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합합[溘溘]~합환전[合歡殿]~항갈[恒碣]~항남[巷南]~항룡유회[亢龍有悔]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575  

합합[溘溘] 갑자기 들리는 물소리, 추운 모양.

합합[嗑嗑] 말이 많은 모양, 웃는 모양, 깔깔 웃는 소리.

합합[呷呷] 오리의 우는 소리.

합합[哈哈] 웃는 소리, 농담, 또는 농담함.

합환전[合歡殿] 후비(后妃)가 거처하는 궁전을 말한다.

항간[行間] 항오(行伍)의 사이라는 뜻이니, 즉 군중(軍中)이라는 말이다.

항갈[恒碣] ()은 산서성(山西省) 영구현(靈邱縣)의 남쪽에 있는 항산(恒山)을 말하고, ()은 직례성(直隷省) 동남쪽에 있는 갈석(碣石)을 말한다.

항기궁자미[恒飢窮子美] 두보(杜甫). 그의 시에 항상 굶은 어린 자식 안색이 처량하다.[恒飢稚子色凄凉]”라고 한 것이 있다.

항남[巷南] 항남은 죽림칠현(竹林七賢)인 완적(阮籍)과 그 조카 완함(阮咸)이 살던 가난한 남쪽 동네로, 숙질간의 관계를 비유할 때 흔히 쓰는 표현이다. <世說新語 任誕>

항두득고서[航頭得古書] 동진(東晉) 때 매색(梅賾)이 큰 뱃머리[大航頭]에서 고문상서(古文尙書)를 얻었다 한다.

항룡유회[亢龍有悔] 항룡(亢龍)은 하늘 끝까지 올라간 용. 그 이상 더 올라갈 수 없어 이젠 내려갈 도리밖에 없다는 의미. 부귀가 극에 달하면 패망할 위험이 있으니 조심하라는 말로 쓰인다.

 

 



번호 제     목 조회
5201 가생가도[賈生賈島]~가생기복[賈生忌鵩]~가생비고[賈生非辜] 1574
5200 합합[溘溘]~합환전[合歡殿]~항갈[恒碣]~항남[巷南]~항룡유회[亢龍有悔] 1576
5199 합좌[合坐]~합패여건도[合佩呂虔刀]~합포주[合浦珠]~합포환주[合浦還珠] 1580
5198 항왕목중동[項王目重瞳]~항요[恒曜]~항장검무[項莊劒舞]~항주소일[杭州消日] 1582
5197 팔대쇠[八代衰]~팔대수[八大藪]~팔두문장[八斗文章]~팔룡운전[八龍雲篆] 1583
5196 해상도[海上桃]~해상유의[海上留衣]~해서[楷書]~해성[諧聲] 1583
5195 호중세월[壺中歲月]~호중천지[壺中天地]~호중한[壺中閒] 1588
5194 가롱성진[假弄成眞]~가루[家累]~가루견보[架漏牽補]~가류[苛留]~가륭[嘉隆] 1590
5193 합고[合考]~합관요[篕寬饒]~합구초[合口椒]~합근[合巹]~합덕[合德] 1597
5192 가도[賈島]~가도[家道]~가도[可道]~가도[可度]~가도[家塗]~가도[椵島] 1597
5191 혼가필[婚嫁畢]~혼경위[混涇渭]~혼돈개벽[混沌開闢]~혼돈사[混沌死] 1598
5190 한선[寒蟬]~한선자[韓宣子]~한선혜왕[韓宣惠王]~한섬노토[寒蟾露兎] 1608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