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李白[이백] 山中對酌[산중대작] 한 잔 한 잔 꽃이 피네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156  

 

山中對酌[산중대작] 한 잔 한 잔 꽃이 피네

 

- 李白[이백] -

 

兩人對酌山花開[양인대작산화개] 둘이 마시나니 산에는 꽃이 피네

一杯一杯復一杯[일배일배부일배] 한 잔 한 잔 또 한 잔

我醉欲眠君且去[아취욕면군차거] 내 취해 잠이 오니 그대 그만 돌아가오

明朝有意抱琴來[명조유의포금래] 내일 아침 생각일면 거문고 안고 오시고

 

<山中對酌산중대작 / 산중에서 대작하다 / 李白이백 : 古文眞寶고문진보>

 

이 시는 이태백집(李太白集) 23권에 실려 있는데, 제목이 산중여유인대작(山中與幽人對酌)으로 되어 있다.


이백[李白]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는 태백(太白)이고. ()는 주선옹(酒仙翁해상조오객(海上釣鰲客청련거사(靑蓮居士)이다. 태어날 때 어머니가 꿈에 태백성(太白星)을 보았다고 한다. 성품이 호방하여 세속에 매이지 않아 천하를 유람하며 시주(詩酒)로 생활하였다. 시풍이 웅기하고 호방하며 상상력이 풍부하고 언어의 흐름이 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음률의 조화와 변화가 다양하다. 천보(天寶) 원년(元年: 742) 가을에 처음 장안(長安)에 나와 하지장(賀知章)을 만나 적선인(謫仙人)으로 찬양되면서, 그 명성이 온 세상에 퍼졌다. 그 뒤 현종(玄宗)을 알현하여 시문의 재능을 인정받아 한림공봉(翰林供奉)으로 임명되고 궁정 시인이 되기도 했으나, 일생을 불우하게 방랑하며 보냈다.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며 한시(漢詩)의 양대 산맥으로 일컬어져 이백(李白)은 시선(詩仙), 두보(杜甫)는 시성(詩聖)으로 불린다. 성당(盛唐) 시기 시가(詩歌) 예술의 최고봉에 올랐다. 지금까지 전하는 시가 1천여 편에 달하고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 30권이 있다.

유인[幽人] 은자(隱者). 속세(俗世)를 피해 조용히 숨어사는 이. 어지러운 속세를 피하여 깊숙한 곳에 숨어사는 은사(隱士)를 가리킨다.

대작[對酌] 마주 대()하여 술을 마심. 서로 마주하여 술을 주고받으며 마심.

유의[有意] 마음에 있음. 생각이 있음. 의미(意味)가 있음.할 마음[]이 있다. 하고 싶다.

 

 



번호 제     목 조회
506 林悌[임제] 無語別[무어별] 말 없은 이별 1999
505 林億齡[임억령] 示子芳[시자방] 산벌이 나를 따라 2324
504 李荇[이행] 八月十八夜[팔월십팔야] 8월 18일 밤 1870
503 李齊賢[이제현] 九曜堂[구요당] 숲 속 집 1782
502 杜甫[두보] 別房太尉墓[별방태위묘] 방태위 묘에 고별하며 1539
501 李齊賢[이제현] 山中雪夜[산중설야] 밤눈 내리는 산속 2367
500 李仁老[이인로] 山居[산거] 산살이 2219
499 李仁老[이인로] 雪用東坡韻[설용동파운] 눈, 소동파의 운을 쓰다 1683
498 李珥[이이] 山中[산중] 산 속에서 길을 잃다 1945
497 李用休[이용휴] 田家[전가] 농가의 봄 1724
496 李亮淵[이양연] 白鷺[백로] 백로 1827
495 李白[이백] 山中對酌[산중대작] 한 잔 한 잔 꽃이 피네 3157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