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金炳淵[김병연] 寒食日登北樓吟[한식일등북루음] 한식날 북루에 올라서 읊다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600  

 

寒食日登北樓吟[한식일등북루음] 한식날 북루에 올라서 읊다

 

- 金炳淵[김병연] -

 

十里平沙岸上莎[십리평사안상사] 십리 모래밭 언덕 위에 사초하니

素衣靑女哭如歌[소의청녀곡여가] 소복 청상과부 노래하듯 곡을 하네

可憐今日墳前酒[가련금일분전주] 가련타 오늘 무덤 앞에 부은 술은

釀得阿郞手種禾[양득아랑수종화] 낭군 살아 손수 심은 벼로 빚었겠지

 


김병연[金炳淵] 조선(朝鮮) 후기(後期)의 방랑(放浪) 시인(詩人). 자는 성심(性深)이며 호는 난고(蘭皐)이다. 속칭 김삿갓 혹은 김립(金笠)이라 불린다. 본관은 안동(安東). 경기도 양주 출생. 전국을 떠돌아다니며 즉흥적인 풍자시를 많이 지어서 남겼다. 평안도 선천부사(宣川府使)였던 할아버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의 난 때에 항복한 죄로 집안이 멸족(滅族)을 당하였다. 노복 김성수(金聖洙)의 도움으로 여섯 살 때 형 김병하(金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피신하여 숨어 지냈다. 후일 멸족에서 폐족(廢族)으로 사면되어 형제는 어머니에게로 돌아갔다. 그러나 아버지 김안근(金安根)은 화병으로 죽었다. 어머니는 자식들이 폐족자로 멸시받는 것이 싫어서 강원도 영월로 옮겨 숨기고 살았다. 이 사실을 모르는 김병연이 과거에 응시하여 논정가산충절사탄김익순죄통우천(論鄭嘉山忠節死嘆金益淳罪通于天)이라는 그의 할아버지 김익순을 조롱하는 시제로 장원급제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내력을 어머니에게서 듣고는 조상을 욕되게 한 죄인이라는 자책과 폐족자에 대한 멸시 등으로 20세 무렵부터 처자식을 둔 채로 방랑 생활을 시작하였다. 스스로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 생각하고 항상 큰 삿갓을 쓰고 다녀 김삿갓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전국을 방랑하면서 각지에 즉흥시를 남겼는데 그 시 중에는 권력자와 부자를 풍자하고 조롱한 것이 많아 민중 시인으로도 불린다. 아들 익균(翼均)이 여러 차례 귀가를 권유했으나 계속 방랑하다가 전라도 동복(同福: 전남 화순)에서 57세에 객사하였다. 김립시집(金笠詩集)이 전한다.

평사[平沙] 물가의 모래밭. 모래펄. 모래가 덮인 개펄. 모래로 덮여 있는 평평한 갯벌. 평평한 모래벌판.

사초[莎草] 다년생 초본 식물로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며 적갈색의 꽃이 핀다. 그 뿌리가 향부자(香附子)인데 한약재이다.

사초[莎草] 방동사닛과의 다년생 식물로 들녘의 모래땅에서 자라는데 묘지 주변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이것의 땅속줄기를 향부자(香附子)라고 부르며 약용한다.

사초[莎草] 잔디. 무덤에 떼를 입히고 다듬음. 묘의 봉분이 점차 비바람 등에 의해 점차 작아지거나 무너지기 때문에 봉분을 다시 높이거나 무너진 부분을 보수하여 잔디를 새로 입히는 일을 사초라 한다.

청녀[靑女] 청소옥녀(靑霄玉女)의 줄임말. 서리와 눈을 주관하는 전설 속의 여신(女神)이다. 이 청녀가 출현해야 비로소 서리나 눈이 내린다고 한다. 전하여 바로 눈서리를 지칭하기도 한다. 회남자(淮南子) 천문훈(天文訓)가을의 3개월이 계추(季秋: 음력 9, 늦가을)에 이르면 땅의 기가 감추어지지 않고, 이에 그 살기를 거둔다. 온갖 곤충이 겨울잠을 자기 시작하고 조용하게 살며 문을 닫는다. 청녀가 이에 나타나 서리와 눈이 내리게 된다.[至秋三月 地氣不藏 乃收其殺 百蟲蟄伏 靜居閉戶 靑女乃出 以降霜雪]”라고 하였다.

청녀[靑女] 청천옥녀(靑天玉女). 서리와 눈을 관장하는 신녀(神女)의 이름이다. 청요옥녀(靑腰玉女)라고도 한다. 낙양(洛陽) 서쪽의 청요산(靑腰山)이 청녀의 전설이 서린 곳인데, 황제(黃帝)를 도와 치우(蚩尤)를 꺾는 데 공을 세운 무라고랑(武羅姑娘)이 산신령이 되었는데 전쟁 뒤끝이라 전염병이 돌았다. 그런데 무라고낭이 달에서 청녀를 데려와 칠현금(七絃琴)을 타도록 하자 서리와 눈이 내리면서 전염병이 사라지고 덤으로 사계절이 생겼다고 한다. 청녀가 곧 서리를 나타내기도 한다.

청상[靑孀] 젊은 나이에 남편이 먼저 죽어서 혼자가 된 여자. 젊어서 남편을 잃고 홀로된 여자. 청상과부(靑孀寡婦).

청상과부[靑孀寡婦] 아주 젊은 시절에 된 과부(寡婦). 젊은 과부. 청상(靑孀). 나이가 젊어서 남편(男便)을 여읜 여자(女子).

아랑[阿郞] 여인(女人)이 남편(男便)이나 애인(愛人)을 친근(親近)하게 일컫는 애칭(愛稱). 아버지. 사위. 자매의 남편. 주인나리.

 

 



번호 제     목 조회
446 王維[왕유] 秋夜曲[추야곡] 가을밤 노래 1797
445 金炳淵[김병연] 無題[무제] 죽 한 그릇 1695
444 金炳淵[김병연] 看山[간산] 산 구경 1751
443 金炳淵[김병연] 寒食日登北樓吟[한식일등북루음] 한식날 북루에 올라서 읊다 1601
442 金炳淵[김병연] 賞景[상경] 경치구경 1714
441 金炳淵[김병연] 過寶林寺[과보림사] 보림사를 거치다 1629
440 金炳淵[김병연] 落葉[낙엽] 낙화보다 더 슬퍼 1857
439 金炳淵[김병연] 落葉吟[낙엽음] 지는 잎 1682
438 金炳淵[김병연] 洛花吟[낙화음] 꽃이 지누나 1539
437 蘇軾[소식] 春夜[춘야] 봄밤 1977
436 杜甫[두보] 臘日[납일] 납일 1718
435 王安石[왕안석] 夜直[야직] 야간당직 1517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