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杜甫[두보] 秋雨嘆三首[其二]추우탄3수2 / 나락에 싹이 돋고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92  

 

秋雨嘆三首[其二]추우탄32 / 나락에 싹이 돋고

 

- 杜甫[두보] -

 

闌風伏雨秋紛紛[난풍복우추분분] 누진 바람 궂은 비 어수선한 가을날

四海八荒同一雲[사해팔황동일운] 사방팔방 온 세상이 한 구름 속이라

去馬來牛不復辨[거마래우불부변] 말이 가나 소가 오나 분별 못하는데

濁涇淸渭何當分[탁경청위하당분] 탁한 경수 맑은 위수 어찌 구분하랴

禾頭生耳黍穗黑[화두생이서수흑] 나락에 싹이 돋고 기장 이삭 썩는데

農夫田父無消息[농부전부무소식] 부역 나간 농부들은 아무 소식 없네

城中斗米換衾裯[성중두미환금주] 성안에선 한 말 쌀과 이불을 바꾸나

相許寧論兩相直[상허영론양상치] 서로 원해선 걸 가치 따져 무엇하랴

 


난풍[闌風] 멎지 않고 계속 부는 바람. 마냥 부는 축축한 바람. 여름이 다 갈 때 부는 미약한 바람.

복우[伏雨] 오래도록 개일 줄 모르고 추적추적 내리는 비.

난풍복우[闌風伏雨] 그치지 않고 계속되는 비와 바람. 난풍장우(闌風長雨)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분분[紛紛] 흩어져 어지러움.

사해[四海] 사방(四方)의 바다. ‘사해의 안이란 뜻에서 온 세상(世上)을 일컬음.

팔황[八荒] 팔방(八方)의 멀고 넓은 범위, 곧 온 세상을 이름. 일명 팔굉(八紘), 팔방(八方), 팔극(八極)이라고도 함.

탁경청위[濁涇清渭] 경수(涇水)는 섬서성(陝西省)의 강 이름으로 하류에서 위수(渭水)와 합치는데 경수는 흐리고 위수는 맑다.

화두생이[禾頭生耳] 벼이삭에 귀가 돋는다. 벼를 거두지 않아 그대로 싹이 생긴다는 뜻이다.

서수흑[黍穗黑] 기장 이삭이 꺼멓게 되다.

농부전부[農夫田父] 농사짓는 사람들. 농사짓는 이 모두를 말하는 것임. 田父田婦로 표현한 본()도 있음.

금주[衾裯] 이불과 홑이불.

영론[寧論] ~를 막론하고. ~이든간에(= 不管, 不論)

[] ()와 같음.

 

 



번호 제     목 조회
362 陶淵明[도연명] 雜詩十二首[其三]잡시12수3 / 해와 달은 돌아오지만 1697
361 韋應物[위응물] 秋夜寄丘員外[추야기구원외] 빈 산의 솔방울 소리 1996
360 陶淵明[도연명] 和郭主簿二首[其二]화곽주부2수2 / 은자의 비결 1746
359 白居易[백거이] 感興二首[其二]감흥2수2 / 스스로 괴로운 인간 1675
358 高適[고적] 人日寄杜二拾遺[인일기두이습유] 인일에 두보에게 부치다 1887
357 程顥[정호] 秋日偶成[추일우성] 가을날 문득 짓다 2225
356 杜牧[두목] 九日齊山登高[구일제산등고] 중양절에 제산에 올라 1880
355 杜甫[두보] 贈別賀蘭銛[증별하란섬] 하란섬과 이별하며 1747
354 韓愈[한유] 山石[산석] 산의 돌 2794
353 歐陽脩[구양수] 初春[초춘] 초봄 1872
352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五]대주5수 / 문병 갔다 조문하니 1922
351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三]대주5수3 / 신선도 취하면 1841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