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두방[杜房] ~ 두보배두견[杜甫拜杜鵑]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544  
♞두방[杜房] 당 태종(唐太宗) 때의 명재상 두여회(杜如晦)와 방현령(房玄齡)을 말한다.
♞두번천[杜樊川] 번천은 당(唐) 나라 두목(杜牧)의 호이다.
♞두병[斗柄] 두병은 북두칠성의 손잡이를 뜻한 것인데 북두성이 바가지[杓] 형태로 생겼다 하여 다섯째에서 일곱째 별까지의 셋을 가리켜 손잡이라 한다.
♞두보[杜甫] 중국 당(唐)나라 시인.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少陵). 소릉이라고 불리는 것은, 장안(長安) 남쪽 근교의 소릉(小陵)이 선조의 출신지인 데서 유래한다. 하남성(河南省) 공현(鞏縣)을 본거지로 하는 소호족(小豪族) 출신. 중국 최고의 시인이라는 뜻에서 시성(詩聖), 이백(李白)과 아울러 일컬을 때는 이두(李杜), 당나라 말기의 두목(杜牧)에 견줄 때는 노두(老杜)․대두(大杜)라 불린다. 먼 조상에 진(晉)나라 초기의 위인 두예(杜預)가 있고 당(唐)의 초기 시인 두심언(杜審言)은 조부이다.
♞두보[杜保] 후한(後漢) 때 사람으로 자는 계량(季良)인데, 자로써 행세(行世)하였다. 그는 특히 의협심이 강하기로 유명하였다. <後漢書 卷二十四>
♞두보배두견[杜甫拜杜鵑] 당(唐) 나라의 두보가, 금수들조차도 촉제(蜀帝)의 혼(魂)이 화하여 된 새인 두견새에 대해서는 존경을 표하는데 사람으로서 천자를 존경하지 않으니 새만도 못하다는 내용으로 두견행(杜鵑行)을 지어서 세상의 인심이 나쁨을 한탄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481 곡단[曲端] ~ 곡돌사신[曲突徙薪] 4565
4480 육화[六花] ~ 육회명[六悔銘] 4561
4479 좌서공[坐書空] ~ 좌액문[左掖門] 4560
4478 진번일실무[陳蕃一室蕪] ~ 진번탑[陳蕃榻] ~ 진벌자능통[津筏自能通] 4559
4477 강미천지회[糠眯天地晦] ~ 강부하지축성편[岡阜何知祝聖篇] 4557
4476 대수[大隧] ~ 대수장군[大樹將軍] 4556
4475 부열[傅說] ~ 부열기기[傅說騎箕] ~ 부열조갱[傅說調羹] 4555
4474 장상동심[將相同心] ~ 장상주[掌上珠] 4553
4473 행약[行藥] ~ 행위[行違] 4551
4472 회음후[淮陰侯] ~ 회인탈[恢刃奪] 4551
4471 두방[杜房] ~ 두보배두견[杜甫拜杜鵑] 4545
4470 행조은후정[行調殷后鼎] ~ 행진[行塵] 4545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