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金炳淵[김병연] 洛花吟[낙화음] 꽃이 지누나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540  

 

洛花吟[낙화음] 꽃이 지누나

 

- 金炳淵[김병연] -

 

曉起飜驚滿山紅[효기번경만산홍] 새벽에 일어나 온 산 붉어 놀라라

開落都歸細雨中[개락도귀세우중] 꽃피고 지는 게 다 가랑비에 달렸구나

無端作意移粘石[무단작의이점석] 까닭 없이 멋대로 바위에 붙기도 하고

不忍辭枝倒上風[불인사지도상풍] 가지 차마 못 떠나 바람 타고 오르기도

鵑月靑山啼忽罷[견월청산제홀파] 푸른 산 달빛 아래 두견이 울다 그치고

燕泥香逕蹴全空[연니향경축전공] 제비는 진흙 물고 꽃길 박차고 오르네

繁華一度春如夢[번화일도춘여몽] 번화한 봄날 한때 꿈처럼 지나가니

坐嘆城南頭白翁[좌탄성남두백옹] 성 남쪽 백발노인 앉아서 탄식하네

 


김병연[金炳淵] 조선(朝鮮) 후기(後期)의 방랑(放浪) 시인(詩人). 자는 성심(性深)이며 호는 난고(蘭皐)이다. 속칭 김삿갓 혹은 김립(金笠)이라 불린다. 본관은 안동(安東). 경기도 양주 출생. 전국을 떠돌아다니며 즉흥적인 풍자시를 많이 지어서 남겼다. 평안도 선천부사(宣川府使)였던 할아버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의 난 때에 항복한 죄로 집안이 멸족(滅族)을 당하였다. 노복 김성수(金聖洙)의 도움으로 여섯 살 때 형 김병하(金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피신하여 숨어 지냈다. 후일 멸족에서 폐족(廢族)으로 사면되어 형제는 어머니에게로 돌아갔다. 그러나 아버지 김안근(金安根)은 화병으로 죽었다. 어머니는 자식들이 폐족자로 멸시받는 것이 싫어서 강원도 영월로 옮겨 숨기고 살았다. 이 사실을 모르는 김병연이 과거에 응시하여 논정가산충절사탄김익순죄통우천(論鄭嘉山忠節死嘆金益淳罪通于天)이라는 그의 할아버지 김익순을 조롱하는 시제로 장원급제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내력을 어머니에게서 듣고는 조상을 욕되게 한 죄인이라는 자책과 폐족자에 대한 멸시 등으로 20세 무렵부터 처자식을 둔 채로 방랑 생활을 시작하였다. 스스로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 생각하고 항상 큰 삿갓을 쓰고 다녀 김삿갓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전국을 방랑하면서 각지에 즉흥시를 남겼는데 그 시 중에는 권력자와 부자를 풍자하고 조롱한 것이 많아 민중 시인으로도 불린다. 아들 익균(翼均)이 여러 차례 귀가를 권유했으나 계속 방랑하다가 전라도 동복(同福: 전남 화순)에서 57세에 객사하였다. 김립시집(金笠詩集)이 전한다.

번경[飜驚] 놀라 뒤집어짐. 소스라쳐 뒤로 넘어짐. 뒤집어지게 놀람.

번화[繁華] 성대하고 화려함을 말한다. 번창(繁昌)하고 화려(華麗). 얼굴이 높고 귀()하게 될 빛이 있고 환함.

 

 



번호 제     목 조회
446 王維[왕유] 秋夜曲[추야곡] 가을밤 노래 1798
445 金炳淵[김병연] 無題[무제] 죽 한 그릇 1696
444 金炳淵[김병연] 看山[간산] 산 구경 1752
443 金炳淵[김병연] 寒食日登北樓吟[한식일등북루음] 한식날 북루에 올라서 읊다 1601
442 金炳淵[김병연] 賞景[상경] 경치구경 1715
441 金炳淵[김병연] 過寶林寺[과보림사] 보림사를 거치다 1630
440 金炳淵[김병연] 落葉[낙엽] 낙화보다 더 슬퍼 1858
439 金炳淵[김병연] 落葉吟[낙엽음] 지는 잎 1685
438 金炳淵[김병연] 洛花吟[낙화음] 꽃이 지누나 1541
437 蘇軾[소식] 春夜[춘야] 봄밤 1977
436 杜甫[두보] 臘日[납일] 납일 1718
435 王安石[왕안석] 夜直[야직] 야간당직 1518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