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李用休[이용휴] 田家[전가] 농가의 봄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24  

 

田家[전가] 농가의 봄

 

- 李用休[이용휴] -

 

婦坐搯兒頭[부좌도아두] 아낙은 앉아서 아이 머릿니 잡고

翁傴掃牛圈[옹구소우권] 늙은이는 구부정히 외양 치우는데

庭堆田螺殼[정퇴전라각] 마당가엔 수북 쌓인 우렁이 껍질

廚遺野蒜本[주유야산본] 부엌에는 먹고 남은 달래 몇 뿌리

 


이용휴[李用休] 조선 후기의 문인. 자는 경명(景命), 호는 혜환재(惠寰齋). 본관은 여주(驪州). 아버지는 이침(李沉)이고, 이가환(李家煥)의 아버지이다. 일찍이 진사시에 합격하나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세속의 일에서 벗어나 옛 성현들의 책에 모범을 두고 옛사람의 문장을 몸으로 익히는 데에 모든 노력을 쏟았다. 음보(蔭補)로 벼슬이 첨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저서로는 탄만집·혜환시초(惠寰詩抄)와 혜환잡저(惠寰雜著)가 있다.

우권[牛圈] 소우리. 우사. 외양간. 외양간 울타리.

전라[田螺] 우렁이. 논우렁과에 속한 고둥을 통틀어 이르는 말. 나사(螺螄). 전중라(田中螺).

야산[野蒜] 해근(薤根). 산달래. 돌달래·큰달래라고도 한다. 땅 속에 지름 1.5cm 정도인 넓은 달걀꼴 또는 공 모양의 하얀 비늘줄기가 있는데 막질로 덮여 있고 늦가을에 잎이 나와서 겨울을 지낸다. 꽃은 모두 발달하지 않고 일부 또는 대부분이 둥근 살눈으로 변한다. 포기 전체에서 마늘 냄새와 같은 향이 난다. 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비늘줄기와 연한 꽃줄기와 잎을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대전>

 

 



번호 제     목 조회
50 任翻[임번] 宿巾子山禪寺[숙건자산선사] 건자산 선사에 묵다 1589
49 丁若鏞[정약용] 古詩二十七首고시27수[01] 종잡을 수 없는 삶 1589
48 懶翁惠勤[나옹혜근] 警世[경세] 명리는 화의 문 1589
47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十一]음주20수11 / 죽은 뒤야 알게 무언가 1585
46 金時習[김시습] 放言[방언] 맞고 보냄이 싫어서 1584
45 崔惟淸[최유청] 初歸故園[초귀고원] 처음 고향에 돌아오니 1583
44 戴復古[대복고] 鷓鴣天[자고천] 題趙次山魚樂堂[제조차산어락당] 자고천. 어락당에서 쓰다 1582
43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三]잡흥9수3 / 산속 푸른 계수나무 1582
42 蘇軾[소식] 饋歲[궤세] 한 해를 보내며(세밑선물) 1575
41 唐彦謙[당언겸] 金陵懷古[금릉회고] 금릉의 옛날을 회상하다 1575
40 鄭以吾[정이오] 新都雪夜效歐陽體[신도설야효구양체] 눈 내린 서울 밤 1573
39 杜甫[두보] 書堂飮旣...[서당음기...] 서당에서 술 마시고 나서 1571



   41  42  43  44  45  46  47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