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十九]음주20수19 / 돈 없어도 탁주 있어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685  

 

飮酒二十首[其十九]음주2019 / 돈 없어도 탁주 있어

 

- 陶淵明[도연명] -

 

疇昔苦長飢[주석고장기] 지난날 오랜 굶주림이 괴로워

投耒去學仕[투뢰거학사] 쟁기 버리고 벼슬살이 떠났건만

將養不得節[장양부득절] 가족 부양도 제대로 하지 못해

凍餒固纏己[동뇌고전기] 추위와 굶주림이 나를 얽어맸지

是時向立年[시시향입년] 그때의 나이가 서른 즈음이라

志意多所恥[지의다소치] 의지에 부끄러운 바가 많아서

遂盡介然分[수진개연분] 꿋꿋이 타고난 분수 지키고자

拂衣歸田里[불의귀전리] 옷을 털고 전원으로 돌아왔네

冉冉星氣流[염염성기류] 서서히 별자리 돌고 돌아서

亭亭復一紀[정정부일기] 훌쩍 다시 열두 해가 지나갔네

世路廓悠悠[세로곽유유] 세상의 길은 아득히 넓고 넓어

楊朱所以止[양주소이지] 양주는 갈림길에 멈춰 울었다지

雖無揮金事[수무휘금사] 비록 돈 뿌리며 놀 재주 없지만

濁酒聊可恃[탁주료가시] 그럭저럭 탁주는 의지할만하다네

 

幷序병서 : 나는 한가롭게 살아 기뻐할 일이 적은데다 근래에는 밤마저 길어지는 차에, 우연찮게 좋은 술을 얻게 되어 저녁마다 술을 마시지 않은 적이 없다. 그림자를 돌아보며 홀로 잔을 비우고 홀연히 취하곤 하는데, 취한 후에는 언제나 시 몇 구를 적어 스스로 즐겼다. 붓으로 종이에 적은 것이 꽤 되어, 말에 조리도 두서도 없지만 애오라지 친구에게 쓰게 하여 이로써 즐거운 웃음거리로 삼고자 한다[余閒居寡歡, 兼比夜已長, 偶有名酒, 無夕不飮. 顧影獨盡, 忽焉復醉. 旣醉之後, 輒題數句自娛. 紙墨遂多, 辭無詮次, 聊命故人書之, 以爲歡笑爾.] <飮酒二十首 幷序>

 


도연명[陶淵明] 도잠(陶潛). 동진(東晉) 말기부터 남조(南朝) (:유송劉宋) 초기 사람이다. 시인이자 문학가로 청신하고 자연스러운 시문으로 시명을 얻었다. 강주(江州) 심양(尋陽) 시상(柴桑)에서 태어났다. 자는 원량(元亮)이다. ()나라에 와서 이름을 잠()으로 바꾸었다. 일설에는 연명(淵明)이 그의 자()라고도 한다. 증조부 도간(陶侃)은 동진(東晉)의 개국공신으로 관직이 대사마에 이르렀으며, 조부 도무(陶茂)와 부친 도일(陶逸)도 태수를 지냈다. 29세 때에 벼슬길에 올라 주()의 좨주(祭酒)가 되었지만, 얼마 안 가서 사임하였다. 그 후 생활을 위하여 진군참군(鎭軍參軍건위참군(建衛參軍)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항상 전원생활을 동경한 그는 팽택현령(彭澤縣令)이 되었으나 80여 일 만에 벼슬을 버리고, 41세에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읊으며 전원으로 돌아와 문 앞에 다섯 그루의 버드나무를 심고 스스로 오류선생(五柳先生)이라 칭하였다. 고향에 은거한 뒤에 다시는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농사를 지으며 살다가 63세에 세상을 떴다. 그의 사후에 평소 그와 가깝게 지냈던 이들이 그에게 정절선생(靖節先生}이란 시호를 주어 불렀다. ()나라 종영(鍾嶸)의 시품(詩品)고금의 은일시인 가운데 첫머리[古今隱逸詩人之宗]”라 평가했을 만큼 그의 시풍이 중국문학사에 남긴 영향이 매우 크다. 주요 작품으로 음주(飮酒귀원전거(歸園田居도화원기(桃花源記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귀거래사(歸去來辭) 등이 있다. 도연명이 직접 지은 만사는 고금사문유취(古今事文類聚)에 의만가사(擬挽歌辭)라는 제목으로 3수가 실려 있다.

주석[疇昔] 지난 날. 예전에. 별로 오래지 아니한 옛적. 그다지 오래지 않은 지난날이나 옛날.

동뇌[凍餒] 동아(凍餓). 헐벗고 굶주림. 입을 것과 먹을 것이 없어서 춥고 배고픔. 입을 것이 없어서 몸이 얼고, 먹을 것이 없어서 굶주림. 얼고 굶주리는 것. 추위에 고통 받고 식량이 부족한 것.

장양[將養] 기름, 양육(養育). 길러 양육함. 휴양하다. 양생(養生)하다. 보살피다.

입년[立年] 삼십세. 삼십이립(三十而立). 논어(論語) 위정(爲政)에 공자(孔子)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學問)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 자립(自立)하였고, 마흔 살에 사리(事理)에 의혹(疑惑)하지 않았고, 쉰 살에 천명(天命)을 알았고, 예순 살에 귀로 들으면 그대로 이해되었고 일흔 살에 마음에 하고자 하는 바를 좇아도 법도(法度)에 넘지 않았다[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라고 하였다.

개연[介然] 변절(變節)하지 않는 모양. 의지가 굳은 모양. 고립(孤立)한 모양. 고고(孤高)한 모양. 마음에 걸리는 모양. 신경쓰이는 모양.

분수[分數] 자기의 신분이나 처지에 알맞은 한도.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일정한 한계. 사물을 잘 분별하고 헤아리는 슬기.

염염[冉冉] 천천히 움직이는 모양. 천천히 나아가는 모양. 한들거리는 모양. 하늘거리는 모양. ·나뭇가지·잎 따위가 부드럽게 아래로 드리운 모양. 천천히. 서서히.

성기[星氣] 별의 형세(形勢). 별의 모양. 별에 나타난 운기(運氣). 별의 기세. 별에 나타난 운수.

정정[亭亭] 우뚝하게 높이 솟은 모양. 곧게 선 모양. 아름다운 모양. 늙은 몸이 꾸정꾸정한 모양. 산이 솟아 있는 모양(模樣)이 우뚝함. 우뚝 솟다. 훤칠하다. 늘씬하다. 소식(蘇軾)의 시 호포천(虎跑泉)동쪽 봉우리에 돌탑 하나 우뚝 서있는데, 이 몸이 처음 와서 신령들을 맞이하네[亭亭石塔東峯上 此老初來百神迎]”라고 하였다.

일기[一紀] 옛날 중국에서 12년을 일컫던 말. 세성(歲星: 목성木星)이 천체를 한 바퀴 도는 데 약 12년이 소요되기 때문에 12년을 일기라고 하였다. 주성(周星)이라고도 한다. 노동은 실제로 12년 동안 문밖 출입을 하지 않았다고 전한다.

세로[世路] 세상을 겪어나가는 길. 인생 행로. 세상을 살아 나가는 길. 벼슬길. 세상 경험. 처세의 길.

유유[悠悠] 아득하게 먼 모양. 때가 오랜 모양. 침착하고 여유가 있는 모양. 한가한 모양. 많은 모양. 길다. 장구하다. 아득히 멀다. 요원하다. 느긋하다. 유유하다. 여유 있다.

양주곡[楊朱哭] 양주(楊朱)는 전국시대 초기 위()나라 출신의 사상가이자 철학가로 묵자(墨子)의 겸애(兼愛)와 상현(尙賢)을 반대하면서 자신을 귀하게 여길 것[貴己]’목숨을 중하게 여길 것[重生]’, ‘천하를 이롭게 한답시고 터럭 하나라도 뽑지 말 것[人人不損一毫]’ 등 극단적인 이기주의를 주장하였다. 저술은 전하지 않지만 그의 사상이 맹자(孟子), 장자(莊子) 순자(荀子), 한비자(韓非子), 여씨춘추(呂氏春秋) 등을 통해 전한다. 열자(列子) 중니(仲尼)옛날 계량이라는 사람이 죽었을 때에는 양주가 그의 집 문을 바라보고 노래를 불렀다. 그러나 수오라는 사람이 죽었을 때에는 양주가 그의 시체를 어루만지며 곡을 했다. 사람이 이 세상에 나았다가 죽을 때에 뭇사람은 노래도 부르고, 뭇사람은 곡도 한다[季梁之死, 楊朱望其門而歌. 隨梧之死, 楊朱撫其屍而哭. 隷人之生, 隷人之死, 衆人且歌, 衆人且哭.]”라고 하였다. 순자(荀子) 왕패(王覇)에서는 양주가 네거리 교차로에서 울며 말했다. ‘여기 반걸음을 잘못 디뎌, 깨달았을 때는 이미 천리를 그르친 뒤가 된다. 나는 그들에게 애통하여 곡하노라! 이것이 또한 영욕과 안위와 존망의 갈림길이라면, 이것은 그 슬픔이 갈림길보다 심할 것이다. ! 슬프다! 군주 된 자들이 천년이 지나도록 깨닫지 못하는구나.’[楊朱哭衢塗曰: 此夫過擧蹞步, 而覺跌千里者夫. 哀哭之. 此亦榮辱安危存亡之衢已, 此其爲可哀, 甚於衢塗. 嗚呼哀哉. 君人者, 千歲而不覺也.]”라고 하였다. 양주읍기(楊朱泣岐)란 성어가 이로부터 유래되었는데 양주곡(楊朱哭)이라고도 한다.

다기망양[多岐亡羊] 양주(楊朱)는 전국 시대 초기 위()나라 사람으로 자는 자거(子居)라고 한다. 양생(楊生) 또는 양자(楊子), 양자거(楊子居)로도 불린다. 양자(楊子)의 이웃 사람이 양을 잃고 그 무리를 다 동원하고 다시 양자의 종까지 동원하여 찾으려 하였다. 이에 양자가 묻기를 한 마리 양을 잃고 찾으러 가는 사람이 어찌 이렇게 많은가?” 하자, 그가 말하기를 갈림길이 많기 때문입니다.” 하였다. 찾으러 갔다가 돌아오는 것을 보고, 양자가 양을 찾았는가?” 하고 묻자 잃었습니다.” 하였다. 양자가 다시 어째서 잃었는가?” 하자, 그가 말하기를 갈림길 속에 다시 갈림길이 있어 나는 어디로 양이 갔는지 알 수 없기에 돌아오고 말았습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심도자(心都子)가 말하기를 “‘큰 길은 갈림길이 많아서 양을 잃고

 



번호 제     목 조회
398 戴復古[대복고] 鷓鴣天[자고천] 題趙次山魚樂堂[제조차산어락당] 자고천. 어락당에서 쓰다 1582
397 韓愈[한유] 左遷至藍關示姪孫湘[좌천지남관시질손상] 좌천길 남관이 눈에 막혀 1656
396 常建[상건] 宿王昌齡隱居[숙왕창령은거] 왕창령의 은거에 묵다 1668
395 蘇軾[소식] 江城子[강성자] 죽은 아내를 꿈에 보고 2473
394 王安石[왕안석] 鍾山卽事[종산즉사] 종산에서 읊다 1773
393 李穡[이색] 驪江[여강] 여주의 강에서 1672
392 杜甫[두보] 題張氏隱居二首[其二]제장씨은거2수2 / 장씨의 은거에서 적다 1593
391 陶淵明[도연명] 歸鳥[귀조] 돌아가는 새 1545
390 韋應物[위응물] 初發揚子寄元大校書[초발양자기원대교서] 양자진을 떠나며 원대에게 1603
389 阮籍[완적] 詠懷詩八十二首[其一]영회시82수1 / 잠 못 드는 밤 1780
388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二十]음주20수20 / 나루터 묻는 이 없어 1546
387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十九]음주20수19 / 돈 없어도 탁주 있어 1686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