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李奎報[이규보] 山夕詠井中月二首[其一]산석영정중월 2수1 / 우물 속의 달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10  

 

山夕詠井中月二首[其一]산석영정중월 21 / 우물 속의 달

 

- 李奎報[이규보] -

 

漣漪碧井碧嵓隈[연의벽정벽암외] 잔물결 푸른 우물 푸른 벼랑굽이로

新月娟娟正印來[신월연연정인래] 초승달 곱다라니 환하게 비춰오네

汲去甁中猶半影[급거병중유반영] 길어 간 물동이에 조각달이 그대로니

恐將金鏡半分廻[공장금경반분회] 앞으로는 조각달만 줄곧 뜰까 걱정이네

 

<山夕詠井中月二首[其一]산석영정중월 21 / 산에서 밤을 보내며 우물 속의 달을 읊다 / 李奎報이규보 : 東國李相國文集동국이상국집>

 


이규보[李奎報] 고려후기(高麗後期)의 대표적인 문신이자 문장가. 본관은 황려(黃驪: 여주). 자는 춘경(春卿), 초명은 인저(仁低), 호는 백운거사(白雲居士지헌(止軒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이다. 9세 때부터 신동이라는 말을 들어 14살에는 문헌공도(文憲公徒)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소년시절 술을 좋아하며 자유분방하게 지냈는데, 과거지문(科擧之文)을 하찮게 여기고 이인로(李仁老), 오세재(吳世才), 임춘(林春), 조통(趙通), 황보항(皇甫抗), 함순(咸淳), 이담지(李潭之) 등 강좌칠현(姜左七賢)과 교유하였다. 23세 때 겨우 진사에 급제했으나 출세의 기회를 얻지 못했다. 26세에 개성으로 돌아와 궁핍한 생활을 하면서, 당시의 문란한 정치와 혼란한 사회를 보고 크게 각성하여 동명왕편(東明王篇)을 지었다. 그 후 최충헌(崔忠憲)정권에 시문으로 접근하여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고 32세 때부터 벼슬길에 오르게 되었다. 이후 좌천과 부임, 면직과 유배 그리고 복직 등을 거듭하면서 다사다난한 생을 보냈다. 저서로는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백운소설(白雲小說), 국선생전(麴先生傳) 등의 저서와 많은 시문(詩文)을 남겼다.

[漣漪] 잔물결. 잔잔한 물결. 고운 물결.

신월[新月] 초승달. 음력(陰曆)으로 매달 초하루부터 며칠 동안 뜨는 달. 달과 태양(太陽)이 같은 황경(黃經)이 되는 때의 달.

연연[娟娟] 아름답고 환하다. 빛이 산뜻하게 아름답고 고움. 아름답고 어여쁨. 사람이나 사물이 부드럽고 아름다운 모양.

정인[正印] 심인(心印)과 같은 뜻으로, 즉 언어(言語)나 문자(文字)로 형용할 수 없는 불교(佛敎)의 진리(眞理)를 말한다.

반영[半影] 광원에서 발하는 빛이 물체를 비추었을 때 생기는 그림자 중 빛이 부분적으로 도달하는 부분. 반그림자.

금경[金鏡] 금으로 장식한 거울. 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반분[半分] 절반(折半)의 분량(分量). 절반(折半)에 나눔.

 

 



번호 제     목 조회
494 李達[이달] 祭塚謠[제총요] 젯술에 취한 노인 1851
493 李達[이달] 拾穗謠[습수요] 이삭 줍는 노래 1699
492 李達[이달] 佛日庵贈因雲釋[불일암증인운석] 불일암 인운스님에게 1739
491 李達[이달] 撲棗謠[박조요] 대추서리 1851
490 李達[이달] 江行[강행] 강 따라 가는 길 1619
489 李達[이달] 刈麥謠[예맥요] 풋보리죽 1718
488 李達[이달] 佛日菴贈因雲釋[불일암증인운석] 불일암 인운스님께 드리다 1552
487 李奎報[이규보] 游魚[유어] 헤엄치는 물고기 2020
486 李奎報[이규보] 山夕詠井中月二首[其二]산석영정중월 2수2 / 우물 속의 달 2383
485 李奎報[이규보] 山夕詠井中月二首[其一]산석영정중월 2수1 / 우물 속의 달 1711
484 李奎報[이규보] 夏日卽事二首[하일즉사2수] 여름 날 2200
483 李奎報[이규보] 論詩[논시] 시에 대하여 1801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