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戴復古[대복고] 京口別石龜翁際可[경구별석귀옹제가] 경구의 작별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680  

 

京口別石龜翁際可[경구별석귀옹제가] 경구의 작별

 

- 戴復古[대복고] -

 

把劍樽前斫地歌[파검준전작지가] 검 쥐고 술통 앞에 땅을 치며 노래하니

有何留戀此蹉跎[유하유련차차타] 무슨 미련 남아 이리 허송세월 하는가

心期難與俗子道[심기난여속자도] 속인과는 마음 터놓고 말하기 어렵고

世事不如人意多[세사불여인의다] 세상의 일은 사람 뜻과 대개 다르네

蓮葉已空猶有藕[연엽이공유유우] 연잎은 스러져도 연뿌리는 남아있고

菊花雖老不成莎[국화수로불성사] 국화 비록 쇠해도 사초 되지 않으니

扁舟四海五湖上[편주사해입호상] 조각배를 사해오호 위에 띄워 놓으면

何處不堪披釣蓑[하처불감피조사] 어디선들 낚시도롱이 걸치지 못하겠나

 

<京口别石龜翁際可경구별석구옹제가 / 경구에서 석귀옹 제가와 작별하다>

 


대복고[戴復古] 남송(南宋) 천태(天台) 황암(黃巖: 현재의 저장浙江 태주台州) 사람이다. 강호시파(江湖詩派)의 시인(詩人)이자 사인(詞人)으로 자는 식지(式之), 호는 석병(石屛)이다. 어려서 고아가 되어 배우지 못하다가 장성하여 독서에 분발하였다. 평생 벼슬하지 않고 강호를 떠돌며 산수를 즐기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강남의 산봉우리와 물가를 두루 다녔는데 스스로 사해를 미친 듯 유람하며 줄곧 집을 잊었다[狂游四海, 一向忘家.]’고 하였다. 그는 공명이 반드시 농어보다 뛰어난 것이 아니다[功名未必勝蘆魚]’라고 여겼으며, 천성이 자유롭고 방달(放達)하였다. 일찍이 임경사(林景思)와 교유하였고, 육유(陸游)에게 시를 배웠으며, 강서시파(江西詩派)와 만당(晩唐)의 시풍에 영향을 받았다. 강호(江湖)의 시인으로 이름을 떨쳤고 자기의 작시(作詩) 태도와 방법을 읊은 7언절구 10수를 남겼는데, 이를 논시십절(論詩十絶)이라 한다. 그로 인하여 원호문(元好問)과 함께, 두보(杜甫)의 논시(論詩)를 이은 양대지맥(兩大支脈)을 형성하였다. 만년에는 고향 석병산(石屛山)에 돌아가 은거하며 여든을 넘길 때까지 장수하였다. 작품 경향은 현실주의 색채가 강하며, 지배층의 모순을 고발한 작품도 있다. 저서에 석병신어(石屛新語)와 석병시집(石屛詩集), 석병사(石屛詞)가 있다.

경구[京口] 옛 성의 이름으로, 지금의 강소성(江蘇省) 진강시(鎭江市)를 이른다. 손권(孫權)이 오()나라의 수도를 소주(蘇州)에서 이곳으로 옮긴 뒤 경성(京城)이라고 부르다가 다시 건업(建業)으로 수도를 옮긴 뒤 이곳을 경구진(京口鎭)이라고 불렀다. 동진(東晉)과 남조(南朝) 때는 경구성(京口城)이라고 불렀다. 고대에는 장강(長江) 하류의 군사요충지였다.

작지가[斫地歌] 검으로 땅을 치며 부르는 노래를 이른다. 강개(慷慨)함을 뜻한다. 두보(杜甫)의 시 단가행증왕랑사직(短歌行贈王郞司直)왕랑이 술 취하면 칼 뽑아 땅 치며 노래함이 더없이 슬퍼라, 내가 능히 그대 억눌려 있는 뛰어난 재주를 발천하리라[王郞酒酣拔劍斫地歌莫哀 我能拔爾抑塞磊落之奇才]”라고 하였는데, 그 주에 한 무제(漢武帝) 때 제()나라 사람 동방삭이 좌중에서 술이 취하면 땅을 치며 노래를 부르곤 하였다.”라고 하였다.

유련[留戀] 차마 떠나지 못하다. 그리워하다. 떠나기 서운해 하다.

차타[蹉跎] 발을 헛디디어 미끄러져 넘어짐. 세월을 헛되이 보내다. 헛디디어 넘어지다. 시기(時期)를 놓치다. 일을 이루지 못하고 나이가 많아지다. 이기(李頎)의 시 방가행답종제묵경(放歌行答從弟墨卿)이렇게 때를 놓친 한 늙은이가, 성 동쪽 구석에서 닭과 돼지를 키웠네[由是蹉跎一老夫, 養鷄牧豕東城隅]”라고 하였다.

심기[心期] 충심으로 기대하다. 심원(心願). 서로 마음을 허락하다. 마음이 서로 통하다. 마음으로 기약하다. 마음속으로 서로 허여하다. 도연명(陶淵明)의 시 정시상에게 화답하다[酬丁柴桑]’진실로 마음속으로 서로 맞음 흔쾌하여 지금 나를 따라 노닌다네[實欣心期 方從我遊]”라고 보인다.

속자[俗子] 속인(俗人). 세속의 평범한 사람. 일반의 평범한 사람.

사초[莎草] 방동사닛과의 다년생 식물로 들녘의 모래땅에서 자라는데 묘지 주변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이것의 땅속줄기를 향부자(香附子)라고 부르며 약용한다.

사해[四海] 사방(四方)의 바다. 온 천하. ‘사해의 안이란 뜻에서 온 세상(世上)을 일컬음. 사표(四表)라고도 한다. 전국 각지. 전국 방방곡곡. 전세계. 온 천하.

오호[五湖] 오호는 고대 오월(吳越) 지역의 호수로, 구구(具區), 요포(洮浦), 팽려(彭蠡), 청초(靑艸), 동정(洞庭) 등을 이르는데, 혹은 태호(太湖)의 별칭이라고도 한다. 춘추 시대 범려(范蠡)가 월()나라 구천(句踐)을 도와 오()나라를 멸망시킨 뒤에 물러나 조각배를 타고 오호 지역을 떠다녔다고 하여 흔히 은거지를 뜻하는 말로도 쓰인다. <史記 卷129 貨殖列傳>

불감[不堪] 견딜 수 없다. ~할 수 없다. 감당할 수 없다. 심하다. 몹시 나쁘다.

조사[釣蓑] 어부들이 비를 맞지 않도록 하기 위해, 띠 따위로 엮어 어깨에 걸쳐 두르는 도롱이를 이른다.

 

 



번호 제     목 조회
194 韋應物[위응물] 秋夜寄丘員外[추야기구원외] 빈 산의 솔방울 소리 1979
193 蘇軾[소식] 春夜[춘야] 봄밤 1977
192 杜甫[두보] 憶弟二首[其一]억제2수1 / 동생 생각 1973
191 李白[이백] 月下獨酌四首其三[월하독작4수3] 비단 같은 춘삼월 함양성에 1973
190 韋應物[위응물] 淮上遇洛陽李主簿[회상우낙양이주부] 회상에서 낙양의 이주부를 만나다 1970
189 李珥[이이] 山中[산중] 산 속에서 길을 잃다 1945
188 白居易[백거이] 放言五首[其二]방언5수2 / 화복은 돌고 돌아 1935
187 丁若鏞[정약용] 打麥行[타맥행] 보리타작 1926
186 許蘭雪軒[허난설헌] 貧女吟[빈녀음] 가난한 처녀의 노래 1909
185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五]대주5수 / 문병 갔다 조문하니 1907
184 白居易[백거이] 勸酒十四首권주14수 : 何處難忘酒七首[其六]하처난망주7수6 1891
183 宋眞宗[송진종] 勸學文[권학문] 勸學詩권학시 1891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