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李應禧[이응희] 백로[白鷺] 백로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168  

 

백로[白鷺] 백로

 

- 李應禧[이응희] -

 

有鳥淸溪上[유조청계상] 맑은 시냇가의 새 한 마리

長頸白雪衣[장경백설의] 긴 목에 눈처럼 하얀 옷 입고

臨風何所待[임풍하소대] 바람맞으며 무엇을 기다리나

終日立苔磯[종일입태기] 이끼 낀 서덜에 종일 서 있네

 


이응희[李應禧]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수(子綏), 호는 옥담(玉潭). 14세 때 부친상을 당하고 2년 후인 선조 27(1594)에 조모상까지 당했다. 이후 그는 홀어머니를 모시고 가업을 이어가며 학문과 예절에 정열을 다 쏟아 원근에서 그 덕망을 칭송하였다. 광해군 때에 이이첨(李爾瞻)이 인목대비를 폐위하고자 꾀할 때 크게 상심하여 백의항소(白衣抗訴)로 간곡히 만류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경기도 과천 수리산 아래에 은거하였다. 조정에서는 그의 학식이 고명함을 알고 중용하려 했으나 거듭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바에 의하면 선조인 안양군(安陽君)이 연산군 때 원사(寃死)를 당하면서 유언으로 관직에 나아가지 말라고 하여 그 유훈을 따른 것이라 한다. 슬하에 72녀를 두었는데 7형제가 모두 진사에 급제하였는데, 모두 두()자 항렬이라 주위에서는 칠두문장가(七斗文章家)라고 칭송하였다. 생전에 저술이 많았는데, 병자호란 때 방화로 모두 소실되었고 현재 남아있는 저서로는 옥담유고(玉潭遺稿), 옥담사집(玉潭私集) 등이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소[何所] 어디. ~바가 무엇인가.

서덜 : 돌서덜. 너덜겅. 너설. 냇가, 강가 등의 돌이 많은 곳. 생선의 살을 발라내고 난 나머지 부분. , 대가리, 껍질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번호 제     목 조회
518 宋眞宗[송진종] 勸學文[권학문] 勸學詩권학시 1906
517 鄭誧[정포] 題梁州客舍壁[제양주객사벽] 새벽 이별 1551
516 鄭澈[정철] 山寺夜吟[산사야음] 산사의 밤 1701
515 丁若鏞[정약용] 打麥行[타맥행] 보리타작 1942
514 李白[이백] 對酒憶賀監二首[대주억하감2수] 술을 보니 친구가 그리워 2274
513 鄭道傳[정도전] 四月初一日[사월초일일] 사월 초하루 1535
512 繡香閣[수향각] 元氏[원씨] 春日[춘일] 꿈결처럼 봄이 가네 1699
511 繡香閣元氏[수향각원씨] 寄玉山[기옥산] 옥산께 부치다 1458
510 鄭道傳[정도전] 訪金居士野居[방김거사야거] 김거사의 시골집을 찾아 2087
509 靜觀一禪[정관일선] 行路難[행로난] 어려운 길 1844
508 杜甫[두보] 夏日李公見訪[하일이공견방] 여름날 이염공이 찾아와 1876
507 靜觀一禪[정관일선] 重上金剛臺[중상금강대] 금강대에 앉아 1713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