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五]대주5수 / 문병 갔다 조문하니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920  

 

對酒五首[其五]대주5/ 문병 갔다 조문하니

 

- 白居易[백거이] -

 

昨日低眉問疾來[작일저미문질래] 어저께 근심스레 문병하고 왔는데

今朝收淚人回[금조수루조인회] 아침에 눈물로 조문하러 다시가네

眼前流例君看取[안전유례군간취] 눈 앞에 일어난 예 그대 보았거니

且遣琵琶送一杯[차견비파송일배] 비파곡조에 실어 한 잔 술 드세나

 


백거이[白居易] ()나라 때 시인으로 자는 낙천(樂天), 호는 향산거사(香山居士) 또는 취음선생(醉吟先生)이다. 조적(祖籍)은 산서(山西) 태원(太原)이고, 이백(李白)이 죽은 지 10, 두보(杜甫)가 죽은 지 2년 후에 하남(河南) 신정(新鄭)에서 태어났다. 정원(貞元) 16(800)에 진사가 되어, 벼슬은 소주(蘇州항주(杭州)의 자사를 거쳐 만년에 태자소부(太子少傅)에 지냈고, 형부상서(刑部尙書)로 치사(致仕)하였다. 향산(香山)에서 지내다가 세상을 뜬 뒤 낙양(洛陽) 남쪽 향산의 비파봉(琵琶峰)에 묻혔다. 시호는 문()이다. 세상 사람들이 백부(白傅) 또는 백문공(白文公)으로 불렀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5세 때부터 시 짓는 법을 배웠으며 15세가 지나자 주위 사람을 놀라게 하는 시재를 보였다 한다. 이백(李白), 두보(杜甫)와 더불어 당대3대시인(唐代三大詩人)으로, 같은 시대의 한유(韓愈)와 더불어 이두한백(李杜韓白)으로 병칭된다. 원진(元稹)과는 함께 신악부운동(新樂府運動)을 이끌어 원백(元白)으로, 유우석(劉禹錫)과는 유백(劉白)으로 병칭되며 당시 으뜸으로 쳤다. 백거이는 시의 제재가 광범위하고 형식이 다양하며 언어가 평이하고 통속적이어서 시마(詩魔) 또는 시왕(詩王) 등의 칭호를 얻었다. 그는 시론을 통해 자신의 시작의 첫째 목적은 겸제(兼濟)의 뜻을 살린 풍유(諷諭)에 있다고 현실주의적인 견해를 밝히고 있고, 스스로 자신의 시집을 편집하면서 시를 풍유시(諷諭詩), 한적시(閑寂詩), 감상시(感傷詩), 잡률(雜律詩)의 네 종류로 분류하였다. 만년에는 세상일에 대하여 고민하고 방황한 끝에 한적을 좋아하는 태도로 발전한다. 저서에 백씨장경집(白氏長慶集백씨육첩사류(白氏六帖事類) 등이 전한다. 장한가(長恨歌), 매탄옹(賣炭翁), 비파행(琵琶行) 등을 대표적인 시로 꼽는다.

저미[低眉] 고개를 숙임. 아래로 처진 눈썹. 눈썹을 낮게 드리우다. 부드럽고 순종하는 표정을 짓다. 눈을 아래로 깔다.

간취[看取] 보아서 내용을 알아차림.

유례[流例] 널리 전하여 오는 예. 세상에 널리 퍼져서 전하여 온 예. 예전부터 내려오는 관습·관례.

차견[且遣] 뒤따라 보내다. 장차 보내다.

 

 



번호 제     목 조회
194 林悌[임제] 無語別[무어별] 말 없은 이별 2009
193 李白[이백] 月下獨酌四首其三[월하독작4수3] 비단 같은 춘삼월 함양성에 1998
192 韋應物[위응물] 秋夜寄丘員外[추야기구원외] 빈 산의 솔방울 소리 1995
191 蘇軾[소식] 春夜[춘야] 봄밤 1991
190 杜甫[두보] 憶弟二首[其一]억제2수1 / 동생 생각 1982
189 韋應物[위응물] 淮上遇洛陽李主簿[회상우낙양이주부] 회상에서 낙양의 이주부를 만나다 1979
188 李珥[이이] 山中[산중] 산 속에서 길을 잃다 1956
187 白居易[백거이] 放言五首[其二]방언5수2 / 화복은 돌고 돌아 1943
186 丁若鏞[정약용] 打麥行[타맥행] 보리타작 1941
185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五]대주5수 / 문병 갔다 조문하니 1921
184 許蘭雪軒[허난설헌] 貧女吟[빈녀음] 가난한 처녀의 노래 1917
183 宋眞宗[송진종] 勸學文[권학문] 勸學詩권학시 1905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