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미식[迷息] ~ 미악시서화[米嶽詩書畫] ~ 미앙접장문[未央接長門]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90  

미식[迷息] 자신의 아들을 일컫는 말이다.

미식세성[未識歲星] 한 무제(漢武帝)의 시신(侍臣)인 동방삭(東方朔)이 죽은 뒤에, 그 동안 18년간 보이지 않던 세성(歲星)이 비로소 하늘에 보이자, 무제가 내 옆에 있던 동방삭이 세성인 줄을 지금까지도 몰랐구나.”라고 탄식했다는 설화가 한 나라 곽헌(郭憲)의 동방삭전(東方朔傳)에 전한다.

미실가자은정용[美實可資殷鼎用] 매화의 열매를 말한다. 서경(書經) 열명(說命)솥에다 국을 끓이게 된다면 그대는 소금과 매실 같은 구실을 하라[若作和羹 爾惟鹽梅]”는 말이 있는데, 이는 은()의 고종(高宗)이 부열(傅說)에게 한 말이므로 은 나라 솥이라 한 것이다.

미아[迷兒] 자신의 아들을 일컫는 말이다.

미악시서화[米嶽詩書畫] 미악은 송() 나라 때의 명필 미불(米芾)을 가리킨다. 그의 호 중에 해악외사(海嶽外史)라는 호가 있다. 미불은 시··화에 모두 뛰어났다. <宋史 卷四百四十四>

미앙[未央] 미앙궁(未央宮)은 한() 나라 궁궐의 정전(正殿)이다.

미앙궁[未央宮] 한 나라 고조(高祖) 때 지은 궁전으로, 조현(朝見)을 하던 곳이다.

미앙궁[未央宮] 후비(后妃)가 거처하는 궁전이다.

미앙접장문[未央接長門] 왕과 후궁과의 사이가 밀접해졌다는 말이다. 미앙(未央)과 장문(長門)은 다 한대(漢代)의 궁전 이름인데, 미앙궁은 황제가, 장문궁은 황후가 기거하는 곳이다. 두 궁 사이에 길이 트여 왕래가 잦고 또 숙원(淑媛)이라는 관칭(官稱)까지 내려질 만큼 임금으로부터 대단한 총애를 받는다는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869 병가상사[兵家常事] ~ 병간금작[屛間金雀] 2704
868 분진[汾津] ~ 분포선중청[湓浦船中聽] ~ 분포청시사마읍[湓浦聽時司馬泣] 2704
867 신낭전[腎囊錢] ~ 신내폐외[愼內閉外] ~ 신누일과홍수평[神累一過洪水平] 2704
866 용종[龍種] ~ 용주금람[龍舟錦纜] ~ 용즉행사즉장[用則行捨則藏] 2704
865 상웅담[嘗熊膽] ~ 상원[上苑] ~ 상원충엽자[上苑蟲葉字] 2703
864 병석[甁錫] ~ 병수[甁水] ~ 병안시[病眼詩] 2702
863 본각[本覺] ~ 본초경[本草經] ~ 봉가[鳳歌] 2702
862 분서갱유[焚書坑儒] ~ 분섬[分陝] ~ 분속[奔屬] 2702
861 체동[螮蝀] ~ 체두시[杕杜詩] ~ 체악영[棣萼榮] 2700
860 동척[銅尺] ~ 동천[僮千] ~ 동천남도공잉주[東遷南渡孔仍朱] 2699
859 배사[杯蛇] ~ 배사오[杯蛇誤] ~ 배성[拜星] 2699
858 요가[鐃歌] ~ 요경[瑤京] ~ 요공[姚公] 2698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