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범택부가[泛宅浮家] ~ 범포한[范袍寒]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71  
♞범택부가[泛宅浮家] 배를 집으로 삼아 물 위를 떠돌며 사는 생활을 말한다. 장지화가 안진경(顔眞卿)에게 “나의 소원은 배를 집 삼아 물 위에 살면서 소계(苕溪)와 삽계(霅溪)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것이다.[願爲浮家泛宅 往來苕霅間]”라고 말한 고사가 있다. <新唐書 隱逸傳 張志和>
♞범파정[泛波亭] 강원도 홍천현(洪川縣) 동남쪽의 남천(南川)에 있는 정자 이름이다.
♞범패[梵唄] 부처의 공덕을 찬양하는 노래, 양고승전(梁高僧傳) 경사편론(經師篇論)에, “天竺方俗 凡歌詠法言 皆稱爲唄 至於此土 詠經則稱爲轉讀 歌讚則號爲梵唄”라고 보인다.
♞범포한[范袍寒] 전국 때 위(魏)의 범수(范睢 范叔)가 중대부(中大夫) 수가(須賈)의 고자질로 억울하게 매를 맞고 쫓겨나서 진(秦)에 간 뒤에 상국(相國)이 되었는데, 그때에 수가가 진(秦)에 사신(使臣)으로 왔다. 범수는 남루한 옷으로 수가를 찾았다. 그가 보고 가엾게 여겨, “범수 몹시도 춥겠구나.”하고 자기가 입었던 비단 도포[綈袍]를 벗어 주었다. <史記 范睢傳>
 
 



번호 제     목 조회
341 쌍조[雙鳥] ~ 쌍주[雙珠] 5164
340 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 ~ 일일장호[一日長乎] ~ 일자천금[一字千金] 5166
339 강항[强項] ~ 강항령[强項令] 5172
338 범택부가[泛宅浮家] ~ 범포한[范袍寒] 5172
337 회남소산[淮南小山] ~ 회남왕[淮南王] 5172
336 장맥분흥[張脈憤興] ~ 장몽[掌夢] 5174
335 속서[俗書] ~ 속수일편[涑水一篇] 5176
334 왕풍추[兀風椎] ~ 왕형불형[王兄佛兄] ~ 왕환[王奐] 5178
333 요동학[遼東鶴] ~ 요락[搖落] ~ 요락일[搖落日] 5179
332 주현[朱弦] ~ 주현백설[朱絃白雪] ~ 주현위군절[朱絃爲君絶] 5179
331 순풍이호[順風而呼] ~ 순회세자[順懷世子] 5180
330 고대광실[高臺廣室] ~ 고려산[高麗山] 518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