 문학론을 제창하는 한편 자유기발한 문체를 구사하여 허생전(許生傳)을 비롯한 많은 문학작품을 남겼다.

적자[赤子] 벌거숭이. 갓 태어난 핏덩이. 갓난아이. 순결·선량하며 사념이 없는 사람. 임금이 백성(百姓)을 갓난아이로 여기어 사랑한다는 뜻으로, 백성(百姓)을 일컫는 말이다. 서경(書經) 강고(康誥)마치 핏덩이를 돌보는 것과 같이 한다.[如保赤子]”라고 하였다.

소부[小婦] 어린 며느리. 나이가 젊은 성인 여자. 결혼한 여자가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번호 제     목 조회
518 宋眞宗[송진종] 勸學文[권학문] 勸學詩권학시 1891
517 鄭誧[정포] 題梁州客舍壁[제양주객사벽] 새벽 이별 1542
516 鄭澈[정철] 山寺夜吟[산사야음] 산사의 밤 1694
515 丁若鏞[정약용] 打麥行[타맥행] 보리타작 1928
514 李白[이백] 對酒憶賀監二首[대주억하감2수] 술을 보니 친구가 그리워 2238
513 鄭道傳[정도전] 四月初一日[사월초일일] 사월 초하루 1525
512 繡香閣[수향각] 元氏[원씨] 春日[춘일] 꿈결처럼 봄이 가네 1686
511 繡香閣元氏[수향각원씨] 寄玉山[기옥산] 옥산께 부치다 1440
510 鄭道傳[정도전] 訪金居士野居[방김거사야거] 김거사의 시골집을 찾아 2082
509 靜觀一禪[정관일선] 行路難[행로난] 어려운 길 1837
508 杜甫[두보] 夏日李公見訪[하일이공견방] 여름날 이염공이 찾아와 1865
507 靜觀一禪[정관일선] 重上金剛臺[중상금강대] 금강대에 앉아 1703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