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鄭知常[정지상] 送人[송인] 님을 보내고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801  

 

送人[송인] 님을 보내고

 

- 鄭知常[정지상] -

 

庭前一葉落[정전일엽락] 뜰 앞에 잎새 하나 떨어지니

床下百蟲悲[상하백충비] 마루밑 뭇 벌레 슬피 우누나

忽忽不可止[홀홀불가지] 홀홀히 떠나니 막을 수 없어

悠悠何所之[유유하소지] 유유히 어디로 가시었는가

片心山盡處[편심산진처] 조각난 마음은 산 끝에 걸려

孤夢月明時[고몽월명시] 달 밝으면 외로운 꿈을 꾸니

南浦春波綠[남포춘파록] 남포에 봄 물결 푸르러질 때

君休負後期[군휴부후기] 그대 우리 기약 어기지 마오

 

<送人송인 / 님을 보내며 / 鄭知常정지상 : 東文選동문선>

 


홀홀[忽忽] 갑작스러운 모양. 심신이 불안한 모양. 실의한 모양. 깃발 따위가 바람에 펄럭이는 소리. 조심성이 없고 행동이 매우 가벼움. 별로 대수롭지 아니함. 갑자기. 별안간. 돌연. 어느덧. 어느새. 잠깐 동안에. 벌써. 금세. 순식간에.

유유[悠悠] 아득히 먼 모양. 생각하는 모양. 가는 모양. 한가한 모양. 아득하여 끝이 없는 모양. 걱정하는 모양. 때가 오랜 모양. 침착하고 여유가 있는 모양. 많은 모양. 길다. 장구하다. 아득히 멀다. 요원하다. 느긋하다. 유유하다. 여유 있다.

편심[片心] 작은 마음. 일방적인 마음. 좁은 마음. 일방적으로 치우친 마음. 한 조각 마음으로, 외로운 심정.

남포[南浦] 포구(浦口) 이름. 평안남도 평양(平壤) 대동강(大洞江) 가에 있다.

후기[後期] 뒷날의 기약(期約). 뒤의 시기(時期). 또는, 뒤의 기간(期間). 예정된 기일보다 늦어지다.

 

 



번호 제     목 조회
110 金炳淵[김병연] 無題[무제] 죽 한 그릇 1694
109 丁若鏞[정약용] 古詩二十七首고시27수[14] 달 아래 마시려면 1694
108 鄭澈[정철] 山寺夜吟[산사야음] 산사의 밤 1692
107 白居易[백거이] 勸酒十四首권주14수 : 不如來飮酒七首[其五]불여래음주7수5 1691
106 白居易[백거이] 勸酒十四首권주14수 : 何處難忘酒七首[其五]하처난망주7수5 1689
105 白居易[백거이] 勸酒十四首권주14수 : 不如來飮酒七首[其四]불여래음주7수4 1689
104 陶淵明[도연명] 雜詩十二首[其三]잡시12수3 / 해와 달은 돌아오지만 1689
103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十二]음주20수12 / 세속은 서로 속여 왔으니 1687
102 金淨[김정] 感興[감흥] 저녁감상 1687
101 李達[이달] 拾穗謠[습수요] 이삭 줍는 노래 1686
100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十九]음주20수19 / 돈 없어도 탁주 있어 1685
99 繡香閣[수향각] 元氏[원씨] 春日[춘일] 꿈결처럼 봄이 가네 1685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