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李達[이달] 江行[강행] 강 따라 가는 길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617  

 

江行[강행] 강 따라 가는 길

 

- 李達[이달] -

 

路繞江千十里長[노요강천십리장] 길은 에움길 강둑 따라 기다란 길

落花穿破馬蹄香[낙화천파마제향] 떨어진 꽃 짓이기는 말굽마다 이는 향기

湖山莫道空來往[호산막도공래왕] 할 일 없이 호수며 산 쏘다닌다 하지 마소

羸得新詩滿錦囊[이득신시만금낭] 고달프게 얻은 새 시 금낭 가득하다오

 


이달[李達] 조선 중기의 시인. 본관은 신평(新平). 자는 익지(益之), 호는 손곡(蓀谷서담(西潭동리(東里)이다. 쌍매당(雙梅堂) 이첨(李詹)의 후손으로, 충청남도 홍주(洪州)에서 아버지 이수함(李秀咸)과 홍주 관기였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머니가 천인(賤人)이어서 세상에 쓰여질 수 없었다. 어려서부터 책읽기에 힘써 이백(李白)과 성당십이가(盛唐十二家)의 작품들을 모두 외울 정도였다. 정사룡(鄭士龍)과 박순(朴淳) 등의 문인(門人)으로 문장과 시에 능하고 글씨에도 조예가 깊었으나, 신분적 한계로 벼슬은 한리학관(漢吏學官: 사역원司譯院 소속 관리)에 그쳤다. 당시풍(唐詩風)의 시를 잘 지어 선조 때의 최경창(崔慶昌백광훈(白光勳)과 시사(詩社)를 맺고 교유하였다. 문단에서는 이들을 삼당시인(三唐詩人)이라고 불렀다. 신분적 제약을 시문(詩文)으로 달래며 강원도 원주(原州)의 손곡(蓀谷)에 살면서 손곡(蓀谷)을 자신의 호()로 하였다. 말년에는 허균(許筠)과 허난설헌(許蘭雪軒)을 가르쳤다. 문집에는 손곡시집(蓀谷詩集)이 있다. 허균(許筠)은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에서 그의 시는 청신(淸新)하고 아려(雅麗)하여 수준 높게 지은 것은 왕유(王維맹호연(孟浩然고적(高適잠삼(岑參)에 버금가고, 수준이 낮은 것도 유장경(劉長卿전기(錢起)의 운율을 잃지 않았다. 신라(新羅고려(高麗) 이래로 당시(唐詩)를 지었다고 하는 사람 중 아무도 그를 따를 사람이 없었다[其詩淸新雅麗, 高者出入王···, 而下不失劉·錢之韻. 自羅麗以下, 爲唐詩者皆莫及焉.]”고 하였고, 평생 몸 붙일 곳도 없어 사방으로 유리걸식(流離乞食)하여 사람들이 대부분 천하게 여겼다. 궁색한 액운으로 늙어간 것은 그가 시 짓는 일에만 몰두했기 때문이었다. 그의 몸은 곤궁했어도 불후(不朽)의 명시를 남겼으니 한 때의 부귀로 어떻게 그와 같은 명예를 바꿀 수 있으랴[平生無着身地, 流離乞食於四方, 人多賤之. 窮厄以老, 信乎坐其詩也. 然其身困而不朽者存, 豈肯以一時富貴易此名也.]”라고 하였다.

금낭[錦囊] 시를 적어서 넣는 비단 주머니이다. ()나라의 시인인 이하(李賀)가 날마다 명승지를 다니면서 해()라는 어린 종에게 비단 주머니[錦囊]를 지고 따르게 하여 시를 짓는 즉시 주머니에 담았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新唐書 卷203 文藝列傳下 李賀>

 

 



번호 제     목 조회
494 李達[이달] 祭塚謠[제총요] 젯술에 취한 노인 1850
493 李達[이달] 拾穗謠[습수요] 이삭 줍는 노래 1698
492 李達[이달] 佛日庵贈因雲釋[불일암증인운석] 불일암 인운스님에게 1739
491 李達[이달] 撲棗謠[박조요] 대추서리 1851
490 李達[이달] 江行[강행] 강 따라 가는 길 1618
489 李達[이달] 刈麥謠[예맥요] 풋보리죽 1716
488 李達[이달] 佛日菴贈因雲釋[불일암증인운석] 불일암 인운스님께 드리다 1552
487 李奎報[이규보] 游魚[유어] 헤엄치는 물고기 2020
486 李奎報[이규보] 山夕詠井中月二首[其二]산석영정중월 2수2 / 우물 속의 달 2381
485 李奎報[이규보] 山夕詠井中月二首[其一]산석영정중월 2수1 / 우물 속의 달 1708
484 李奎報[이규보] 夏日卽事二首[하일즉사2수] 여름 날 2198
483 李奎報[이규보] 論詩[논시] 시에 대하여 1799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