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金炳淵[김병연] 看山[간산] 산 구경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51  

 

看山[간산] 산 구경

 

- 金炳淵[김병연] -

 

倦馬看山好[권마간산호] 게으른 말 산 구경에 더 좋아

停鞭故不加[집편고부가] 채찍 멈춰 일부러 치지 않네

岩間纔一路[암간재일로] 바위 사이 바듯 오솔길 하나

烟處或三家[연처혹삼가] 연기 이는 곳에는 집 세 채

花色春來矣[화색춘래의] 꽃 빛깔이 봄이 왔구나

溪聲雨過耶[계성우과야] 시냇물 소리가 비 지났구나

渾忘吾歸去[혼망오귀가] 돌아갈 나 까맣게 잊고 있는데

奴曰夕陽斜[노왈석양사] 종 이르길 석양이 비꼈다 하네

 


김병연[金炳淵] 조선(朝鮮) 후기(後期)의 방랑(放浪) 시인(詩人). 자는 성심(性深)이며 호는 난고(蘭皐)이다. 속칭 김삿갓 혹은 김립(金笠)이라 불린다. 본관은 안동(安東). 경기도 양주 출생. 전국을 떠돌아다니며 즉흥적인 풍자시를 많이 지어서 남겼다. 평안도 선천부사(宣川府使)였던 할아버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의 난 때에 항복한 죄로 집안이 멸족(滅族)을 당하였다. 노복 김성수(金聖洙)의 도움으로 여섯 살 때 형 김병하(金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피신하여 숨어 지냈다. 후일 멸족에서 폐족(廢族)으로 사면되어 형제는 어머니에게로 돌아갔다. 그러나 아버지 김안근(金安根)은 화병으로 죽었다. 어머니는 자식들이 폐족자로 멸시받는 것이 싫어서 강원도 영월로 옮겨 숨기고 살았다. 이 사실을 모르는 김병연이 과거에 응시하여 논정가산충절사탄김익순죄통우천(論鄭嘉山忠節死嘆金益淳罪通于天)이라는 그의 할아버지 김익순을 조롱하는 시제로 장원급제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내력을 어머니에게서 듣고는 조상을 욕되게 한 죄인이라는 자책과 폐족자에 대한 멸시 등으로 20세 무렵부터 처자식을 둔 채로 방랑 생활을 시작하였다. 스스로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 생각하고 항상 큰 삿갓을 쓰고 다녀 김삿갓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전국을 방랑하면서 각지에 즉흥시를 남겼는데 그 시 중에는 권력자와 부자를 풍자하고 조롱한 것이 많아 민중 시인으로도 불린다. 아들 익균(翼均)이 여러 차례 귀가를 권유했으나 계속 방랑하다가 전라도 동복(同福: 전남 화순)에서 57세에 객사하였다. 김립시집(金笠詩集)이 전한다.

 

 



번호 제     목 조회
398 白居易[백거이] 勸酒十四首권주14수 : 何處難忘酒七首[其七]하처난망주7수7 1810
397 杜甫[두보] 秋雨嘆三首[其三]추우탄3수3 / 날개 젖은 기러기 1815
396 白居易[백거이] 勸酒十四首권주14수 : 何處難忘酒七首[其三]하처난망주7수3 1822
395 白居易[백거이] 春眠[춘면] 봄 잠 1823
394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三]대주5수3 / 신선도 취하면 1826
393 李亮淵[이양연] 白鷺[백로] 백로 1827
392 白居易[백거이] 勸酒十四首권주14수 : 何處難忘酒七首[其二]하처난망주7수2 1829
391 杜甫[두보] 鳳凰臺[봉황대] 봉황대 1833
390 李達[이달] 撲棗謠[박조요] 대추서리 1836
389 靜觀一禪[정관일선] 行路難[행로난] 어려운 길 1837
388 杜甫[두보] 秋興八首[其七]추흥8수7 / 가을에 이는 정회 1837
387 李達[이달] 祭塚謠[제총요] 젯술에 취한 노인 1844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