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黃庭堅[황정견] 和答元明黔南贈別[화답원명검남증별] 형님이 이별하며 준 시에 화답하다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96  

 

和答元明黔南贈別[화답원명검남증별] 형님이 이별하며 준 시에 화답하다

 

- 黃庭堅[황정견] -

 

萬里相看忘逆旅[만리상간망역려] 만 리 먼 길 서로 보며 여정 힘듦 잊었는데

三聲淸淚落離觴[삼성청루낙리상] 원숭이 울어 이별 잔에 맑은 눈물 떨어지네

朝雲往日攀天夢[조운왕일반천몽] 아침구름처럼 하늘에 오르려던 지난날의 꿈

夜雨何時對榻涼[야우하시대탑량] 어느 밤비 내리는 때 침상 마주하고 식힐까

急雪脊令相併影[급설척령상병영] 급하게 퍼붓는 눈에 척령 그림자 아우러지고

驚風鴻雁不成行[경풍홍안불성행] 바람에 놀란 기러기는 행렬을 이루지 못하네

歸舟天際常回首[귀주천제상회수] 돌아가는 수평선 배에서 돌아보고 계셨겠죠

從此頻書慰斷腸[종차빈서위단장] 이제는 잦은 편지로나 슬픔을 달래야겠네요

 

<和答元明黔南贈別화답원명검남증별 / 원명 형님이 검남에서 이별하며 준 시에 화답하다>

 


황정견[黃庭堅] 북송(北宋)의 시인이자 사인(詞人)이며 화가이고 서법가(書法家), ()는 노직(魯直)이고 호()는 산곡(山谷)이다. 만년에는 부옹(涪翁)이란 호를 쓰기도 했다. 홍주(洪州) 분녕(分寧: 지금의 강서성江西省 구강九江 수수현修水縣) 사람이다. 소식(蘇軾)에게 배워 장뢰(張耒), 조보지(晁補之), 진관(秦觀)과 함께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로 불리고, 소식(蘇軾)과 병칭하여 소황(蘇黃)으로도 불렸다. 그의 시는 고전주의적인 작풍을 지녔으며, 학식에 의한 전고(典故)와 수련을 거듭한 조사(措辭)를 특색으로 하며, 강서시파(江西詩派)를 열었다. 서법가로서도 이름이 높아 소식(蘇軾), 미불(米芾), 채양(蔡襄)과 함께 북송(北宋) 4대가(四大家)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진다. 글씨는 단정하지만 일종의 억양(抑揚)을 지녔으며, 활력있는 행초서(行草書)에 뛰어났다. 지극한 효성으로 부모를 공양하여 이십사효(二十四孝) 중 한 사람으로도 꼽힌다. 강서시파(江西詩派)의 문을 열었다. 불교를 독실하게 신봉했고 차를 좋아하여 20년 넘게 술 대신 차를 마셨다. 홍주쌍정차(洪州雙井茶)는 황정견의 추천으로 높은 이름을 얻어 결국에는 황실에 진상되는 명품이 되었다고 전한다. 정치적으로는 송 영종(宋英宗) 치평(治平) 4(1067)에 진사(進士)에 급제한 후 국자감 교수(國子監敎授)를 거쳐 각지의 지방관리를 역임하였다. 1086년에 비로소 중앙관직에 취임, 교서랑(校書郞)이 되어 국사편찬(國史編纂)에 종사하였다. 1095년 왕안석(王安石)의 신법당(新法黨)이 부활되자 구법당(舊法黨)인 그는 신법을 비난하였다는 죄목으로 검주(黔州: 사천성四川省 팽수현彭水縣)에 유배되었다. 1100년에 사면 복직되었으나, 1102년에 다시 무고를 당하고 의주(宜州: 광서성廣西省 의산현宜山縣)에 유배되어, 그 곳에서 병사하였다. 저작으로는 예장황선생문집(豫章黃先生文集), 산곡금취외편(山谷琴趣外篇)을 남겼다.

원명[元明] 황대림(黃大臨). 황정견(黃庭堅)의 장형(長兄) 황대림(黃大臨)의 자()가 원명(元明)이다. 형제는 서로 수족처럼 정이 깊었다 한다.

검남[黔南] 귀주성(貴州省)의 별칭이다. 귀주(貴州)의 옛 이름이 검()이었다. 황정견(黃庭堅)이 오랫동안 검주(黔州)에 안치(安置)되어 있었다.

증별[贈別] 작별의 정을 담은 시나 노래를 지어 주고 헤어짐. 떠나는 사람에게 정표(情表)로 시나 노래 따위를 지어 주면서 작별함. 헤어질 때 서로에게 물품이나 시문 등을 주는 것을 가리킨다.

이별[離別] 서로 오랫동안 만나지 못하고 떨어져 있거나 헤어짐. 서로 갈리어 떨어짐.

작별[作別] 서로 인사를 나누고 헤어짐. 또는 그 인사.

상간[相看] 서로 보다. 주시하다. 대하다. 대우하다. ()로 보다. 직접 보다. 맞선 보다.

역려[逆旅] 여점(旅店). 객사(客舍). 여관(旅館). 오랫동안 객지에 머물다. 하룻밤 묵고 가는 여관방처럼 인생의 덧없음을 이른다. 이백(李白)의 시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천지는 만물의 여관이요, 광음은 백대의 길손이다.[夫天地者 萬物之逆旅 光陰者 百代之過客]”라고 하였다.

삼성[三聲] 군호(軍號)를 말한다. 옛날에 군중(軍中)에서 소리로 명령을 전하던 고(), (), (). 즉 북, 피리, 목탁(또는 요령)을 이른.

삼성[三聲] 세속에 전하는 이른바 인가(人家)에 있어야 할 세 가지 소리로서 글 읽는 소리, 베 짜는 소리, 아기 우는 소리를 가리킨다.

삼성[三聲] 원숭이 울음소리를 이른다. 고악부(古樂府) 파동삼협가(巴東三峽歌)파동의 삼협 중에 무협이 가장 긴데, 원숭이 울음 세 마디에 눈물이 옷깃을 적시네.[巴東三峽巫峽長 猿鳴三聲淚沾裳]”라고 하였다. 수경주(水經注)에도 보인다. , 두보(杜甫)의 시 추흥(秋興) 8수 가운데 둘째 수에 잔나비 울음소리 세 번에 참으로 눈물을 흘리고, 사명을 받들어 팔월의 뗏목을 타지는 못하였네.[聽猿實下三聲淚 奉使虛隨八月槎]”라고 하였다. 무협(巫峽)은 장강삼협(長江三峽) 중의 하나로, 지금의 사천성(四川省) 무산현(巫山縣) 동쪽에 있다. 삼협(三峽)은 구당협(瞿塘峽), 무협(巫峽), 서릉협(西陵峽)을 이른다. 수경주(水經注)에서는 삼협을 광계협(廣溪峽), 무협(巫峽), 서릉협(西陵峽)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상[離觴] 이별의 술잔. 헤어질 때 마시는 술을 가리킨다. 이함용(李咸用)의 시 송별(送別)헤어지는 그 속을 말로 다할 수 없고, 술잔에 담긴 뜻도 말로 하기 어렵네.[別意說難盡 離杯深莫辭]”라고 하였다.

조운[朝雲] 전국 시대 초 회왕(楚懷王)이 일찍이 고당(高唐)에서 낮잠을 자는데, 꿈에 한 여인이 나타나 말하기를 첩은 무산의 여자로서 고당의 나그네가 되었습니다. 임금께서 고당을 유람하신다는 소문을 듣고 왔으니, 침석을 받들게 해주소서.[妾巫山之女也, 爲高唐之客. 聞君遊高唐, 願薦枕席.]”라고 하였다. 이에 그와 같이 하룻밤을 잤더니, 이튿날 아침에 그 여인이 떠나면서 말하기를 첩은 무산의 양지쪽 높은 구릉의 험준한 곳에 사는데, 매일 아침이면 아침 구름이 되고 저녁이면 내리는 비가 되어 아침마다 저녁마다 양대 아래에 있습니다.[妾在巫山之陽, 高丘之岨, 旦爲朝雲, 暮爲行雨, 朝朝暮暮, 陽臺之下.]”라고 하였다는 고사가 전하는데, 여기에서 온 말이다. <文選 卷19 情 高唐賦>

조운[朝雲] 초양왕(楚襄王)이 송옥(宋玉)과 함께 운몽지포(雲夢之浦)에서 노닐 때, 고당(高唐)의 경관을 보았다. 그런데 구름의 모습이 매우 독특하여 곧게 올라갔다가 순식간에 모습을 바꾸는 등 변화가 무궁했다. 왕이 물었다. “무슨 기운이 이러한가?” 송옥이 답했다. “조운(朝雲)이라 부릅니다.” 왕이 다시 물었다. “어째서 조운이라 하는가?” 송옥이 말했다. “옛날에 선왕께서 고당을 유람하셨는데 피곤하여 대낮에 잠이 드셨습니다. 그런데 꿈 속에서 한 여인이 말했습니다. ‘저는 무산의 여인입니다. 듣자니 임금께서 고당에 유람을 오셨다니 원컨대 이곳에서 주무시도록 하십시오.’ 왕이 다행으로 여겼는데. 여인이 떠나면서 말했습니다. ‘다음부터는 날마다 아침에는 구름으로 저녁에는 비로 오겠습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보니 그 말과 같았고, 이에 왕께서 사당을 세우고 조운朝雲이라 부르게 했습니다.”라고 하였다. <昭明文選 高唐賦>

왕일[往日] 지난 날

반천[攀天] 하늘을 더위잡다. 하늘을 잡고 오르다. 자기보다 지위가 높은 사람과 친분 관계를 맺다.


 



번호 제     목 조회
434 賈島[가도] 三月晦日贈劉評事[삼월회일증유평사] 삼월 그믐날 유평사에게 1432
433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九]잡흥9수9 / 얽매임을 풀어야 1430
432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八]잡흥9수8 / 양주의 봄버들 1341
431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七]잡흥9수7 / 한들구름 개인 날빛 희롱하고 1378
430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六]잡흥9수6 / 지사는 일을 사랑하나 1543
429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五]잡흥9수5 / 이룬 것 없이 늙어 1615
428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四]잡흥9수4 / 유인은 밤을 지새우고 1657
427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三]잡흥9수3 / 산속 푸른 계수나무 1593
426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二]잡흥9수2 / 인생은 바람 앞 촛불이라 1683
425 金時習[김시습] 放言[방언] 맞고 보냄이 싫어서 1594
424 金時習[김시습] 贈峻上人二十首[其九]증준상인20수9 / 준상인에게 주다 1575
423 金時習[김시습] 贈峻上人二十首[其二]증준상인20수2 / 송화 가루 산허리에 1623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