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常建[상건] 宿王昌齡隱居[숙왕창령은거] 왕창령의 은거에 묵다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675  

 

宿王昌齡隱居[숙왕창령은거] 왕창령의 은거에 묵다

 

- 常建[상건] -

 

淸溪深不測[청계심불측] 맑은 시내는 깊이를 알 수 없고

隱處唯孤雲[은처유고운] 은거하는 곳에는 외로운 구름만

松際露微月[송제노미월] 소나무 끝으로 초승달 돋아나니

淸光猶爲君[청광유위군] 그 맑은 빛은 그대를 위함이라

茅亭宿花影[모정숙화영] 띠로 인 정자엔 꽃 그림자 자고

藥院滋苔紋[약원자태문] 약초 마당에는 이끼 무늬 번져

余亦謝時去[여역사시거] 나도 언젠가 속세를 떠날 때면

西山鸞鶴群[서산난학군] 서산의 난학과 한 무리 되리라

 


상건[常建] 성당(盛唐)시대의 저명(著名)한 시인이다. 장안인(長安人)으로 개원(開元) 15(727)에 왕창령(王昌齡)과 함께 진사가 되었다. 대력(大曆)연간에 우이위(盱眙尉)에 임명되었으나, 평생 벼슬길이 순탄하지 못하여 일생을 산수를 유람하며 은일과 방랑으로 소일하였다. 자신을 지키고 바르고 곧게 살았으며 고관들과의 교류도 없었고 오직 왕창령(王昌齡)과 교유하였다. 오언시(五言詩)를 많이 지었으며, 산림(山林)과 사관(寺觀)을 제재로 한 작품을 많이 남겼다. 왕유(王維), 맹호연(孟浩然)과 함께 산수전원시파(山水田園詩派)로 분류되기도 하며, 또한 변새시(邊塞詩)로도 유명하다. 현재 57수의 시가 전하는데, 제재(題材)가 협소하여 대부분 전원의 풍광과 산수의 일취(逸趣)를 표현한 작품이다. 상건집(常建集) 3이 전하고, 전당시(全唐詩)에 시 1권이 수록되어 있다.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에 수록된 작품으로 숙왕창령은거(宿王昌齡隱居), 제파산사후선원(題破山寺後禪院) 등이 있다.

미월[微月] 가느다란 실처럼 빛나는 달. 미월(眉月), 신월(新月)과 같다. 농력(農曆)에서 월초(月初)의 달을 가리킨다.

사시[謝時] 시속(時俗)과 이별하는 것이다. 세속의 벼슬에서 물러나 것이다.

난학[鸞鶴] 난새와 학. (: 난새)은 봉황새의 일종이라고 하는 신조(神鳥)이다. 둘 모두 전설 속에서 신선들이 타고 다닌다는 새다. 신선을 가리키기도 한다. 백거이(白居易)의 시 수조수재증신등과제선배(酬趙秀才贈新登科諸先輩)봉래산 신선들과 짝 되는 것을 부러워 말고, 도를 이뤄 그대 스스로 신선 되시게[莫羨蓬萊鸞鶴侶 道成羽翼自生身]”라고 하였다.

난학군[鸞鶴群] 청난(靑鸞백학(白鶴)은 모두 신선이 타는 새로서, 난학군(鸞鶴群)은 난새·학과 더불어 짝을 짓는다는 뜻이다. 종신토록 은일(隱逸)하고 싶다는 것을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398 戴復古[대복고] 鷓鴣天[자고천] 題趙次山魚樂堂[제조차산어락당] 자고천. 어락당에서 쓰다 1598
397 韓愈[한유] 左遷至藍關示姪孫湘[좌천지남관시질손상] 좌천길 남관이 눈에 막혀 1689
396 常建[상건] 宿王昌齡隱居[숙왕창령은거] 왕창령의 은거에 묵다 1676
395 蘇軾[소식] 江城子[강성자] 죽은 아내를 꿈에 보고 2498
394 王安石[왕안석] 鍾山卽事[종산즉사] 종산에서 읊다 1782
393 李穡[이색] 驪江[여강] 여주의 강에서 1688
392 杜甫[두보] 題張氏隱居二首[其二]제장씨은거2수2 / 장씨의 은거에서 적다 1602
391 陶淵明[도연명] 歸鳥[귀조] 돌아가는 새 1549
390 韋應物[위응물] 初發揚子寄元大校書[초발양자기원대교서] 양자진을 떠나며 원대에게 1612
389 阮籍[완적] 詠懷詩八十二首[其一]영회시82수1 / 잠 못 드는 밤 1789
388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二十]음주20수20 / 나루터 묻는 이 없어 1556
387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十九]음주20수19 / 돈 없어도 탁주 있어 1692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