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杜牧[두목] 鷺鷥[노사] 해오라기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80  

 

鷺鷥[노사] 해오라기

 

- 杜牧[두목] -

 

雪衣雪髮靑玉觜[설의설발청옥취] 흰 옷에 흰 머리칼 푸르른 옥 부리

群捕魚兒溪影中[군포어아계영중] 골 그림자 속에 떼 지어 잔물고기 잡네

驚飛遠映碧山去[경비원영벽산거] 놀라 나니 아득 비추던 푸른 산이 가고

一樹梨花落晩風[일수이화락만풍] 한 그루의 배꽃이 다 늦바람에 지는 듯



​❍ 두목[杜牧] 만당(晩唐)의 문장가이자 시인으로 자()는 목지(牧之), 호는 번천(樊川), 경조(京兆) 만년(萬年: 지금의 섬서성陝西省 서안西安)의 사족(士族) 출신이다. 고시(古詩)는 두보(杜甫)와 한유(韓愈)의 영향을 받아 사회와 정치에 관한 내용이 많다. 장편시는 필력이 웅장하고 장법(章法)이 엄정하며 감개가 깊다. 근체시(近體詩) 특히 칠언절구(七言絶句)에 능하였는데 서정적이며 풍경을 읊은 것이 많고, 격조가 청신(淸新)하고 감정이 완곡하고도 간명하다. 시어의 조탁(彫琢) 못지않게 내용을 중시했다. 병법에도 밝아 손자(孫子)에 주석을 내어 손자십가주(孫子十家註)에 들어 있다. 강직한 성품의 소유자로, 당나라의 위기를 구하기 위해 용병술을 논한 죄언(罪言)을 지어 황제에게 올린 바 있다. 26세 때 진사에 급제하여, 황주(黃州), 지주(池州), 목주(睦州)에서 자사(刺史)를 지냈고, 사관수찬(史舘修撰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중서사인(中書舍人)을 지냈다. 중서성의 별칭이 자미성(紫微省)이었던 까닭에 사람들이 두자미(杜紫微)라고 불렀고, 사훈원외랑(司勛員外郞)을 지내서 두사훈(杜司勛)이라고도 불렀으며, 두보(杜甫)와 구별하기 위해 두보를 대두(大杜) 또는 노두(老杜)라고 하고 두목을 소두(小杜)라고 불렀고, 또 이상은(李商隱)과 이름을 나란히 했다 하여 소이두(小李杜)라고도 불렀는데 이백과 두보의 병칭인 이두(李杜)와 구별하기 위한 것이었다. 장안 남쪽 번천(樊川)에 있는 별장에서 지내게 된 만년에는 두번천(杜樊川)으로 불렸다. 두목은 당조(唐朝)에서 이름이 높은 경조두씨(京兆杜氏)로 서진(西晉)의 군사가인 두예(杜預)16세손이다. 두목과 두보는 같은 두예의 후예였지만 그 지파가 달랐는데, 두보는 두예의 아들 두탐(杜耽)의 후예였고, 두목은 두예의 다른 아들 두윤(杜尹)의 후예였다. 저작으로 번천문집(樊川文集) 20권이 있다.

어아[魚兒] 작은 물고기. 물고기 새끼.물고기 알.

만풍[晩風] 늦바람. 저녁나절에 부는 바람.

 

 



번호 제     목 조회
554 李白[이백] 月下獨酌四首其四[월하독작4수4] 시름은 많고 술은 적으나 2284
553 李白[이백] 月下獨酌四首其三[월하독작4수3] 비단 같은 춘삼월 함양성에 1974
552 羅隱[나은] 自遣[자견] 스스로 마음을 달래다 2103
551 白居易[백거이] 春眠[춘면] 봄 잠 1823
550 溫庭筠[온정균] 送人東遊[송인동유] 동쪽으로 가는 벗을 전송하며 1398
549 白居易[백거이] 寒食野望吟[한식야망음] 한식날 들을 바라보며 읊다 1775
548 杜甫[두보] 柟樹爲風雨所拔歎[남수위풍우소발탄] 남나무가 뽑힘을 탄식하다 1380
547 杜甫[두보] 秋興八首[其八]추흥8수8 / 백발로 읊조리다 고개 떨구네 1755
546 杜甫[두보] 秋興八首[其七]추흥8수7 / 가을에 이는 정회 1837
545 杜甫[두보] 秋興八首[其六]추흥8수6 / 비단 닻줄 상아 돛대 1377
544 杜甫[두보] 秋興八首[其五]추흥8수5 / 한 해를 보냄에 놀라 1566
543 杜甫[두보] 秋興八首[其四]추흥8수4 / 관산에 금고소리 진동하고 1419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