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杜甫[두보] 秋興八首[其四]추흥8수4 / 관산에 금고소리 진동하고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416  


秋興八首[其四]추흥84 / 관산에 금고소리 진동하고

 

- 杜甫[두보-

 

聞道長安似弈棋[문도장안사혁기] 듣자니 장안 시국 바둑판 속 같다하니

百年世事不勝悲[백년세사불승비] 백 년 세상사에 슬픔 이길 길 없어라

王侯第宅皆新主[왕후제택개신주] 왕후의 저택 모두 주인이 바뀌었고

文武衣冠異昔時[문무의관이석시] 문무 관원 의관은 옛적과 다르다네

直北關山金鼓振[직북관산금고진] 북녘 관산에는 징과 북소리 진동하고

征西車馬羽書馳[정서거마우서치] 서정군 거마는 격문 전하려 치닫는데

魚龍寂寞秋江冷[어룡적막추강랭] 어룡 잠든 적막한 가을 강물 차가워

故國平居有所思[고국평거유소사] 장안에서 지내던 평소 일이 그립구나

 


문도[聞道] 청설(聽說). 듣기에. 듣건대, 듣자니. 듣는 바로는 ~이라 한다. 순종하다. 말을 잘 듣다.

혁기[弈棋] 바둑·장기를 두다

왕후[王侯] 제왕과 제후를 아울러 이르는 말. 가장 높은 벼슬아치. 귀족.

제택[第宅] 고위 관리나 귀족들이 사는 저택. . 살림집. 살림집과 정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살림집과 정자(亭子)의 총칭.

금고[金鼓] 옛날, 군대에서 호령을 전달하던 징과 북. 전투에서 진격할 때에는 북을 치고, 퇴각할 때에는 징을 쳤다.

관산[關山] 산봉우리가 늘어선 군사상 요충지. 국경이나 요해지에 설치한 관소(關所)와 그 주변의 산. 관문(關門)과 산. 관애(關隘)와 산령(山嶺). 영하(寧夏) 남쪽에 있는 산 이름. 적군과 대치하고 있는 변방. 전하여 통과하기 어려운 관문(關門), 즉 난관(難關). 기구 험난한 여행길 또는 고향에 있는 산을 이르기도 한다. 두보(杜甫)의 시 세병마행(洗兵馬行)삼 년 동안 강적(羌笛) 소리에 관산의 달 보았고, 만국의 군대 앞에 초목이 바람에 흔들리네.[三年笛裏關山月, 萬國兵前草木風.]”라고 하였고, 악부시집(樂府詩集) 횡취곡사(橫吹曲辭) 목란시(木蘭詩)만리나 떨어진 싸움터로 가서, 늘어선 높은 산을 나는 듯이 넘었네.[萬里赴戎機, 關山度苦飛]”라고 하였다.

금고[金鼓] 사금(四金)과 육고(六鼓)를 가리킨다. 사금(四金)은 주나라 때 청동으로 만들어 쓴 순(), (), (), () 등 네 가지 금속으로 만든 악기를 이르고, 육고(六鼓)는 뇌고(雷鼓), 뇌도(雷鼗), 영고(靈鼓), 영도(靈鼗), 노고(路鼓), 노도(路鼗)를 이른다. 군대에서는 출격할 때는 북을 치고, 퇴각할 때는 징 같은 라()를 쳤다.

정서[征西] 서쪽을 정벌함. 서쪽 변방의 토번(吐蕃)을 정벌하기 위해 서쪽으로 출병한 당나라 군대를 가리킨다.

우서[羽書] 군대에서 사용하던 긴급한 격문(檄文)을 이른다. 우격(羽檄우모서(羽毛書계모서(鷄毛書)라고도 한다. 우서(羽書)는 군사상의 급보를 뜻하는데, 옛날에 긴급을 요하는 문서에는 날아가듯 신속히 전하라는 뜻으로 새 깃을 꽂아서 표시하였으므로 이렇게 칭한다. 후한서(後漢書) 87 서강열전 논(西羌列傳論)원릉(園陵)을 불사르고 성시(城市)를 노략하는 등 패배가 잇따르자 우서가 날마다 이르렀다.[燒陵園, 剽城市, 傷敗踵係, 羽書日聞.]”라고 하였는데, 주에 우서는 바로 격서(檄書)이다.”라고 하였다. 고대에 군사 문서에 새의 깃털을 꽂음으로써 긴급하다는 것을 보여 신속하게 전달되도록 하였다. 사기(史記) 93 진희열전(陳狶列傳)진희(陳豨)가 반기를 들자 한단(邯鄲) 이북은 모두 진희에게로 돌아갔다. 내가 우격(羽檄)으로 천하의 군대를 징발하였으나 오지 않고 지금 오직 한단의 병력만 있다.”라고 하였는데, 그 주에 새의 깃털을 격서(檄書)에 삽입한 것을 우격(羽檄)이라고 하니, 나는 새처럼 빠르다는 의미를 취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어룡[魚龍] 물고기. ()은 대자(帶字). 물속에서 사는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역도원(酈道元)의 수경주(水經注)어룡은 가을과 겨울을 밤으로 삼는다.[魚龍以秋冬為夜]”라고 하였다. 수생동물은 추분(秋分)이 되면 하강하여 물 깊은 곳에 칩복(蟄伏)하여 잠을 자므로, 가을과 겨울을 밤으로 삼는다고 한 것이다.

평거[平居] 특별한 일이 없는 보통 때. 평시. 평일. 평소. 평상시.

 

 



번호 제     목 조회
14 侯彭老[후팽로] 人日立春[인일입춘] 인일에 든 입춘 1432
13 杜甫[두보] 秋興八首[其四]추흥8수4 / 관산에 금고소리 진동하고 1417
12 賈島[가도] 三月晦日贈劉評事[삼월회일증유평사] 삼월 그믐날 유평사에게 1412
11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九]잡흥9수9 / 얽매임을 풀어야 1407
10 溫庭筠[온정균] 送人東遊[송인동유] 동쪽으로 가는 벗을 전송하며 1398
9 蘇軾[소식] 別歲[별세] 한 해를 보내며(세밑모임) 1388
8 崔塗[최도] 巴山道中除夜有懷[파산도중제야유회] 파산으로 가다가 제야에 1381
7 杜甫[두보] 柟樹爲風雨所拔歎[남수위풍우소발탄] 남나무가 뽑힘을 탄식하다 1379
6 杜甫[두보] 秋興八首[其六]추흥8수6 / 비단 닻줄 상아 돛대 1375
5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七]잡흥9수7 / 한들구름 개인 날빛 희롱하고 1362
4 高麗閨人[고려규인] 贈金台鉉[증김태현] 김태현께 드리다 1352
3 姜溍[강진] 峽行雜絶[협행잡절] 산골짝을 지나며 1331



   41  42  43  44  45  46  47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