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姜至德[강지덕] 聽秋蟬[청추선] 가을 매미 소리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521  

 

聽秋蟬[청추선] 가을 매미 소리

 

- 姜至德[강지덕] -

 

萬木迎秋氣[만목영추기] 나무마다 가을빛 스미었는데

蟬聲亂夕陽[선성난석양] 매미소리 석양에 어지럽구나

沈吟感物性[침음감물성] 곰곰이 만물본성 생각하면서

林下獨彷徨[임하독방황] 숲 속 길 홀로이 배회하노라

 


강지덕[姜至德] 강정일당(姜靜一堂). 조선 후기 여류시인이자 서예가. 성명은 강지덕(姜至德), 본관은 진주(晉州), 호는 정일당(靜一堂). 생몰연대(生歿年代)1772(영조 48)~1832(순조 32). 조선 초기의 문신인 강희맹(姜希孟)12세 손녀로 영조 48년인 1772년 충북 제천의 가난한 선비 집안에서 외동딸로 태어나 외조부와 부모에게 사서삼경을 배웠다. 어릴 때부터 시서(詩書)에 재주를 보여 주변사람들에게서 칭송을 받았다고 한다. 정일당은 20세 때 6살 연하의 파평윤씨(波平尹氏) 윤광연(尹光演)과 혼인하였다. 매우 빈한하였으나, 시모인 지일당(只一堂)과 시문(詩文) 화답을 할 만큼 학예의 경지가 높았다. 정일당은 유교경전 연구를 비롯해 30여 권의 저술을 남겼으나 모두 유실됐다. 사후 간행된 정일당유고(靜一堂遺稿)40여 편의 한시(漢詩)가 남아 있는데, 대부분 성인의 도와 학문 수련을 주제로 한 것으로 일반 여류문인과 달리 성리학에도 조예가 깊어 조선 규방문학의 수준을 높였다고 평가된다. 서예에도 능하여 해동호보(海東號譜)와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에 의하면, 초서와 예서를 잘하였으며, 황운조(黃雲祚)의 필법을 모사하여 은구철색(銀鉤鐵索)이 힘쓰지 않고도 자연히 문장을 이루었다고 하였다.

침음[沈吟] 침음(沉吟). 중얼거리며 망설이다. 속으로 깊이 생각함. 머리 숙이고 생각에 잠김. 웅얼웅얼 읊음. 되뇌이며 음미하다. 시구나 문장을 낮게 읊조리다. 속으로 깊이 생각하며 읊조리다.

물성[物性] 사물의 본성. 물건이 지닌 성질. 심복(沈復)의 부생육기(浮生六記) 규방기락(閨房記樂)에서 학은 춤을 잘 추지만 땅을 갈지 못하고, 소는 땅을 잘 갈지만 춤을 출 수 없다. 타고난 바탕이 그러하기 때문이다.[鶴善舞而不能耕, 牛善耕而不能舞, 物性然也.]”라고 하였다.

임하[林下] 산림(山林). 수풀 밑. 숲속이라는 뜻으로, 그윽하고 고요한 곳, 즉 벼슬을 그만두고 은퇴하여 지내는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나라 때의 스님 영철(靈澈)이 위단(韋丹)에게 답한 시인 동림사수위단자사(東林寺酬韋丹刺史)늙은 몸 한가로이 다른 일 없으니, 삼베옷 입고 초막에 있어도 몸은 편하네. 만나는 사람마다 벼슬 버리고 간다고 하지만, 임하에선 어찌 한 사람이라도 본 적이 없는가.[年老身閑無外事, 麻衣草坐亦安身. 相逢盡道休官去, 林下何曾見一人?]”라고 한 구절이다.

방황[彷徨] 삶의 분명한 목표를 정하지 못하고 마음의 갈등을 겪거나 어찌할 바를 몰라 갈팡질팡하는 것. 방향이나 위치를 잘 몰라 이리저리 정처 없이 헤매며 다님. 방황하다. 배회하다. 망설이다.

 

 



번호 제     목 조회
38 蘇軾[소식] 饋歲[궤세] 한 해를 보내며(세밑선물) 1583
37 金時習[김시습] 贈峻上人二十首[其九]증준상인20수9 / 준상인에게 주다 1577
36 劉禹錫[유우석] 金陵懷古[금릉회고] 금릉의 옛날을 회상하다 1576
35 杜牧[두목] 題禪院[제선원] 선원에 쓰다 1569
34 李達[이달] 佛日菴贈因雲釋[불일암증인운석] 불일암 인운스님께 드리다 1560
33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二十]음주20수20 / 나루터 묻는 이 없어 1558
32 杜甫[두보] 別房太尉墓[별방태위묘] 방태위 묘에 고별하며 1557
31 金炳淵[김병연] 洛花吟[낙화음] 꽃이 지누나 1555
30 鄭誧[정포] 題梁州客舍壁[제양주객사벽] 새벽 이별 1555
29 陶淵明[도연명] 歸鳥[귀조] 돌아가는 새 1551
28 熊孺登[웅유등] 寒食野望[한식야망] 한식날 들을 바라보며 1547
27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六]잡흥9수6 / 지사는 일을 사랑하나 1546



   41  42  43  44  45  46  47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