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白居易[백거이] 勸酒十四首권주14수 : 何處難忘酒七首[其一]하처난망주7수1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651  

 

勸酒十四首권주14: 何處難忘酒七首[其一]하처난망주71

 

- 白居易[백거이] -

 

何處難忘酒[하처난망주] 어떨 때 술 없으면 괴로운가

長安喜氣新[장안희기신] 장안에서 신바람 새롭던 날

初登高第後[초등고제후] 첫 번에 과거에 우등 급제하여

乍作好官人[사작호관인] 졸지에 좋은 관직을 얻었나니

省壁明張榜[성벽명장방] 중서성 벽에는 합격 방문 붙었고

朝衣穩稱身[조의온칭신] 조복은 편안히 몸에 꼭 맞았네

此時無一醆[차시무일잔] 이럴 때 한 잔의 술이 없다면

爭奈帝城春[쟁내제성춘] 서울의 봄을 어찌할거나

 

<勸酒十四首권주십사수 并序병서>

내가 동도(東都: 낙양洛陽)에 살면서 한가로운 날이 많았다. 한가하면 술을 마시고 취하면 시를 읊었으니, 만약 시문(時文)이 없었으면 노래를 부르지 못하였을 것이다. 매번 생각이 날 때 한 편씩 만들다보니 모두 14편이 되었는데, 모두가 술에 관한 것으로 자작하며 즐기던 것이어서 하처난망주(何處難忘酒)’불여래음주(不如來飲酒)’로 이름 붙였다[予分秩東都, 居多暇日. 閒來輒飲, 醉後輒吟, 若無詞章, 不成謠詠. 每發一意, 則成一篇, 凡十四篇, 皆主於酒, 聊以自勸, 故以何處難忘酒, 不如來飲酒命篇.] <白氏長慶集백씨장경집 巻二十七권이십칠>

 


희기[喜氣] 기쁜 기분(氣分). 기쁨. 희색. 기뻐하는 기색.

고제[高第] 고과(高科). 과거(科擧)에서의 우등 급제(及第). 과거에서의 우수한 성적을 이르던 말.

관인[官人] 벼슬에 있는 사람. 관직에 임명하다. 관직인. 벼슬아치. 벼슬자리에 있는 사람.

칭신[稱身] 옷이 몸에 꼭 맞음. 의복 따위가 몸에 맞다.

쟁나[爭奈] 어떻게 할 수 없는. 어찌. 어찌하여. 어찌 하랴?

제성[帝城] 황성(皇城). 황제가 있는 나라의 서울.

 

 



번호 제     목 조회
134 杜甫[두보] 秋興八首[其八]추흥8수8 / 백발로 읊조리다 고개 떨구네 1753
133 金炳淵[김병연] 看山[간산] 산 구경 1751
132 白居易[백거이] 放言五首[其四]방언5수4 / 해골이 된 후에는 1748
131 陶淵明[도연명] 和郭主簿二首[其二]화곽주부2수2 / 은자의 비결 1740
130 白居易[백거이] 放言五首[其一]방언5수1 / 연잎 이슬 둥글어도 1738
129 杜甫[두보] 贈別賀蘭銛[증별하란섬] 하란섬과 이별하며 1737
128 沈約[심약] 别范安成[별범안성] 범안성과 이별하며 1729
127 戴復古[대복고] 釣臺[조대] 낚시터 1728
126 金始振[김시진] 山行[산행] 산길을 가다 1727
125 李商隱[이상은] 夜雨寄北[야우기북] 비 내리는 밤에 1724
124 李用休[이용휴] 田家[전가] 농가의 봄 1724
123 戴復古[대복고] 漁父四首[어부4수] 어부 172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