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吉再[길재] 無題[무제] 늙었으면 물러나야지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699  

 

無題[무제] 늙었으면 물러나야지

 

- 吉再[길재] -

 

曾讀前書笑古今[증독전서소고금] 일찍이 옛 글을 읽고 고금을 비웃었는데

愧隨流俗共浮[괴수류속공부침] 세속의 흐름에 함께 부침한 것 부끄럽네

終期直道扶元氣[종기직도부원기] 끝내 바른 도로써 원기를 잡아 지켜야지

肯爲虛名役片心[긍위허명역편심] 어찌 헛된 이름을 위해 마음을 괴롭히랴

 

默坐野禽啼晝景[묵좌야금제주경] 말없이 앉았으니 낮 경치에 들새가 울고

閉門柳長春陰[폐문류장춘음] 문 닫으니 관사의 버들 봄 그늘을 늘이네

人間事了須先退[인간사료수선퇴] 인간사 마쳤으면 마땅히 먼저 물러나야지

不待霜毛漸滿簪[부대상모점만잠] 흰 머리칼이 비녀 감기 기다릴 것이 있나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에서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이자 학자이다. 자는 재보(再父), 호는 야은(冶隱) 또는 금오산인(金烏山人)이고, 본관은 해평(海平)이다. 목은(牧隱) 이색(李穡),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양촌(陽村) 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李穡), 정몽주(鄭夢周)와 함께 고려삼은(高麗三隱)으로 불린다. 태조가 새로운 왕조를 세우려 하자, 고향인 선산 봉계(鳳溪)로 돌아와 조정의 부름에 나아가지 않고 여생을 마쳤다.

종기[終期] 어떤 일이나 기간이 끝나는 시기. 법률 행위의 효력이 소멸하게 되는 기한.

직도[直道] 정도(正道). 곧은 길. 똑바른 길. 사람이 행할 바 바른 길. 우회하지 않고, 바로 열반에 도달하는 길. 한 갈래로 곧게 뻗어 나간 길. 직로(直路).

원기[元氣] 원기(元氣)는 천지의 정기(精氣)로 만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도교(道敎)에서는 태양(太陽)과 태음(太陰)과 중화(中和)를 세 개의 원기라 일컫는다.

원기[元氣] 마음과 몸의 활동력. 본디 타고난 기운. 만물이 자라는 데 근본이 되는 정기. 만물(萬物)이 이루어지는 근본의 힘. 사람의 생명 활동을 유지하는 데서 근본으로 되는 기(). 기운과 정력을 말한다.

긍위[肯爲] 기꺼이 ~하다.

야금[野禽] 산이나 들에서 사는 새. 산과 들에 사는 야생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관류[官柳] 관부에서 심은 버드나무. 큰 길 위의 버드나무.

춘음[春陰] 봄철의 흐린 날. 봄의 흐린 날씨. 봄날의 꽃나무 그늘.

 

 



번호 제     목 조회
74 白居易[백거이] 勸酒十四首권주14수 : 不如來飮酒七首[其二]불여래음주7수2 1648
73 李商隱[이상은] 安定城樓[안정성루] 안정성루 1646
72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十七]음주20수17 / 가다가 길 잃어도 1642
71 金炳淵[김병연] 過寶林寺[과보림사] 보림사를 거치다 1640
70 陶淵明[도연명] 雜詩十二首[其九]잡시12수9 / 타관에서 벼슬사니 1639
69 白居易[백거이] 勸酒十四首권주14수 : 不如來飮酒七首[其七]불여래음주7수7 1638
68 陶淵明[도연명] 雜詩十二首[其四]잡시12수4 / 무덤으로 갈 마당에 1638
67 白居易[백거이] 偶作二首[우작2수] 우연히 지은 두 수 1631
66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一]음주20수1 / 성쇠는 변하는 것 1630
65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四]음주20수4 / 떠도는 새 1628
64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十四]음주20수14 / 술 속에 깊은 뜻이 1628
63 金時習[김시습] 贈峻上人二十首[其二]증준상인20수2 / 송화 가루 산허리에 1623



   41  42  43  44  45  46  47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