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姜溍[강진] 峽行雜絶[협행잡절] 산골짝을 지나며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347  

 

峽行雜絶[협행잡절] 산골짝을 지나며

 

- 姜溍[강진] -

 

山翁夜推戶[산옹야추호] 산에 사는 노인 밤중에 문을 열고

四望立一回[사망립일회] 사방을 한 바퀴 휘 둘러보고 서서

生憎啄木鳥[생증탁목조] 밉살맞은 저놈에 딱따구리 소리에

錯認縣人來[착인현인래] 마을 사람이 마실 온 줄 알았구먼

 

이 시는 협행잡절(峽行雜絶)이라는 제목 아래 있는 22수의 시중 6번째 시이다. 제목의 잡절(雜絶)이란 잡다한 절구(絶句)들이라는 뜻으로 볼 수 있다. 3행에, 주행성(晝行性)인 딱따구리가 밤에 나무를 쪼아서 사람이 문 두드리는 소리로 잘못 알게 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강진[姜溍]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진여(進汝), 호는 대산(對山). 1842(헌종 8) 규장각검서관이 되었고, 이어서 1852(철종 2)강원도 철원 안협 현감(安峽縣監)으로 나가 읍민을 잘 보살펴 조정으로부터 상을 받았다. 조선 후기에 이름 높은 서화가로서 중국에까지 명성을 떨친 증조부 강세황(姜世晃)의 서화기법을 본받아 산수화에 뛰어났으며, 동시에 시와 초서(草書예서(隷書) 등 글씨에도 뛰어나 사람들은 시··화의 삼절(三絶)이라 칭송하였다.

생증[生憎] 미움. 밉살스러움. 미움 또는 혐오의 뜻을 나타낸다.

탁목조[啄木鳥] 딱따구릿과에 속한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삼림에 살며, 날카롭고 단단한 부리로 나무에 구멍을 내어 그 속에 있는 벌레를 잡아먹는다. 오색딱따구리, 메딱따구리, 까막딱따구리, 크낙새 따위가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470 白居易[백거이] 歲暮[세모] 세밑생각 2054
469 李商隱[이상은] 辛未七夕[신미칠석] 851년 칠석 1466
468 陳後主[진후주] 玉樹後庭花[옥수후정화] 뒤뜰의 꽃 1872
467 杜甫[두보] 書堂飮旣...[서당음기...] 서당에서 술 마시고 나서 1585
466 杜牧[두목] 鷺鷥[노사] 해오라기 1789
465 懶翁惠勤[나옹혜근] 警世[경세] 세상 사람들아 1649
464 懶翁惠勤[나옹혜근] 警世[경세] 명리는 화의 문 1595
463 金昌協[김창협] 山行[산행] 쓸쓸한 산행 1595
462 金昌協[김창협] 山民[산민] 화전민 1659
461 金地藏[김지장] 送童子下山[송동자하산] 동자승을 보내며 1885
460 金淨[김정] 感興[감흥] 저녁감상 1701
459 金始振[김시진] 山行[산행] 산길을 가다 1737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