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白居易[백거이] 勸酒十四首권주14수 : 不如來飮酒七首[其四]불여래음주7수4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02  

 

勸酒十四首권주14: 不如來飮酒七首[其四]불여래음주74

 

- 白居易[백거이] -

 

莫事長征去[막사장정거] 머나먼 정벌 길 가지 마시라

辛勤難具論[신근난구론] 그 고생 이루 다 말할 수 없네

何曾畫麟閣[하증화린각] 어찌 기린각에 화상 걸리랴

只是老轅門[지시로원문] 단지 군영에서 늙어갈 뿐이네

蟣虱衣中物[기슬의중물] 옷 속에는 서캐와 이 득실거리고

刀槍面上痕[도창면상흔] 얼굴에는 칼자국과 창자국

不如來[불여래음주] 차라리 이리와 술이나 마시며

合眼醉昏昏[합안취혼혼] 눈 감고 아뜩하게 취하여보세

 

<勸酒十四首권주십사수 并序병서>

내가 동도(東都: 낙양洛陽)에 살면서 한가로운 날이 많았다. 한가하면 술을 마시고 취하면 시를 읊었으니, 만약 시문(時文)이 없었으면 노래를 부르지 못하였을 것이다. 매번 생각이 날 때 한 편씩 만들다보니 모두 14편이 되었는데, 모두가 술에 관한 것으로 자작하며 즐기던 것이어서 하처난망주(何處難忘酒)’불여래음주(不如來飲酒)’로 이름 붙였다[予分秩東都, 居多暇日. 閒來輒飲, 醉後輒吟, 若無詞章, 不成謠詠. 每發一意, 則成一篇, 凡十四篇, 皆主於酒, 聊以自勸, 故以何處難忘酒, 不如來飲酒命篇.] <白氏長慶集백씨장경집 巻二十七권이십칠>

 


신근[辛勤] 고된 일을 맡아 부지런히 일함. 또는, 고된 근무(勤務).

하증[何曾] 언제 한 적이 있었느냐.

인각[麟閣] 기린각(麒麟閣)이다. ()나라 전각(殿閣)의 이름으로 공신들의 초상화를 그려 놓은 곳인데, 미앙궁(未央宮) 내에 있다. 한 무제(漢武帝)가 건축하였는데, 일설(一說)에는 소하(蕭何)가 지었다고도 한다. 한 선제(漢宣帝) 감로(甘露) 3년에 곽광(霍光장안세(張安世한증(韓增조충국(趙充國위상(魏相병길(丙吉두연년(杜延年유덕(劉德양구하(梁丘賀소망지(蕭望之소무(蘇武) 등 공신(功臣) 11명의 초상화를 기린각에 그렸다.

합안[合眼] 두 눈을 붙이다. 잠을 자다. 눈을 감다. 죽다.

혼혼[昏昏] 어둡고 침침한 모양을 나타내는 말. 어두운 모양. 깊이 잠든 모양. 머리가 어지러운 모양. 우매한 모양.

 

 



번호 제     목 조회
554 李白[이백] 月下獨酌四首其四[월하독작4수4] 시름은 많고 술은 적으나 2327
553 李白[이백] 月下獨酌四首其三[월하독작4수3] 비단 같은 춘삼월 함양성에 2005
552 羅隱[나은] 自遣[자견] 스스로 마음을 달래다 2145
551 白居易[백거이] 春眠[춘면] 봄 잠 1866
550 溫庭筠[온정균] 送人東遊[송인동유] 동쪽으로 가는 벗을 전송하며 1425
549 白居易[백거이] 寒食野望吟[한식야망음] 한식날 들을 바라보며 읊다 1825
548 杜甫[두보] 柟樹爲風雨所拔歎[남수위풍우소발탄] 남나무가 뽑힘을 탄식하다 1402
547 杜甫[두보] 秋興八首[其八]추흥8수8 / 백발로 읊조리다 고개 떨구네 1796
546 杜甫[두보] 秋興八首[其七]추흥8수7 / 가을에 이는 정회 1855
545 杜甫[두보] 秋興八首[其六]추흥8수6 / 비단 닻줄 상아 돛대 1398
544 杜甫[두보] 秋興八首[其五]추흥8수5 / 한 해를 보냄에 놀라 1588
543 杜甫[두보] 秋興八首[其四]추흥8수4 / 관산에 금고소리 진동하고 1435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